본문내용
수다각형, 도수곡선, Ogive를 그려라.
144, 125, 136, 148, 163, 119, 135, 153, 154, 165,
152, 144, 149, 157, 135, 142, 150, 132, 138, 164,
146, 158, 168, 126, 146, 142, 150, 156, 147, 173,
145, 138, 161, 128, 176, 145, 140, 135, 140, 147
계급(체중)
도수
115~130
4
130~145
14
145~160
15
160~175
6
175~190
1
합계
40
계급(체중)
도수
118~124
1
124~130
3
130~136
5
136~142
6
142~148
9
148~154
6
154~160
3
160~166
4
166~172
1
172~178
2
합계
40
3. 다음 각 항의 평균, 중앙값, 최빈값, 표준편차, 표준오차, 변이계수를 구하라.
(1) 7, 4, 10, 9, 15, 12, 9, 7
(2) 8, 11, 4, 3, 2, 5, 10, 6, 4, 1, 10, 8, 12, 6, 5, 7
(1)
평균은 다.
크기대로 정렬하면 4, 7, 7, 9, 9, 10, 12, 15 이므로 중앙값은 9다.
최빈값은 항이 두 개인 7과 9다.
편차의 제곱의 합을 구해보면,
따라서 표준편차는 0
표본표준편차가 이므로 표준오차는
변이계수
(2)
평균은
크기대로 정렬하면 1, 2, 3, 4, 4, 5, 5, 6, 6, 7, 8, 8, 10, 10, 11, 12
중앙값은 6, 최빈값은 두 개씩 있는 4, 5, 6, 8, 10
편차의 제곱의 합은
따라서 표준편차는
표본표준편차가 이므로 표준오차는
변이계수
4. 벼 300개체에 대한 간장(稈長)을 측정하였더니, 평균 64 cm, 표준편차 4 cm였다.
(1) 60 cm와 68 cm 사이에 있는 개체수는 얼마인가?
(2) 56 cm와 72 cm 사이에 있는 개체수는 얼마인가?
(3) 75 cm 이상인 개체수는 얼마인가?
(4) 55 cm 이하인 개체수는 얼마인가?
(1) 평균을 기준으로 ±1 표준편차의 범위는 68.3%, 약 197개이다.
(2) 평균을 기준으로 ±2 표준편차의 범위는 95.4%, 약 286개이다.
(3) 표준정규분포에서 일 때 0.9994로, 75cm 이상일 확률은 0.6%이다. , 약 2개다.
(4) 표준정규분포에서 이므로, 마찬가지로 55cm 이하일 확률은 0.6%이다. , 약 2개다.
144, 125, 136, 148, 163, 119, 135, 153, 154, 165,
152, 144, 149, 157, 135, 142, 150, 132, 138, 164,
146, 158, 168, 126, 146, 142, 150, 156, 147, 173,
145, 138, 161, 128, 176, 145, 140, 135, 140, 147
계급(체중)
도수
115~130
4
130~145
14
145~160
15
160~175
6
175~190
1
합계
40
계급(체중)
도수
118~124
1
124~130
3
130~136
5
136~142
6
142~148
9
148~154
6
154~160
3
160~166
4
166~172
1
172~178
2
합계
40
3. 다음 각 항의 평균, 중앙값, 최빈값, 표준편차, 표준오차, 변이계수를 구하라.
(1) 7, 4, 10, 9, 15, 12, 9, 7
(2) 8, 11, 4, 3, 2, 5, 10, 6, 4, 1, 10, 8, 12, 6, 5, 7
(1)
평균은 다.
크기대로 정렬하면 4, 7, 7, 9, 9, 10, 12, 15 이므로 중앙값은 9다.
최빈값은 항이 두 개인 7과 9다.
편차의 제곱의 합을 구해보면,
따라서 표준편차는 0
표본표준편차가 이므로 표준오차는
변이계수
(2)
평균은
크기대로 정렬하면 1, 2, 3, 4, 4, 5, 5, 6, 6, 7, 8, 8, 10, 10, 11, 12
중앙값은 6, 최빈값은 두 개씩 있는 4, 5, 6, 8, 10
편차의 제곱의 합은
따라서 표준편차는
표본표준편차가 이므로 표준오차는
변이계수
4. 벼 300개체에 대한 간장(稈長)을 측정하였더니, 평균 64 cm, 표준편차 4 cm였다.
(1) 60 cm와 68 cm 사이에 있는 개체수는 얼마인가?
(2) 56 cm와 72 cm 사이에 있는 개체수는 얼마인가?
(3) 75 cm 이상인 개체수는 얼마인가?
(4) 55 cm 이하인 개체수는 얼마인가?
(1) 평균을 기준으로 ±1 표준편차의 범위는 68.3%, 약 197개이다.
(2) 평균을 기준으로 ±2 표준편차의 범위는 95.4%, 약 286개이다.
(3) 표준정규분포에서 일 때 0.9994로, 75cm 이상일 확률은 0.6%이다. , 약 2개다.
(4) 표준정규분포에서 이므로, 마찬가지로 55cm 이하일 확률은 0.6%이다. , 약 2개다.
추천자료
행복한 삶과 가족 (중간)
섭식장애
[정신건강론] DSM-IV에 따른 소아기의 정신건강 - 지적장애,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 주의력...
저체중출생아 케이스 스터디(간호과정)
[영아기 신체발달] 영아기 신장과 체중의 발달 골격과 근육의 발달 치아발달 두뇌와 신경계 ...
신생아기 영아기 신체 및 운동발달
신생아기 및 영아기 발달 특징에 대해 정리하시고 영아기 보육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지 ...
생물통계학 ) 체중증가량 전체 자료의 성별(M F)에 따른 도수분포표와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라
생물통계학 ) 다음과 같이 사료 투여량과 체중증가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산점도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