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① 만하임의 세대 정의
②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③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④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⑤ 세대간 젠더 갈등
⑥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⑦ 노년기 부모세대와 성인 전기 자녀 세대의 가치관 차이와 소통법
⑧ 촛불광장과 태극기광장의 비교
⑨ 세대간 분배갈등의 원인
⑩ 세대간 일자리 갈등의 쟁점
⑪ 일본의 실버민주주의
⑫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⑬ 디지털 시대의 창의성의 원천
⑭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⑮ 갈등해결의 두 가지 길
문제 2. 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에서 영화평을 작성하시오.
영화내용은 검색을 통해서 파악
① 만하임의 세대 정의
②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③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④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⑤ 세대간 젠더 갈등
⑥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⑦ 노년기 부모세대와 성인 전기 자녀 세대의 가치관 차이와 소통법
⑧ 촛불광장과 태극기광장의 비교
⑨ 세대간 분배갈등의 원인
⑩ 세대간 일자리 갈등의 쟁점
⑪ 일본의 실버민주주의
⑫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⑬ 디지털 시대의 창의성의 원천
⑭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⑮ 갈등해결의 두 가지 길
문제 2. 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에서 영화평을 작성하시오.
영화내용은 검색을 통해서 파악
본문내용
. “살아온 발자취”가 있었고, 우리는 그것을 자세히 모른다.
이 영화를 보면서 문득 생각난 것이 있었다. 가족을 위한 희생은 어느 가족에게도 있다는 것을. 우리 가족도 내 주변의 가족도 분명 그러한 희생 하나, 둘은 가지고 있다. 작은 것이든 큰 것이든 부모는 자녀에게 주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요즘은 Z세대라고 해서 부모님인 X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가 나타났다.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아이들. 아마 고등학생부터 대학생이 막 된 사회인들이다. 이들도 부모님에게 세대 차이를 느끼고 학교에 다니면서 만나는 선배들이나 교수님들, 또는 선생님들에게 세대 차이를 느낄 것이다. 그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해를 원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러한 희생과 아픔과 부모님들의 심정이 이러한 것이라고 알려주고 싶다. 이 영화가 흥행할 당시 20대부터 50대의 다양한 사람들이 보았고, 그들에게 공감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조금 아쉬운 것이 있다면, X세대의 세대 갈등에 관해서는 조금 부족했던 것 같다. 주인공, 즉 주인공은 1950년대를 살았던 조부모님 세대이며, 그 이후 자녀가 결혼하고 또 이어진 손주가 X세대를 이어나가는데 X세대들만의 세대 갈등은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1985년의 시기라던가,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 등도 더 다루었다면 좋았을텐데, 라고 아쉬운 점이 있다.
3) 결론
마지막으로 우리는 세대의 갈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부모님 세대와 현재 세대 어느 한 방향만이 우세하다고 말하고 싶은 것도 아니며, 단지 세대의 갈등은 좋지 않다고 생각한 것이다. 어른이라고 해서 무조건 잘난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며, 현재 세대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고 싶을 뿐이다. 그 의견을 같이 들어야 하지 않은가. 그래서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관계를 맺어, 가정과 사회에 올바른 생각을 심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것도 많다. 이미 쌓아온 서로 다른 가치관을 맞춰나가자는 것은 어렵겠지만 지금이라도 해나간다면 나의 자녀가, 내 가족, 또 이후로도 생겨날 많은 세대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말 하나, 행동 하나를 바꿔나가도록 하자. 어른이 다 그래, 젊은이들은 다 그래. 라는 생각을 버리고 그 문장 하나가 잘못되었다면 잘못을 인정하고, 그 의미가 우리에게 지혜를 준다면 한 번쯤은 그 말을 새겨들을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지도록 하자.
출처 및 참고문헌
[인공지능]⑥ AI의 발전, 빛과 그림자는, 유근일, 이데일리, 2015.11.10
세대갈등은 왜 일어나는가?, 허두영, 브런치, 2018.08.30
우리는 디지털 사회의 새로운 시민성을 갖추고 있는가, 구본권, 한겨레, 2014.02.05
[만물상] 실버 민주주의, 선우정/김도원, 조선일보, 2016.02.18
\"세대간 일자리 갈등 해법…직업 분업화·임금체계 개편\", 조재영, 연합뉴스, 2014.07.08
이 영화를 보면서 문득 생각난 것이 있었다. 가족을 위한 희생은 어느 가족에게도 있다는 것을. 우리 가족도 내 주변의 가족도 분명 그러한 희생 하나, 둘은 가지고 있다. 작은 것이든 큰 것이든 부모는 자녀에게 주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요즘은 Z세대라고 해서 부모님인 X세대의 뒤를 잇는 세대가 나타났다.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아이들. 아마 고등학생부터 대학생이 막 된 사회인들이다. 이들도 부모님에게 세대 차이를 느끼고 학교에 다니면서 만나는 선배들이나 교수님들, 또는 선생님들에게 세대 차이를 느낄 것이다. 그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영화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해를 원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러한 희생과 아픔과 부모님들의 심정이 이러한 것이라고 알려주고 싶다. 이 영화가 흥행할 당시 20대부터 50대의 다양한 사람들이 보았고, 그들에게 공감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조금 아쉬운 것이 있다면, X세대의 세대 갈등에 관해서는 조금 부족했던 것 같다. 주인공, 즉 주인공은 1950년대를 살았던 조부모님 세대이며, 그 이후 자녀가 결혼하고 또 이어진 손주가 X세대를 이어나가는데 X세대들만의 세대 갈등은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1985년의 시기라던가,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 등도 더 다루었다면 좋았을텐데, 라고 아쉬운 점이 있다.
3) 결론
마지막으로 우리는 세대의 갈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부모님 세대와 현재 세대 어느 한 방향만이 우세하다고 말하고 싶은 것도 아니며, 단지 세대의 갈등은 좋지 않다고 생각한 것이다. 어른이라고 해서 무조건 잘난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며, 현재 세대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고 싶을 뿐이다. 그 의견을 같이 들어야 하지 않은가. 그래서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관계를 맺어, 가정과 사회에 올바른 생각을 심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려운 것도 많다. 이미 쌓아온 서로 다른 가치관을 맞춰나가자는 것은 어렵겠지만 지금이라도 해나간다면 나의 자녀가, 내 가족, 또 이후로도 생겨날 많은 세대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말 하나, 행동 하나를 바꿔나가도록 하자. 어른이 다 그래, 젊은이들은 다 그래. 라는 생각을 버리고 그 문장 하나가 잘못되었다면 잘못을 인정하고, 그 의미가 우리에게 지혜를 준다면 한 번쯤은 그 말을 새겨들을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지도록 하자.
출처 및 참고문헌
[인공지능]⑥ AI의 발전, 빛과 그림자는, 유근일, 이데일리, 2015.11.10
세대갈등은 왜 일어나는가?, 허두영, 브런치, 2018.08.30
우리는 디지털 사회의 새로운 시민성을 갖추고 있는가, 구본권, 한겨레, 2014.02.05
[만물상] 실버 민주주의, 선우정/김도원, 조선일보, 2016.02.18
\"세대간 일자리 갈등 해법…직업 분업화·임금체계 개편\", 조재영, 연합뉴스, 2014.07.08
추천자료
신경제 이후의 사태(디지털 경제)
[2017 인간과과학 공통1번항목]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
[교양글쓰기]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의 문제와 해결방안(일자리감소사회적양극화인공지능도덕...
인공지능(AI)의 장단점, 현황 및 일자리 변화 전망
2020년 2학기 세대와소통 기말시험 과제물(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 영화평)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세대와소통(공통)(만하임세대정의,국제시장,세...
세대와소통 ) 1. 만하임의 세대론 2.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3.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4. 인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