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대와소통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① 만하임의 세대 정의
②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③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④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⑤ 세대간 젠더 갈등
⑥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⑦ 노년기 부모세대와 성인 전기 자녀 세대의 가치관 차이와 소통법
⑧ 촛불광장과 태극기광장의 비교
⑨ 세대간 분배갈등의 원인
⑩ 세대간 일자리 갈등의 쟁점
⑪ 일본의 실버민주주의
⑫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⑬ 디지털 시대의 창의성의 원천
⑭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⑮ 갈등해결의 두 가지 길
문제 2. 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에서 영화평을 작성하시오.
목차
문제1
1 . 만하임의 세대론
2.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3.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4.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5.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출처 및 참고문헌
문제2
1. 서론
2. 본론
(1) 영화 국제시장에 대한 소개
(2) 세대갈등이란?
(3) 가족주의란?
(4)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불러온 대한민국
(5) <국제시장>의 가족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① 만하임의 세대 정의
②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③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④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⑤ 세대간 젠더 갈등
⑥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⑦ 노년기 부모세대와 성인 전기 자녀 세대의 가치관 차이와 소통법
⑧ 촛불광장과 태극기광장의 비교
⑨ 세대간 분배갈등의 원인
⑩ 세대간 일자리 갈등의 쟁점
⑪ 일본의 실버민주주의
⑫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⑬ 디지털 시대의 창의성의 원천
⑭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⑮ 갈등해결의 두 가지 길
문제 2. 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에서 영화평을 작성하시오.
목차
문제1
1 . 만하임의 세대론
2.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3. 가족의 세대통합 기능
4.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5. 디지털 시대의 책임성
출처 및 참고문헌
문제2
1. 서론
2. 본론
(1) 영화 국제시장에 대한 소개
(2) 세대갈등이란?
(3) 가족주의란?
(4)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불러온 대한민국
(5) <국제시장>의 가족주의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과해왔으며 이러한정치, 경제적 혼란은 ‘강력한 힘의 소유자’로서 “남성의 역할을 호명”하게 된다. 김현주, 남성성의 귀환과 가족의 재건, 근대서지 8호, 2013, 339쪽.
특히 1960년대 초 수립된 군사정권은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하면서 “가족주의 전통을 강화”하였으며 그 이념적 명분으로서 “가족 개념을 확대한 민족주의나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설정하였다. 혼란의 시기에 국가는 강력한 권력이 필요하였고 가부장적 가족주의 하에서 의 가장의 강력한 권위를 차용함으로써 그를 대신하였다.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국가적 확대는 가족의 부양 및 발전을 위한 가장의 자기희생을 발판으로 국가주도의 압축적 근대화에 촉매 로 기능한다. 노구의 부모와 동생들의 생계를 위해, 혹은 동생이나 자 식의 대학 교육을 위해 서울의 공장이나 해외의 건설 현장 등으로 나 간 가장의 희생은 가족에 대한 의무수행 만큼이나 국가의 근대화에 자양분을 제공하였다.
(5) <국제시장>의 가족주의
가장의 권위가 바닥에 떨어진 덕수 가족의 모습을 시작부에 배치함으로써, 이 영화는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 체계인 가부장 적 가족주의에 대해 이야기할 것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 한 이러한 시작부는 이후 펼쳐질 덕수의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이 감동적으로 다가오게끔 만드는 감정적 토대를 제공한다.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장면은 바로 영화 맨 마지막 부분의 ‘제사’ 장면이다. 할머니의 제사에 맞춰 여행에서 돌아 온 자식들은 아버지 덕수를 제주(祭主)로 하여 제사를 올 린다. 즉 <국제시장>의 서사구조는 길례의 제사를 명분으로 덕수의 가족이 모이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제사가 끝나고 온 가족이 둘러앉아 어린 손주의 재롱을 보며 웃고 즐기는 장면으로 끝이 난다. 제사는 조상에 대한 효의 상징이자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한데 모여 가족의 화 합과 안녕을 도모하는 가족주의의 상징적인 의식이다. 제사를 이끄는 주인은 가장, 그 중에서도 가부장이며, 따라서 덕수를 중심으로 온 가 족이 모여 제사를 모시는 장면은 그 자체로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재 현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족들의 효 중심 사상에서 세대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덕수의 효와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을 보면서도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효에 생각과 입장 차이를 알아볼 수 있다. 덕수의 효와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은 해양대학교를 졸업하여 선장이 되고 싶다는 자신의 꿈을 희생함으로써 가족의 발전적 승계를 도모하며 보여준다. 동생의 대학공부를 위해 자신의 꿈을 포기하는 덕수의 모습은 개인 보다는 가족을 더 중시하는 가족주의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가족의 발전적 승계를 책임져야 하는 가장의 의무 또한 재현 하고 있다.
가장의 자기희생은 일련의 영상들을 통해서도 전달된다. 절망적인 눈빛으로 독일 함보른 광산의 지하 갱도로 향하는 덕수, 달구, 그리고 한국인 광부들. “살아서 지상에서 만납시다!”라는 말을 서로 주고받으 며 지하로 향하고, 이어 힘들고 위험한 일에 지치고 다쳐 쓰러지는 한국인 광부들의 모습과 얼굴에 석탄 덩어리가 튀어 피를 흘리는 덕 수의 모습이 지나간다. 목숨을 건 노동에 빵 한 조각과 눈물로 점심 을 때우는 광부들의 장면에 이어 시꺼먼 석탄이 온 몸에서 흘러내리 는 샤워 장면, 그리고 공동 숙소에서 흐느끼는 어린 광부의 모습과 편지를 쓰는 광부의 모습, 창밖을 보며 울고 있는 덕수의 모습이 이 어지며 가족의 부양을 위해 근대화의 역군이라는 허울을 쓰고 스스로 를 희생하는 가장의 모습이 재현된다. 중환자를 간호하며 대변을 받 아내고 시체를 닦으며 눈물을 흘리는 한국인 여(女)간호사들의 모습 또한 관객에게 전달됨은 물론이다. 이처럼 덕수가 가장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는 주요 대목마다 가부 장으로서의 국가가 늘 존재하며 덕수의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플롯의 전진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 결과적으로 덕수의 행위는 곧 가부장 으로서의 국가와 등치를 이룬다.
한 편, 가장은 임금노동을 통해 가족을 발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가족주의의 가치는 “꽃분이네”라는 가게 이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덕수의 고모인 꽃분은 국제시장에서 “꽃분이네”라는 이름으로 가게를 내어 생계를 꾸려간다. 고모부인 꽃분의 남편은 무직으로 매일술을 마시며 꽃분에게 행패를 부리는 것이 일상이다. 꽃분은 그를 가장으로 대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가리도 못추는 종간나 새끼!”라며비난한다. 임금노동을 통해 가족을 부양하지 않는, 즉 기본 조건을 갖추지 못하는 남자는 가장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가게 이름 또한 남편이 아닌 자신의 이름을 따 “꽃분이네”라고 짓는다. 즉 덕수고모네의 가장은 노동을 통해 돈을 버는 꽃분인 것이다.
3. 결론
이러한 가족주의의 극대화만을 담고있는 국제시장은 기성세대들에게는 효와 가족주의 만을 강조하는 영화로 다가왔으며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보수 이데올로기가 덕수 개인의 가족애와 희생의 이야기로 전환했다 해도 세대차이가 느껴질 수 밖에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현대영화연구, <국제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2015, vol.11,no.3, 통권 22호 pp. 257-286 (30 pages)
권유리야, 명령하는 아버지 응답하는 아들: 유아적 노년의 로컬 부산영화 <국제시장>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45, 2015.12, 93-111(19 pages)
류재형. (2015). <국제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 11(3), 257-286.
최유석,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2014.12 61 - 87(27 pages)
박재흥, 2009; Fullerton and Dixon, 2010
Daniel Harrison Kulp II, Country Life in South China: The Sociology ofFamilism, Taipei: Ch’eng Wen Publishing Company, 1972,
김동춘, 유교(儒敎)와 한국의 가족주의, [경제와 사회] 55호, 2002, 94쪽
김현주, 남성성의 귀환과 가족의 재건, 근대서지 8호, 2013, 339쪽.
특히 1960년대 초 수립된 군사정권은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 정책을 추진하면서 “가족주의 전통을 강화”하였으며 그 이념적 명분으로서 “가족 개념을 확대한 민족주의나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설정하였다. 혼란의 시기에 국가는 강력한 권력이 필요하였고 가부장적 가족주의 하에서 의 가장의 강력한 권위를 차용함으로써 그를 대신하였다.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국가적 확대는 가족의 부양 및 발전을 위한 가장의 자기희생을 발판으로 국가주도의 압축적 근대화에 촉매 로 기능한다. 노구의 부모와 동생들의 생계를 위해, 혹은 동생이나 자 식의 대학 교육을 위해 서울의 공장이나 해외의 건설 현장 등으로 나 간 가장의 희생은 가족에 대한 의무수행 만큼이나 국가의 근대화에 자양분을 제공하였다.
(5) <국제시장>의 가족주의
가장의 권위가 바닥에 떨어진 덕수 가족의 모습을 시작부에 배치함으로써, 이 영화는 가족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 체계인 가부장 적 가족주의에 대해 이야기할 것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 한 이러한 시작부는 이후 펼쳐질 덕수의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이 감동적으로 다가오게끔 만드는 감정적 토대를 제공한다.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장면은 바로 영화 맨 마지막 부분의 ‘제사’ 장면이다. 할머니의 제사에 맞춰 여행에서 돌아 온 자식들은 아버지 덕수를 제주(祭主)로 하여 제사를 올 린다. 즉 <국제시장>의 서사구조는 길례의 제사를 명분으로 덕수의 가족이 모이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제사가 끝나고 온 가족이 둘러앉아 어린 손주의 재롱을 보며 웃고 즐기는 장면으로 끝이 난다. 제사는 조상에 대한 효의 상징이자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한데 모여 가족의 화 합과 안녕을 도모하는 가족주의의 상징적인 의식이다. 제사를 이끄는 주인은 가장, 그 중에서도 가부장이며, 따라서 덕수를 중심으로 온 가 족이 모여 제사를 모시는 장면은 그 자체로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재 현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족들의 효 중심 사상에서 세대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덕수의 효와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을 보면서도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효에 생각과 입장 차이를 알아볼 수 있다. 덕수의 효와 가장으로서의 자기희생은 해양대학교를 졸업하여 선장이 되고 싶다는 자신의 꿈을 희생함으로써 가족의 발전적 승계를 도모하며 보여준다. 동생의 대학공부를 위해 자신의 꿈을 포기하는 덕수의 모습은 개인 보다는 가족을 더 중시하는 가족주의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가족의 발전적 승계를 책임져야 하는 가장의 의무 또한 재현 하고 있다.
가장의 자기희생은 일련의 영상들을 통해서도 전달된다. 절망적인 눈빛으로 독일 함보른 광산의 지하 갱도로 향하는 덕수, 달구, 그리고 한국인 광부들. “살아서 지상에서 만납시다!”라는 말을 서로 주고받으 며 지하로 향하고, 이어 힘들고 위험한 일에 지치고 다쳐 쓰러지는 한국인 광부들의 모습과 얼굴에 석탄 덩어리가 튀어 피를 흘리는 덕 수의 모습이 지나간다. 목숨을 건 노동에 빵 한 조각과 눈물로 점심 을 때우는 광부들의 장면에 이어 시꺼먼 석탄이 온 몸에서 흘러내리 는 샤워 장면, 그리고 공동 숙소에서 흐느끼는 어린 광부의 모습과 편지를 쓰는 광부의 모습, 창밖을 보며 울고 있는 덕수의 모습이 이 어지며 가족의 부양을 위해 근대화의 역군이라는 허울을 쓰고 스스로 를 희생하는 가장의 모습이 재현된다. 중환자를 간호하며 대변을 받 아내고 시체를 닦으며 눈물을 흘리는 한국인 여(女)간호사들의 모습 또한 관객에게 전달됨은 물론이다. 이처럼 덕수가 가장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는 주요 대목마다 가부 장으로서의 국가가 늘 존재하며 덕수의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플롯의 전진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 결과적으로 덕수의 행위는 곧 가부장 으로서의 국가와 등치를 이룬다.
한 편, 가장은 임금노동을 통해 가족을 발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가족주의의 가치는 “꽃분이네”라는 가게 이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덕수의 고모인 꽃분은 국제시장에서 “꽃분이네”라는 이름으로 가게를 내어 생계를 꾸려간다. 고모부인 꽃분의 남편은 무직으로 매일술을 마시며 꽃분에게 행패를 부리는 것이 일상이다. 꽃분은 그를 가장으로 대하지 않는다. 오히려 “매가리도 못추는 종간나 새끼!”라며비난한다. 임금노동을 통해 가족을 부양하지 않는, 즉 기본 조건을 갖추지 못하는 남자는 가장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가게 이름 또한 남편이 아닌 자신의 이름을 따 “꽃분이네”라고 짓는다. 즉 덕수고모네의 가장은 노동을 통해 돈을 버는 꽃분인 것이다.
3. 결론
이러한 가족주의의 극대화만을 담고있는 국제시장은 기성세대들에게는 효와 가족주의 만을 강조하는 영화로 다가왔으며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보수 이데올로기가 덕수 개인의 가족애와 희생의 이야기로 전환했다 해도 세대차이가 느껴질 수 밖에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현대영화연구, <국제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2015, vol.11,no.3, 통권 22호 pp. 257-286 (30 pages)
권유리야, 명령하는 아버지 응답하는 아들: 유아적 노년의 로컬 부산영화 <국제시장>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45, 2015.12, 93-111(19 pages)
류재형. (2015). <국제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 11(3), 257-286.
최유석,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2014.12 61 - 87(27 pages)
박재흥, 2009; Fullerton and Dixon, 2010
Daniel Harrison Kulp II, Country Life in South China: The Sociology ofFamilism, Taipei: Ch’eng Wen Publishing Company, 1972,
김동춘, 유교(儒敎)와 한국의 가족주의, [경제와 사회] 55호, 2002, 94쪽
김현주, 남성성의 귀환과 가족의 재건, 근대서지 8호, 2013, 339쪽.
추천자료
건축 디자인
인간과과학 )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어떻게 바꿀 것인지 ...
[2020 세대와소통2공통][기말시험] 1.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2.영화 <...
2020년 2학기 세대와소통 기말시험 과제물(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 영화평)
[세대와소통 2학년]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세대와소통 생2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40점) 문제 2. 영...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세대와소통(공통)(만하임세대정의,국제시장,세...
세대와소통 ) 1) 세대 내 차이의 주요 원인 2)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3) 세대간 일자리 갈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