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전자변형식품을 개발하는 방법
2.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
3. ⌜유전자변형식품 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98호)⌟의 목적, 표시대상, 표시의무자, 표시방법
4. 식품산업에 이용되는 방사선 종류 및 특성
5. 식품공전의 ⌜식품조사처리 기준⌟
6. 식품공전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 5가지
7. 출처 및 참고문헌
2.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
3. ⌜유전자변형식품 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98호)⌟의 목적, 표시대상, 표시의무자, 표시방법
4. 식품산업에 이용되는 방사선 종류 및 특성
5. 식품공전의 ⌜식품조사처리 기준⌟
6. 식품공전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 5가지
7.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선은 감마선으로, 감마선은 식품 및 의료산업의 방사선 활용 중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자선이다. 전자선은 20% 미만의 비율을 차지하는데 이에 따라 다른 방사선은 식품 및 의료산업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X선의 경우 진단 이외의 장면에서는 활용이 어려워 매우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산업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감마선의 특징은 투과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살균 과정 이후 재포장을 하며 발생할 수 있는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식품산업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감마선은 제품의 풍온이 상승하며 나타날 수 있는 성분의 파괴를 가장 많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유해성분이 발생하는 화학 훈증제나 보존제와 달리 유해성분 생성이나 잔류성분의 존재로부터 안전하다.
이러한 방사선의 특징으로 인하여 식품조사처리는 식량자원의 안전한 장기 저장과 식량 안보에 필요하며, 안전한 식품생산에 이바지한다.
5. 식품공전의 식품조사처리 기준
식품공전에 따르면 식품조사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방사선의 종류는 감마선 또는 전자선이다. 선종에 따라 사용 가능한 선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마선을 방출하는 선원의 경우, 60Co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선을 방출하는 선원으로는 전자선 가속기가 이용할 수 있다.
만약, 60Co를 활용하여 감마선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 식품조사처리가 허용된 품목별 흡수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전자선가속기를 이용하여 식품조사처리를 하면 10 MeV 이하에서 조사처리 하여야 하며, 감마선 에너지를 사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식품조사처리가 허용된 품목별 흡수선량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한편, 식품조사처리는 승인된 원료나 품목 등에 한하여 위생적으로 취급보관된 경우에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살균이나 살충, 발아 억제 또는 숙도 조절 이외의 목적으로 식품조사처리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된다.
마지막으로, 한번 조사처리한 식품을 재차 조사하는 것은 금지된다. 조사식품(Irradiated food)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또한 다시 조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림] 검색화면 캡처 결과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12)
6. 식품공전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 5가지
식품공전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방법이 있다.
1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스크리닝검사법)
2
광자극발광법(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3
열발광법(Thermoluminescence, TL)
4
전자스핀공명법(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ESR)
5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각각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기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코메트 분석법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은 이온화 방사선 조사라고도 한다. 해당 기법은 세포의 유전자에 손상을 일으킨다. 이후 단일 세포의 마이크로젤 전기영동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유전자가 손상된 정도를 코메트 세포를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은 우육, 돈육, 계육과 같은 냉동 및 냉장 식육에 대한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에 활용된다.
광자극발광법(PSL)
광자극발광법(PSL)이란 건조향신료(단, 육두구, 후추, 정향 제외), 고춧가루, 마늘, 양파에 적용되는 방사선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식품에 혼입된 이물질인 광물질의 발광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광물질은 방사선 조사를 통해 에너지가 저장되며, 이후 일정한 온도의 적외선에 노출되면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방출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열발광법(TL)
열발광법(TL)이란 앞서 살펴본 광자극발광법과 마찬가지로 식품에 혼입된 이물질인 광물질의 발광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다만 열발광법에서는 일정한 온도의 적외선에 노출시키는 것이 아닌 일정온도의 열에 광물질을 노출시킨다. 이때 방출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열발광법은 건조향신료 중 광자극발광법에서 제외된 식품, 두류, 곡류, 소스류, 2종 이상이 혼합된 식품과 광물질(silicate minerals)이 분리가 가능한 식품 등에 적용된다.
전자스핀공명법(ESR)
전자스핀공명법(ESR)은 뼈, 셀룰로오스 및 결정형 당(crystalline sugar)을 함유한 식품에 대한 방사선 조사로 생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의 잔존량을 분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자스핀 공명법에서는 자장에 의하여 전자가 공명한 후 방출하는 에너지의 차이를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한다.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피스타치오 껍질이나 딸기, 결정형 당을 포함하는 건포도 등의 건과일, 그리고 뼈를 포함하는 우육, 돈육 등의 식품에 적용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은 지방질 식품에서 방사선 조사로 생성된 탄화수소를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방사선 조사로 생성된 탄화수소는 원래의 지방산보다 탄소수가 1개 적거나, 2개 적으면서 첫 번째 탄소 위치에 새로운 이중결합을 가진 탄화수소를 말한다. 이를 측정하면 식품에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해당 기법은 식육, 난분 등의 식품에 적용된다.
[그림] 검색화면 캡처 결과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2.jsp?idx=263)
7. 출처 및 참고문헌
강영희. 생명과학대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2008.
식품의약품 안전처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기준. 국가법령정보센터.
황순관. 원자력(硏), 방사선 식품 조사 국제 심포지엄 개최. 한국원자력 연구원.
감마선의 특징은 투과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살균 과정 이후 재포장을 하며 발생할 수 있는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식품산업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감마선은 제품의 풍온이 상승하며 나타날 수 있는 성분의 파괴를 가장 많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유해성분이 발생하는 화학 훈증제나 보존제와 달리 유해성분 생성이나 잔류성분의 존재로부터 안전하다.
이러한 방사선의 특징으로 인하여 식품조사처리는 식량자원의 안전한 장기 저장과 식량 안보에 필요하며, 안전한 식품생산에 이바지한다.
5. 식품공전의 식품조사처리 기준
식품공전에 따르면 식품조사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방사선의 종류는 감마선 또는 전자선이다. 선종에 따라 사용 가능한 선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마선을 방출하는 선원의 경우, 60Co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선을 방출하는 선원으로는 전자선 가속기가 이용할 수 있다.
만약, 60Co를 활용하여 감마선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 식품조사처리가 허용된 품목별 흡수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전자선가속기를 이용하여 식품조사처리를 하면 10 MeV 이하에서 조사처리 하여야 하며, 감마선 에너지를 사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식품조사처리가 허용된 품목별 흡수선량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한편, 식품조사처리는 승인된 원료나 품목 등에 한하여 위생적으로 취급보관된 경우에만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살균이나 살충, 발아 억제 또는 숙도 조절 이외의 목적으로 식품조사처리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된다.
마지막으로, 한번 조사처리한 식품을 재차 조사하는 것은 금지된다. 조사식품(Irradiated food)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또한 다시 조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림] 검색화면 캡처 결과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12)
6. 식품공전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 5가지
식품공전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에는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방법이 있다.
1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스크리닝검사법)
2
광자극발광법(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3
열발광법(Thermoluminescence, TL)
4
전자스핀공명법(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ESR)
5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각각의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 기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코메트 분석법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은 이온화 방사선 조사라고도 한다. 해당 기법은 세포의 유전자에 손상을 일으킨다. 이후 단일 세포의 마이크로젤 전기영동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유전자가 손상된 정도를 코메트 세포를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유전자코메트 분석법은 우육, 돈육, 계육과 같은 냉동 및 냉장 식육에 대한 방사선 조사식품 확인시험에 활용된다.
광자극발광법(PSL)
광자극발광법(PSL)이란 건조향신료(단, 육두구, 후추, 정향 제외), 고춧가루, 마늘, 양파에 적용되는 방사선조사식품 확인시험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식품에 혼입된 이물질인 광물질의 발광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광물질은 방사선 조사를 통해 에너지가 저장되며, 이후 일정한 온도의 적외선에 노출되면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방출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열발광법(TL)
열발광법(TL)이란 앞서 살펴본 광자극발광법과 마찬가지로 식품에 혼입된 이물질인 광물질의 발광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다만 열발광법에서는 일정한 온도의 적외선에 노출시키는 것이 아닌 일정온도의 열에 광물질을 노출시킨다. 이때 방출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열발광법은 건조향신료 중 광자극발광법에서 제외된 식품, 두류, 곡류, 소스류, 2종 이상이 혼합된 식품과 광물질(silicate minerals)이 분리가 가능한 식품 등에 적용된다.
전자스핀공명법(ESR)
전자스핀공명법(ESR)은 뼈, 셀룰로오스 및 결정형 당(crystalline sugar)을 함유한 식품에 대한 방사선 조사로 생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의 잔존량을 분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자스핀 공명법에서는 자장에 의하여 전자가 공명한 후 방출하는 에너지의 차이를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한다.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피스타치오 껍질이나 딸기, 결정형 당을 포함하는 건포도 등의 건과일, 그리고 뼈를 포함하는 우육, 돈육 등의 식품에 적용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은 지방질 식품에서 방사선 조사로 생성된 탄화수소를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방사선 조사로 생성된 탄화수소는 원래의 지방산보다 탄소수가 1개 적거나, 2개 적으면서 첫 번째 탄소 위치에 새로운 이중결합을 가진 탄화수소를 말한다. 이를 측정하면 식품에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해당 기법은 식육, 난분 등의 식품에 적용된다.
[그림] 검색화면 캡처 결과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2.jsp?idx=263)
7. 출처 및 참고문헌
강영희. 생명과학대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2008.
식품의약품 안전처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기준. 국가법령정보센터.
황순관. 원자력(硏), 방사선 식품 조사 국제 심포지엄 개최. 한국원자력 연구원.
추천자료
[푸드마케팅 공통]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한 가지...
2020년 2학기 식품위생학 기말시험 과제물(유전자변형식품, 방사선조사기술 등)
식품위생학 생4 목차 1.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은 유전자...
식품위생학
식품위생학 )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은 유전자변형기술을 이용...
식품위생학 )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은 유전자변형기술을 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