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영화기획 및 제작 단계
2.영화<반도>의 사례
Ⅲ.결론
[참고문헌]
Ⅱ.본론
1.영화기획 및 제작 단계
2.영화<반도>의 사례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는데, 한국형 좀비가 창궐한 대한민국에서 <부산행>의 영화에서 발생한 사건 이후 4년 뒤의 남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는 영화이다. 이는 한국에서 좀처럼 볼 수 없었던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으며, 절망적인 시대 상황에서 삶과 휴머니즘이라는 현대의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하였던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관객이 중요하게 여기는 인간 군상이나 삶의 모습을 포스트 아포칼립스라는 독특성과 결합하였다는 점에서 기획영화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나리오에 있어 <부산행>의 세계관과 같은데, <부산행>의 경우에는 좀비가 감염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을 부각하였다면, <반도>의 경우 그 4년 후의 상황으로 생존자가 좀비의 특성에 대하여 잘 파악하고 있으며, 좀비의 외형도 이전과는 달리 지저분하고 노후화된 상황을 부각하여 그 독특성을 살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실 세계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도시를 기반으로 폐허가 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감독이 밝힌 바에 따르면 <반도>는 프리 프로덕션 기간에 완벽한 준비를 이루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우선, 영화의 전반적인 부분이 포스트 아포칼립스라는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의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하였고, 이를 위해 약 10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도심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익숙한 배경을 한 번도 보지 못한 폐허로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배경을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631부대’의 아지트의 경우 해외의 폐 쇼핑몰을 참고하여 실제로 세트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영화의 제작과정에 있어서는 촬영에 있어 현실감 있는 액션을 위하여 컷이 긴 촬영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좀비와의 실감나는 추격전을 찍기 위하여 대규모 카 체이싱에 중점을 두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촬영은 CG 작업을 거쳐 더 실감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다. “반도”, 영화정보, 씨네21, 최종접속일 20.10.07.
Ⅲ.결론
현대 영화산업에서의 영화 제작은 단순히 감독의 창의성이나 역량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영화산업에서는 다양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으며 시나리오에 따라 적합한 감독이 투입되고, 시나리오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개입한다. 즉, 영화의 제작은 일련의 필수적인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며 각 단계가 충실히 수행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반도>는 기획 및 프리 프로덕션부터 제작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고 준비하여 잘 제작된 영화라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반도>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영화산업이 주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흥행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민경원, “영화제작 과정”, 영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최종접속일 20.11.07.
“반도”, 영화정보, 씨네21, 최종접속일 20.10.07.
정지훈. \"한국 기획영화 제작의 프리 프로덕션 단계 중요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충청북도
또한 시나리오에 있어 <부산행>의 세계관과 같은데, <부산행>의 경우에는 좀비가 감염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을 부각하였다면, <반도>의 경우 그 4년 후의 상황으로 생존자가 좀비의 특성에 대하여 잘 파악하고 있으며, 좀비의 외형도 이전과는 달리 지저분하고 노후화된 상황을 부각하여 그 독특성을 살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실 세계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도시를 기반으로 폐허가 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감독이 밝힌 바에 따르면 <반도>는 프리 프로덕션 기간에 완벽한 준비를 이루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우선, 영화의 전반적인 부분이 포스트 아포칼립스라는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의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하였고, 이를 위해 약 10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도심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익숙한 배경을 한 번도 보지 못한 폐허로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배경을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631부대’의 아지트의 경우 해외의 폐 쇼핑몰을 참고하여 실제로 세트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영화의 제작과정에 있어서는 촬영에 있어 현실감 있는 액션을 위하여 컷이 긴 촬영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좀비와의 실감나는 추격전을 찍기 위하여 대규모 카 체이싱에 중점을 두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촬영은 CG 작업을 거쳐 더 실감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다. “반도”, 영화정보, 씨네21, 최종접속일 20.10.07.
Ⅲ.결론
현대 영화산업에서의 영화 제작은 단순히 감독의 창의성이나 역량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영화산업에서는 다양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으며 시나리오에 따라 적합한 감독이 투입되고, 시나리오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개입한다. 즉, 영화의 제작은 일련의 필수적인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며 각 단계가 충실히 수행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반도>는 기획 및 프리 프로덕션부터 제작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고 준비하여 잘 제작된 영화라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반도>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영화산업이 주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흥행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민경원, “영화제작 과정”, 영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최종접속일 20.11.07.
“반도”, 영화정보, 씨네21, 최종접속일 20.10.07.
정지훈. \"한국 기획영화 제작의 프리 프로덕션 단계 중요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충청북도
추천자료
[기업분석] CJ E&M 분석 (CJ ENM 분석)
2021년 2학기 영화기획제작 기말시험 과제물
영화기획제작)2019∼2021년에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영화를 사례로 들어, 영화기획 및 제작의 ...
영화 기획 제작 ) 2019-2020년에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영화를 사례로 들어, 영화기획 및 제작...
영화기획제작 ) 2019-2020년에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영화를 사례로 들어, 영화기획 및 제작의...
영화기획제작 ) 2019-2020년에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영화를 사례로 들어, 영화기획 및 제작의...
영화,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