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비영리조직의 정의 및 사회적 중요성
- 우리나라 비영리조직 : 대한적십자사
- 비영리조직과 기업을 4가지 측면에서 비교, 유사점과 차이점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 비영리조직의 정의 및 사회적 중요성
- 우리나라 비영리조직 : 대한적십자사
- 비영리조직과 기업을 4가지 측면에서 비교, 유사점과 차이점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선 제일 먼저 추구해야 하는 것이 공공의 이익이기 때문에 시장에 대해서 기대 혹은 관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다음,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비영리조직에서 가장 큰 단위의 조직이라 하면,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한 국가의 정부를 말할 수 있다. 무조건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야만 하며, 기업과는 달리 비시장성을 띄고 있어야 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인적자원에 따라 기업의 전반적인 분위기 더 나아가서는 그 기업의 흥망성쇠까지도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고를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업성을 띄기 위해선 꾸준한 교육도 불사해야 하며, 어느정도의 융통성 역시 필요하다. 하지만 비영리조직에서 융통성이란 전혀 존재할 수 없는 단어이다. 이도 당연할 것이, 공공의 이익을 취하는 곳이라면 당연히 경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재무관리의 영역에서는 비영리 조직의 경우 계획이 철저하게 수립되어야 하고 예산이 필수적이다. 지출은 최소로 유지하되, 모금을 위한 계획도 수립해야 하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1년을 날 수 있을지 고민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도 비슷하다. 1년 사업계획표를 수립, 그에 따른 매출을 예상하여 1년 회사를 어떻게 운영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한다. 기업은 경제적으로 이익을 취득해야 하는 집단임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서 아주 철저하게 조사하고,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영리 조직도 같다. 예산은 한정되어 있으며 그 어느곳에서도 허투루 쓰면 안되기 때문에 세세하게 계획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회계의 관점이다. 둘 사이 유사한 것은 바로 기업의 재화 그리고 비영리조직의 서비스가 같은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을 공공에게 분배하고 판매하며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건 재화와 원재들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 이를 어떻게 최적화시켜 배분할 수 있느냐, 또한 이에 따라서 평가,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가 이들 회계의 목적인 것이다. 물론 여기서도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기업은 영리적이며 경제적인 이익을 목표로 하며, 비영리 조직은 사회의 공공에 이바지를 목표로 둔다는 점이다.
3. 결론
결국 비영리조직의 주는 사회원들을 위한 공통적인 사회적 혜택을 창출하고 또한 이를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목표이다. 여기엔 당연하게 봉사, 행사, 문화적인 요소 등이 모두 포함되며 더 나아가 환경적 요소, 건강적 요소까지도 포함이 가능하다. 비영리조직은 절대로 물질적 이익, 경제적인 이익을 탐하지 않고 목표하지 않는다. 이를 다시 말하자면, 비영리조직은 절대 물질적인 이익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의 그리고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물질적인 관심 역시 필요할 수 밖에 없다. 비영리조직이 꼭 우리 사회에 존재해야 하는 조직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공공연한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참고 문헌]
NGO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0, 김동춘
대한적십자사 사이트 www.redcross.or.kr
병원 인사 관리, 수문사, 2003, 김재수, 김영훈, 고성진
다음,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비영리조직에서 가장 큰 단위의 조직이라 하면,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한 국가의 정부를 말할 수 있다. 무조건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야만 하며, 기업과는 달리 비시장성을 띄고 있어야 한다. 기업의 경우에는, 인적자원에 따라 기업의 전반적인 분위기 더 나아가서는 그 기업의 흥망성쇠까지도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고를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업성을 띄기 위해선 꾸준한 교육도 불사해야 하며, 어느정도의 융통성 역시 필요하다. 하지만 비영리조직에서 융통성이란 전혀 존재할 수 없는 단어이다. 이도 당연할 것이, 공공의 이익을 취하는 곳이라면 당연히 경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재무관리의 영역에서는 비영리 조직의 경우 계획이 철저하게 수립되어야 하고 예산이 필수적이다. 지출은 최소로 유지하되, 모금을 위한 계획도 수립해야 하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1년을 날 수 있을지 고민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도 비슷하다. 1년 사업계획표를 수립, 그에 따른 매출을 예상하여 1년 회사를 어떻게 운영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야한다. 기업은 경제적으로 이익을 취득해야 하는 집단임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서 아주 철저하게 조사하고,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영리 조직도 같다. 예산은 한정되어 있으며 그 어느곳에서도 허투루 쓰면 안되기 때문에 세세하게 계획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회계의 관점이다. 둘 사이 유사한 것은 바로 기업의 재화 그리고 비영리조직의 서비스가 같은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을 공공에게 분배하고 판매하며 조직의 목표를 달성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건 재화와 원재들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 이를 어떻게 최적화시켜 배분할 수 있느냐, 또한 이에 따라서 평가,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가 이들 회계의 목적인 것이다. 물론 여기서도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기업은 영리적이며 경제적인 이익을 목표로 하며, 비영리 조직은 사회의 공공에 이바지를 목표로 둔다는 점이다.
3. 결론
결국 비영리조직의 주는 사회원들을 위한 공통적인 사회적 혜택을 창출하고 또한 이를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목표이다. 여기엔 당연하게 봉사, 행사, 문화적인 요소 등이 모두 포함되며 더 나아가 환경적 요소, 건강적 요소까지도 포함이 가능하다. 비영리조직은 절대로 물질적 이익, 경제적인 이익을 탐하지 않고 목표하지 않는다. 이를 다시 말하자면, 비영리조직은 절대 물질적인 이익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의 그리고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물질적인 관심 역시 필요할 수 밖에 없다. 비영리조직이 꼭 우리 사회에 존재해야 하는 조직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공공연한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참고 문헌]
NGO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0, 김동춘
대한적십자사 사이트 www.redcross.or.kr
병원 인사 관리, 수문사, 2003, 김재수, 김영훈, 고성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