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개요>
<사업부문>
<지역별 매출현황(1Q22)>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백만원)>
<국내 핫멜트 필름 접착제 시장 점유율>
<파노라마 선루프>
<동사 제품 적용 차량>
<신규사업>
<자동차 헤드라이너>
<글리터시트>
<특허 현황>
<생산실적 / 가동율 / 향후 투자 계획>
<자사주 10억 원 매입 공시 (2022.06.09)>
<1Q22 연결 실적>
<사업부문>
<지역별 매출현황(1Q22)>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백만원)>
<국내 핫멜트 필름 접착제 시장 점유율>
<파노라마 선루프>
<동사 제품 적용 차량>
<신규사업>
<자동차 헤드라이너>
<글리터시트>
<특허 현황>
<생산실적 / 가동율 / 향후 투자 계획>
<자사주 10억 원 매입 공시 (2022.06.09)>
<1Q22 연결 실적>
본문내용
[아셈스 기업 분석 자료]
<기업개요>
시가총액 : 1,223억 원
지분율
<사업부문>
핵심 역량 : 다양한 소재로 접착제 제조 기술 보유
향후 목표 : 석유화학 기반 → 천연물질 기반의 접착제 제조
<지역별 매출현황(1Q22)>
해외매출 비중 : 78%
동남아시아 시장을 넘어 향후 유럽, 남미 등으로 해외시장 넓혀갈 계획
우크라이나 전쟁 후 복구 분위기 형성 → 동사 주가 모멘텀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백만원)>
1. 핫멜트 접착필름 (무이형지, 이형지필름) → 매출비중 : 73%
일반적인 접착제 : 액상을 사용하여 피착제에 붙이는 형태
동사가 개발한 핫멜트 필름 접착제
- 피착제 사이에 이를 삽입하여 열과 압을 가해 접착
- 각 제품별로 최적화된 핫멜트 필름의 소재 / 두께 / 적층 구조 / 녹는점까지 구체적으로
제어 가능
- 다양한 제품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 외관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 가능
<국내 핫멜트 필름 접착제 시장 점유율>
삼부정밀화학 : 58% → 과점 형성
동사 : 18%
<동사의 핵심 제품> : 무이형지 타입의 핫멜트 접착 필름
- 세계 최초 개발
- 이형지(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열을 이용해 수지를 녹이는 과정 수행
- 그 후, 냉각되면서 고체화되는 성질을 통해 물체를 접착시키는 제품
- 열에 녹기에 종이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음 → 환경오염 이슈 극복 가능
- 유독성 솔벤트(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
- 접착 소재 기업 최초로 녹색기술인증 취득
- 동사의 제품은 향후 기존의 수성 접착제 / 광경화형 접착제 / 일반 핫멜트 접착제를 대체
할 것으로 기대
- 다수의 친환경 인증 확보 / 글로벌 기업들의 ESG 경영 가속화
→ 고객사 다변화 / 제품 수요 확대 전망
- 고분자물질과 저분자물질을 당사가 개발한 배합 비율로 설정
- 고객이 요구하는 접착소재에 따라 다양한 배합비율 개발 가능
<주요 전방시장> : 신발 시장
최종 고객사 : 나이키, 아디다스, 뉴발란스 등
→ 안정적으로 장기 공급 유통 중
나이키 제품의 10% / 아디다스 제품의 20%에 쓰이는 중
동사는 현재 나이키에 핫멜트 접착필름 / 합포 임가공업체로 등록된 유일한 기업
<동사의 제품은 전 사업에 적용 가능>
세계 친환경 접착소재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될 블루오션
→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 가능 (가전 / 자동차 / 전자 산업 등)
→ 따라서, 진출 분야가 무궁무진한 상태
→ 현재, 유럽에서는 조금 비싸더라도 친환경 접착제 선호 현상 뚜렷
→ 향후 3~5년 내에 지속가능한 바이오 소재로 만든 접착제 시장 개화 전망
→ 동사는 이르면 올 4Q에 관련 제품을 글로벌 기업에게 제안할 계획
2. 자동차선루프용 원단 → 매출비중 : 17.5%
<파노라마 선루프>
- 기존의 선루프와 달리 자동차 지붕의 유리가 뒷좌석 상부까지 적용
- 채광성, 통풍성이 한층 개선된 선루프
<동사 제품> : 자동차 선루프원단(스킨지+트윌지)을 접합시키는 폴리우레탄 계열 접착제
- 원단 접착시 유독성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로 접착
- 자체적인 내광성능 보유
- 접착두께의 일관성 → 대형 선루프에 사용하더라도 원단의 처짐, 변색이 발생하지 않음
<동사 제품 적용 차량>
: 팰리세이드 / 텔루라이드 / GV70, 80 / G70, 90 / 쏘렌토 / 크레타 / 스팅어
→ 펠리세이드 / 텔루라이드 수주로 인해 2025년까지 안정적인 매출 확보
→ 현대, 기아차 내 동사 점유율 : 35%
<신규사업>
무수염색사 → 차세대 성장동력
- 물 없이 염색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 따라서, 염색폐수 걱정도 사라짐 → 장기적으로 염색공단 임대료 감소에 기여
- 지난해 특허만 26건 출원 → 회사의 전 역량을 동원하는 중
- 현재 개발이 끝나 상용화 직전 단계
<오로라 프린팅> - 세계 최초 개발
- 2D, 3D 모두 적용 가능
- 피착제 재질에 관계없이 작업 가능
- 지그를 이용한 진공 성형 → 원하는 다자인으로 전이 가능
- 낮은 온도에서 작업 가능
→ 피착제의 손실을 줄이고, 침투도를 높여 선명하고 깨끗한 품질 구현
고객사 : 아디다스
- 세계 최초 개발
- 기존 핫멜트 접착 필름 대비 접착 면적 감소
- 원단의 통기성, 유연성 향상
- 구조 안정성을 가진 접착 소재 / 합포 원단 생산 가능
고객사 : 나이키, 아디다스
<자동차 헤드라이너>
- 자동차 실내 공기질 향상 규제에 맞는 핫멜트 필름 공급
- 본격적으로 자동차 내장재 시장 진입
- 현재, 현대기아차의 아이오닉 1종에 적용 테스트 완료
- 2022년 하반기부터 양산 준비 중
<글리터시트>
- 현재, 옷 위에 열을 줘서 로고나 그림을 붙이는 열전사 필름 각광
- 동사는 다수의 글로벌 의류 브랜드 /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개발 프로젝트 진행 중
<특허 현황>
- 기술별 특허 현황
→ 특허 출원일로부터 20년간 독점적 권리 보유
- 연도별 특허 현황(누적)
<생산실적 / 가동율 / 향후 투자 계획>
2022년까지, 약 150억 원 투자 계획
- 인도네시아 제2공장 신설 → 20억 원
- 신규사업을 위한 시설투자 → 60억 원
- 원자재 구입 비용 → 57억 원
<자사주 10억 원 매입 공시 (2022.06.09)>
<1Q22 연결 실적>
매출액(1Q) : 131억 원 (+34% YoY)
영업이익(1Q) : 23억 원 (+47.9% YoY)
당기순이익(1Q) : 20억 원 (+28.3% YoY)
최근 3년간, 영업이익률 10~15%대 꾸준히 유지
순차입금비율 : 40.9% (전기말 대비 22.3%P 감소)
<기업개요>
시가총액 : 1,223억 원
지분율
<사업부문>
핵심 역량 : 다양한 소재로 접착제 제조 기술 보유
향후 목표 : 석유화학 기반 → 천연물질 기반의 접착제 제조
<지역별 매출현황(1Q22)>
해외매출 비중 : 78%
동남아시아 시장을 넘어 향후 유럽, 남미 등으로 해외시장 넓혀갈 계획
우크라이나 전쟁 후 복구 분위기 형성 → 동사 주가 모멘텀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백만원)>
1. 핫멜트 접착필름 (무이형지, 이형지필름) → 매출비중 : 73%
일반적인 접착제 : 액상을 사용하여 피착제에 붙이는 형태
동사가 개발한 핫멜트 필름 접착제
- 피착제 사이에 이를 삽입하여 열과 압을 가해 접착
- 각 제품별로 최적화된 핫멜트 필름의 소재 / 두께 / 적층 구조 / 녹는점까지 구체적으로
제어 가능
- 다양한 제품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 외관 등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 가능
<국내 핫멜트 필름 접착제 시장 점유율>
삼부정밀화학 : 58% → 과점 형성
동사 : 18%
<동사의 핵심 제품> : 무이형지 타입의 핫멜트 접착 필름
- 세계 최초 개발
- 이형지(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열을 이용해 수지를 녹이는 과정 수행
- 그 후, 냉각되면서 고체화되는 성질을 통해 물체를 접착시키는 제품
- 열에 녹기에 종이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음 → 환경오염 이슈 극복 가능
- 유독성 솔벤트(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
- 접착 소재 기업 최초로 녹색기술인증 취득
- 동사의 제품은 향후 기존의 수성 접착제 / 광경화형 접착제 / 일반 핫멜트 접착제를 대체
할 것으로 기대
- 다수의 친환경 인증 확보 / 글로벌 기업들의 ESG 경영 가속화
→ 고객사 다변화 / 제품 수요 확대 전망
- 고분자물질과 저분자물질을 당사가 개발한 배합 비율로 설정
- 고객이 요구하는 접착소재에 따라 다양한 배합비율 개발 가능
<주요 전방시장> : 신발 시장
최종 고객사 : 나이키, 아디다스, 뉴발란스 등
→ 안정적으로 장기 공급 유통 중
나이키 제품의 10% / 아디다스 제품의 20%에 쓰이는 중
동사는 현재 나이키에 핫멜트 접착필름 / 합포 임가공업체로 등록된 유일한 기업
<동사의 제품은 전 사업에 적용 가능>
세계 친환경 접착소재 시장은 계속해서 확대될 블루오션
→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 가능 (가전 / 자동차 / 전자 산업 등)
→ 따라서, 진출 분야가 무궁무진한 상태
→ 현재, 유럽에서는 조금 비싸더라도 친환경 접착제 선호 현상 뚜렷
→ 향후 3~5년 내에 지속가능한 바이오 소재로 만든 접착제 시장 개화 전망
→ 동사는 이르면 올 4Q에 관련 제품을 글로벌 기업에게 제안할 계획
2. 자동차선루프용 원단 → 매출비중 : 17.5%
<파노라마 선루프>
- 기존의 선루프와 달리 자동차 지붕의 유리가 뒷좌석 상부까지 적용
- 채광성, 통풍성이 한층 개선된 선루프
<동사 제품> : 자동차 선루프원단(스킨지+트윌지)을 접합시키는 폴리우레탄 계열 접착제
- 원단 접착시 유독성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로 접착
- 자체적인 내광성능 보유
- 접착두께의 일관성 → 대형 선루프에 사용하더라도 원단의 처짐, 변색이 발생하지 않음
<동사 제품 적용 차량>
: 팰리세이드 / 텔루라이드 / GV70, 80 / G70, 90 / 쏘렌토 / 크레타 / 스팅어
→ 펠리세이드 / 텔루라이드 수주로 인해 2025년까지 안정적인 매출 확보
→ 현대, 기아차 내 동사 점유율 : 35%
<신규사업>
무수염색사 → 차세대 성장동력
- 물 없이 염색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 따라서, 염색폐수 걱정도 사라짐 → 장기적으로 염색공단 임대료 감소에 기여
- 지난해 특허만 26건 출원 → 회사의 전 역량을 동원하는 중
- 현재 개발이 끝나 상용화 직전 단계
<오로라 프린팅> - 세계 최초 개발
- 2D, 3D 모두 적용 가능
- 피착제 재질에 관계없이 작업 가능
- 지그를 이용한 진공 성형 → 원하는 다자인으로 전이 가능
- 낮은 온도에서 작업 가능
→ 피착제의 손실을 줄이고, 침투도를 높여 선명하고 깨끗한 품질 구현
고객사 : 아디다스
- 기존 핫멜트 접착 필름 대비 접착 면적 감소
- 원단의 통기성, 유연성 향상
- 구조 안정성을 가진 접착 소재 / 합포 원단 생산 가능
고객사 : 나이키, 아디다스
<자동차 헤드라이너>
- 자동차 실내 공기질 향상 규제에 맞는 핫멜트 필름 공급
- 본격적으로 자동차 내장재 시장 진입
- 현재, 현대기아차의 아이오닉 1종에 적용 테스트 완료
- 2022년 하반기부터 양산 준비 중
<글리터시트>
- 현재, 옷 위에 열을 줘서 로고나 그림을 붙이는 열전사 필름 각광
- 동사는 다수의 글로벌 의류 브랜드 /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개발 프로젝트 진행 중
<특허 현황>
- 기술별 특허 현황
→ 특허 출원일로부터 20년간 독점적 권리 보유
- 연도별 특허 현황(누적)
<생산실적 / 가동율 / 향후 투자 계획>
2022년까지, 약 150억 원 투자 계획
- 인도네시아 제2공장 신설 → 20억 원
- 신규사업을 위한 시설투자 → 60억 원
- 원자재 구입 비용 → 57억 원
<자사주 10억 원 매입 공시 (2022.06.09)>
<1Q22 연결 실적>
매출액(1Q) : 131억 원 (+34% YoY)
영업이익(1Q) : 23억 원 (+47.9% YoY)
당기순이익(1Q) : 20억 원 (+28.3% YoY)
최근 3년간, 영업이익률 10~15%대 꾸준히 유지
순차입금비율 : 40.9% (전기말 대비 22.3%P 감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