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리학에게 묻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교재 13장의 “나의 갈등 스타일”을 참고하여, 1) 갈등 대처유형에 대해 설명한 후, 2) 내가 살아오면서 겪은 갈등은 어떤 것이었는지, 그리고 그 갈등을 어떻게 대처하였는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제목 : 승리의 유인, 넛지
목차
1. 서론
1. 본론
1. 결론
1. 출처 및 참고문헌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교재 13장의 “나의 갈등 스타일”을 참고하여, 1) 갈등 대처유형에 대해 설명한 후, 2) 내가 살아오면서 겪은 갈등은 어떤 것이었는지, 그리고 그 갈등을 어떻게 대처하였는지에 대해 서술하시오.
제목 : 승리의 유인, 넛지
목차
1. 서론
1. 본론
1. 결론
1.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비를 하는 사람은 3명 뿐이었다. 나머지는 수동적이거나 아예 참여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책임감을 조원들에게 주어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나는 조장을 자처했고, 업무분장표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책임감 부여와 효율성 증진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조원들이 정해지자마자 조원들과 협의하여 각각의 조원의 역할에 맞는 업무분장표를 만들었다. 업무분장표를 구글닥스를 통해 조원들과 함께 공유하여 모두가 진행과정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두가 구글 닥스 첫 페이지의 본인의 역할이 보이게 해 놓았고, 전체 과정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무임 승차하는 조원이 발생하지 않았다. 오히려 문서 전체를 공유 시켰기 때문에 서로 다른 조원들을 도왔다. 결국 우리 조는 다른 조들보다 완성도 높은 모의 재판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조원이 수업에서 좋은 학점을 받아갔다.
이는 바로 ‘넛지’의 전략을 실생활에 내가 직접 적용해 본 경험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일 때에는 많은 유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유도하는지가 중요했다. 나는 구글닥스를 통한 업무분장표를 통해 사람들이 동일한 유인을 갖도록 유도했다. 구글 닥스의 특성 상 시시각각으로 어느 누가 얼마나 과제를 했는지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호 감시의 효과를 가진 것이다. 상호 감시를 통해 나 자신의 과제 완성도를 서로 간 비교할 수 있었고, 이는 곧 효율성 제고로 이어졌다. 사람들은 주로 다른 사람들이 보고 있다고 생각할 때 더 윤리적으로, 더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는 점에서 착안한 나만의 전략이었다. 이를 통해 치킨 게임의 전략보다는 ‘넛지’의 전략이 내 목표 달성 지향점에 더 적절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상대방과의 게임으로 ‘패-패’를 하기 보다는 ‘승-승’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결론
나는 내가 직접 경험한 것들을 통하여 ‘패-패’의 유형의 갈등 유형을 갖고 있었지만, 넛지라는 효과를 안 이후 ‘승-승’할 수 있는 전략을 지향하기 시작하였다. 여러 관점에서 보아도 이는 더 현명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상대방을 겁나게 하여 나의 유인과 합치시키기 보다는 상대방에게도 같은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 더 현명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권남호. 넛지의 정책 설계 시 활용 사례 및 시사점. 재정포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8
Hallsworth, M., “The use of field experiments to increase tax com pliance,”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30(4), 2014, pp. 658-679.
Hallsworth, M., List, J. A., Metcalfe, R. D., & Vlaev, I., “The behavior alistas tax collector: Using natural field experiments to enhance taxco mplianc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48, 2017, pp. 14-31.
나는 조장을 자처했고, 업무분장표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책임감 부여와 효율성 증진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조원들이 정해지자마자 조원들과 협의하여 각각의 조원의 역할에 맞는 업무분장표를 만들었다. 업무분장표를 구글닥스를 통해 조원들과 함께 공유하여 모두가 진행과정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두가 구글 닥스 첫 페이지의 본인의 역할이 보이게 해 놓았고, 전체 과정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무임 승차하는 조원이 발생하지 않았다. 오히려 문서 전체를 공유 시켰기 때문에 서로 다른 조원들을 도왔다. 결국 우리 조는 다른 조들보다 완성도 높은 모의 재판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조원이 수업에서 좋은 학점을 받아갔다.
이는 바로 ‘넛지’의 전략을 실생활에 내가 직접 적용해 본 경험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일 때에는 많은 유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유도하는지가 중요했다. 나는 구글닥스를 통한 업무분장표를 통해 사람들이 동일한 유인을 갖도록 유도했다. 구글 닥스의 특성 상 시시각각으로 어느 누가 얼마나 과제를 했는지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호 감시의 효과를 가진 것이다. 상호 감시를 통해 나 자신의 과제 완성도를 서로 간 비교할 수 있었고, 이는 곧 효율성 제고로 이어졌다. 사람들은 주로 다른 사람들이 보고 있다고 생각할 때 더 윤리적으로, 더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는 점에서 착안한 나만의 전략이었다. 이를 통해 치킨 게임의 전략보다는 ‘넛지’의 전략이 내 목표 달성 지향점에 더 적절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상대방과의 게임으로 ‘패-패’를 하기 보다는 ‘승-승’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결론
나는 내가 직접 경험한 것들을 통하여 ‘패-패’의 유형의 갈등 유형을 갖고 있었지만, 넛지라는 효과를 안 이후 ‘승-승’할 수 있는 전략을 지향하기 시작하였다. 여러 관점에서 보아도 이는 더 현명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상대방을 겁나게 하여 나의 유인과 합치시키기 보다는 상대방에게도 같은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 더 현명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권남호. 넛지의 정책 설계 시 활용 사례 및 시사점. 재정포럼.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8
Hallsworth, M., “The use of field experiments to increase tax com pliance,”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30(4), 2014, pp. 658-679.
Hallsworth, M., List, J. A., Metcalfe, R. D., & Vlaev, I., “The behavior alistas tax collector: Using natural field experiments to enhance taxco mplianc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48, 2017, pp. 14-31.
추천자료
[2020 심리학에게묻다 1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묻다 기말시험)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교...
심리학에게 묻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
(2020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
[심리학에게묻다 1학년]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갈...
심리학에게 묻다 )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심리학 )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갈등에 대해 이해...
심리 ) 살아가면서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