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학 ) 심근손상 시에만 큰 폭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심근손상 특이적인 검사지표이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간호학 ) 심근손상 시에만 큰 폭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심근손상 특이적인 검사지표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여할 수 있다. 이 경우 1~2분 뒤에 약물이 심장에 도달하기 때문에 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약 20mL의 생리식염수나 수액으로 관류를 시행하거나 상지를 높인다. 한편 정맥주입로가 확보되지 않으면 골내 주사를 시행한다. 경골 근위부, 내측 복사뼈 등을 통해 주사를 주입하며 말초정맥을 통한 주사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맥주사나 골내주사 모두 심폐소생술 2사이클마다 에피네프린 1mg을 투여한다.
정맥주사와 골내주사가 불가능한 경우 특정 약물에 한하여 기관내관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데, 에피네프린이 이러한 약물에 해당한다. 30cm 이상의 카테터를 이용하여 정맥 내 투여 시에 사용하는 양의 2~2.5배 상당의 약물을 주입한다. 에피네프린의 경우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정맥 및 골내주사로 1mg씩 투약하므로, 기관내관의 경우 2~2.5mg을 투여한다. 이때, 약물을 10mL의 증류수나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또한, 일단 약물을 투여하면 이것이 에어로졸 상태로 흡수될 수 있도록 즉시 앰부백으로 환기를 해야 한다.
20.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흉통 양상을 감별이 필요한 질환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점)(단, 설명없이 표만 제시한 경우에는 감점할 예정입니다.)
심근경색증이나 협십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흉통 양상을 감별이 필요한 질환과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심근경색증의 경우 흉통이 흉골부위에 발생한다. 환자는 심한 압박감과 질식감, 조임을 경험하며 이러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한다. 이밖에 오심, 호흡곤란, 식은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호흡이나 자세변경과는 무관하다. 이러한 증상은 모르핀을 투약하였을 때 완화될 수 있다. 한편 협심증의 경우 심근경색증과 같이 흉골부의에 흉통이 발생한다. 환자는 압박감, 질식감, 조임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15분 이내로 지속한다. 이밖에 동반 가능한 증상으로는 식은땀이 있으며, 심근경색증과 마찬가지로 심호흡이나 자세변경과는 무관하다. 니트로글리세린은 이러한 증상의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관상동맥질환과 달리 심낭염으로 인해 발생한 흉통은 심장 주위에서 날카로운 통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통증은 수일간 지속하며, 동반 증상은 없다. 흡기 시 통증이 증가하고 앉으면 통증이 감소한다는 점에 있어서 심호흡이나 자세와 유관하다.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을 투약할 경우 증상이 완화된다.
폐색전증 또한 관상동맥질환은 아니지만, 흉통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이 경우 통증은 폐 부위에 발생하는 날카로운 통증으로 나타나며 수 시간 지속한다. 호흡곤란, 빈맥, 혈액 섞인 가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 한편 심낭염과 마찬가지로 심호흡 및 자세와 관련이 있어 흡기 시 통증이 증가하고, 앉으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폐색전증의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약물에는 모르핀이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예하미디어. 응급간호학. 서울: 예하미디어, 2006.
정성희, 이수진. 응급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