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동향특강 ) (1) 사람, 기업 간의 빈부격차는 왜 발생하는가 (2) 2000년대 이후의 새로운 취업 시장 흐름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4) 경제력을 떨어뜨리는 부동산 투기 (5) 기대수명 연장, 그리고 고령화 사회 (6) AI의 등장과 갈수록 없어지는 일자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동향특강 ) (1) 사람, 기업 간의 빈부격차는 왜 발생하는가 (2) 2000년대 이후의 새로운 취업 시장 흐름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4) 경제력을 떨어뜨리는 부동산 투기 (5) 기대수명 연장, 그리고 고령화 사회 (6) AI의 등장과 갈수록 없어지는 일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람, 기업 간의 빈부격차는 왜 발생하는가?
(2) 2000년대 이후의 새로운 취업 시장 흐름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4) 경제력을 떨어뜨리는 부동산 투기
(5) 기대수명 연장, 그리고 고령화 사회
(6) AI의 등장과 갈수록 없어지는 일자리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보는 현상은 더욱더 그렇다. 국가의 경제력과도 연관이 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모든 국민이 부동산 투자를 통해 이익을 얻게 되는 구조가 형성된다면, 힘들게 땀 흘려 일하려고 하는 이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부동산 문제는 지역사회의 경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인구가 분산된다면 자연스럽게 부동산 가격은 안정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분산시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려운 일인 것이다. 일자리, 주거, 문화 등등 모든 것들이 현재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각종 정책을 쓰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간단해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것이 바로 부동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국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 또한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본다. 물론 이에 대해 찬반 의견이 명확히 갈리고 있으나, 시장에만 맡기기에는 현 상황은 너무나 악화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한 인구 분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5) 기대수명 연장, 그리고 고령화 사회
2019년 생명표 보도자료, 통계청, 2020 (http://kostat.go.kr/)
통계청
기대수명이 연장으로 고령 인구의 증가 또한 우리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무엇보다 정년퇴직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예전에는 연금만으로 노후생활 보장을 받을 수 있었다면 현재는 얘기가 달라졌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가파르게 오르는 물가 상승 또한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즉. 시간이 지나갈수록 화폐가치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근로자의 급여 또한 많이 상승하였지만, 급여가 상승하는 속도보다 물가가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는 것이다. 10년 전의 10만 원의 가치와 현재 10만 원의 가치는 확연히 다를 것이다. 예전에는 10만 원으로 물건을 30개 살 수 있었다면, 현재는 25개 사는 것도 벅찬 경우가 많다. 인구 고령화의 문제 되는 것은 지역사회에서 이를 보호해줄 수 있는 장치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많은 노인 인구들이 경제난에 허덕이는 것은 이를 방증해준다고 할 수 있다. 고령자의 경제활동 또한 쉽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계속되는 경쟁 사회에서 같은 인건비를 사용하게 된다면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젊은 층이 일하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물론 독거노인을 지원해주는 정책들이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으나, 이는 계속해서 고령화되는 사회에서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정년이 끝나더라도 계속해서 사회활동 등을 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원해준다던가 아니면 도태되지 않도록 교육 등의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는 정년퇴직 후 눈 감는 날까지 연금만으로 생활하는 시대는 이미 저물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령화 시대에 따른 시니어 층의 특화된 일자리 창출 및 그에 맞는 생산성 또한 준비해야 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6) AI의 등장과 갈수록 없어지는 일자리
AI, 즉 인공지능의 등장은 우리의 삶을 매우 편리하게 해주었다. 청소부터 시작해서 인간을 대신하여 일 해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우리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인공지능이 오히려 가구의 경제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써 금융권이나 생산업에서의 대규모 인원 감축을 들 수 있다. 굳이 인건비 부담이 많은 인력을 채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초기비용이 조금 들더라도 인공지능이 탑재된 기기만 들여놓는다면 24시간 풀로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달 지출되는 비용은 렌트비나 유지보수비 수준밖에 나가지 않을 것이다.
가까운 롯데리아나 버거킹만 가더라도 알 수 있다. 예전에는 점원이 주문을 받았다면, 현재는 무인결제시스템에서 클릭 몇 번만으로 손쉽게 주문신청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5명이 일을 하였다면, 인공지능이 탑재된 무인결제시스템의 등장으로 4명만 일을 하면 되는 것이다. 소규모 음식점에서도 무인결제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례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안 그래도 코로나의 출현으로 대부분이 음식점이 휘청거리는 가운데, 인건비를 줄이고자 기존의 직원은 해고하고 그 대신 무인결제시스템이 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순 노동의 수요는 계속해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삶의 질은 향상되었지만, 늘어나는 실업자를 보면서 과연 우리의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어폐가 있을 것이다. 무분별한 시스템 개발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어떻게 하면 서로 공존하면서 살아 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경기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요인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고용시장과 관련될 수도 있고, 인구 고령화에 따른 문제일 수도 있고, 또 코로나와 같은 역병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개인의 경제상황이든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경제 상황이든 어느 특정한 하나의 의존하는 시대는 이미 저물었다고 할 수 있다.
언제 어떤 식으로 상황이 변할지 모르기에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생각과 능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미래사회로 갈수록 경제와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부의 쟁탈전은 심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개인이든 지자체든 국가든 끊임없이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금주, 초등사회 개념사전, 아울북, 2015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f6a35381258e1431ffe0bdc3ef48d419
-2019년 생명표 보도자료, 통계청, 2020
http://kostat.go.kr/
-이용자용 통계정보보고서_지방자치단체공무원인사통계, 행정안전부, 2019
www.mois.go.kr
-소비자동향조사, 한국은행, 2020
www.bok.or.kr
  • 가격4,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