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2.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로 비춰보는 교육 현실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2.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로 비춰보는 교육 현실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는 성취 측면이 강하다 Parsons는 학교가 학생들의 선발 과정에서 준수하여야 할 규범은 기회의 균등이라고 주장한다. 선발 배치가 개인이 지닌 귀속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면 노력에 의한 사회적 지위 획득이란 업적주의 규범의 와해를 초래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초등교육단계부터 고등교육까지 선발 과정을 기술하면서 학업성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경험적 지식이라는 인지적 측면과 공동체에 필요한 시민의식이라는 도덕적 측면의 성취로 학업성취를 구분하였다.
갈등주의는 학교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지배 계층을 정당화함을 지적함으로써 기존 학교 제도의 근본적 문제점을 드러내었으나, 비판이 지나쳐 기존 제도를 부정하기까지 이르렀으며 그에 대한 대안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학교 제도의 문제점을 학교 제도 안에서가 아닌 학교 밖인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찾으려고 하며, 이념과 제도 및 질서 등을 비판하여 변화와 개혁을 이루는 것이 목표이다. 즉, 사회체제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급진적인 개혁을 주장한다.
Ⅲ. 결론
기능주의는 우리가 직면한 교육의 현실을 거시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자아실현, 학교교육, 사회 발전, 경제 성장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많은 문제점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갈등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갈등주의는 기존 학교가 가지고 있는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문제점을 사회와 연관 지어 해결하려 한 것은 높이 살만하다. 그러나 갈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학교 교육이 사회적 결속력과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는 점을 과소평가하였다. 또한, 기능주의의 비판에 대한 대안이 충분히 제시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는 교육이 사회 유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 것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기능주의는 교육이 사회 유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지만, 갈등주의는 기존 계층 구조를 정당화하도록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향후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제시하기 위해서는 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제도 내에서의 해결방안을 간구함과 동시에 점진적으로는 사회적 구조에 대한 개혁도 이루어나가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된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한국 교육학계의 기능주의 비판에 대한 고찰 : T. Parsons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지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8265d134bc507e2ffe0bdc3ef48d419
2. 교육 공정성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숙명여고 사태’를 중심으로, 이혜정,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15070&language=ko_KR
갈등주의는 학교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지배 계층을 정당화함을 지적함으로써 기존 학교 제도의 근본적 문제점을 드러내었으나, 비판이 지나쳐 기존 제도를 부정하기까지 이르렀으며 그에 대한 대안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학교 제도의 문제점을 학교 제도 안에서가 아닌 학교 밖인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찾으려고 하며, 이념과 제도 및 질서 등을 비판하여 변화와 개혁을 이루는 것이 목표이다. 즉, 사회체제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급진적인 개혁을 주장한다.
Ⅲ. 결론
기능주의는 우리가 직면한 교육의 현실을 거시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자아실현, 학교교육, 사회 발전, 경제 성장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많은 문제점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갈등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갈등주의는 기존 학교가 가지고 있는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문제점을 사회와 연관 지어 해결하려 한 것은 높이 살만하다. 그러나 갈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학교 교육이 사회적 결속력과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는 점을 과소평가하였다. 또한, 기능주의의 비판에 대한 대안이 충분히 제시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는 교육이 사회 유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 것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기능주의는 교육이 사회 유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지만, 갈등주의는 기존 계층 구조를 정당화하도록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향후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 제시하기 위해서는 기능주의와 갈등주의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제도 내에서의 해결방안을 간구함과 동시에 점진적으로는 사회적 구조에 대한 개혁도 이루어나가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된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한국 교육학계의 기능주의 비판에 대한 고찰 : T. Parsons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지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8265d134bc507e2ffe0bdc3ef48d419
2. 교육 공정성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숙명여고 사태’를 중심으로, 이혜정,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15070&language=ko_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