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및 이웃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자아 실현의 욕구를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사회적인 사귐이나 자신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기쁨을 얻기 위한 동기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자원 봉사의 동기부여는 제도적이거나 자발적인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게 된다. 제도적인 동기부여의 경우 사회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학생의 자원봉사 의무화나 대학생의 자원봉사, 사회봉사 과목의 개설 및 학점취득 기회의 제공, 기업체의 자원봉사 사회봉사경력 인정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도 마련은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동기 부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발적인 동기부여의 경우 언론이나 종교기관, 교육기관 등 국민이 자발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각종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결국 자원봉사문화의 정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제도적인 동기부여에 비해 장기적이며 동기부여의 힘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봉사활동과의 연계를 통해 적절한 봉사활동을 매칭하는 것이 자원봉사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활용하여 자원봉사자별로 정보를 파악하고 개별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자원봉사활동의 동기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단독 동기보다 복합적인 동기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동기 충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요구되며 자원봉사자의 욕구 만족을 위해 무엇인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복지 자원의 일부로 자원봉사자에 대한 일정한 관리가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원봉사자를 조정할 전문가를 배치해야 한다.
더불어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보상에서 자원봉사의 개별화를 통해 각자가 가장 의미 있어하는 보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원봉사자의 유형이 동기적인 욕구와 활동 스타일에 따라 나눠질 수 있으며, 성취지향적인 봉사자인지, 아니면 관계지향적 혹은 권력지향적인가에 따른 동기적 욕구의 차이로 인한 인정보상 기술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장기간이냐 단기간이냐에 따라 자원봉사자를 인정해주는 방법에도 차이를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가 현대인의 자아실현 혹은 삶의 질과 연관되는 적극적인 여가활동이라는 관점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어린 시절의 긍정적인 봉사활동 경험이 성인에서도 이어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긍정적인 봉사활동의 경험을 마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육체적 봉사활동이나 단순 노력봉사에 비해 개인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과정을 통해 의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한 단계 진화한 기부방식인 재능기부를 활용하여 또 다른 자원봉사를 유도하여 그 범위를 확대시켜야 한다. 사회적 여가활동인 자원봉사를 통해 다른 여가활동과 달리 관계성과 사회적 가치를 가지는 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궁극적으로 자원봉사에 대한 범위 확대와 긍정적인 인식을 유도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극대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자원봉사자의 경우 과거와 달리 기관과 자원봉사자 간 상호 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그 관계가 지속될 수 있다. 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갖고 있는 욕구가 무엇인지 적절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자원봉사 활용 현장에서 자원봉사자가 갖는 욕구나 활용기관의 욕구가 잘 맞아 떨어져야 하고 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자를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를 통해 자원봉사자를 조정할 수 있는 전문가가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문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효과적인 동기 충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자원봉사자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동기부여가 자원봉사활동을 선행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욕구이론과 과정이론에 맞춰 실시해야 하는데, 욕구이론의 경우 인간이 기본적으로 채우고자 하는 욕구로 이 욕구를 충족시킬 때 의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며 과정이론의 경우 인간에게 어떤 욕구가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의욕이 생기는 과정에 대해 밝혀내는 것이다. 욕구이론에서는 사회성 향상이나 도전정신적인 동기, 자기계발의 동기를 유형화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자는 각기 다른 능력을 갖추고 이런 능력을 활용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자원봉사 기관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봉사자의 의욕과 욕구 충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원봉사자가 충분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기부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연령이나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자원봉사자가 원하는 욕구에 맞는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4. 참고문헌
1) 엄운섭,안치순,and 손진아. \"대학생의 자원봉사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7.2 (2013): 221-242. 자원봉사 관련 교육경험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802728
2) 이애련 ( Ae Lyeon Lee ).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동기,봉사만족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13.2 (2016): 181-209.
http://www.riss.kr/link?id=A101964536
3) 볼런티어21, 동기부여의 중요성과 4가지 핵심 개념, 14호 (1999)
4) 김기현(Gi-Hyeon Kim).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동기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연구 -.20 (2010): 33-71.
http://www.riss.kr/link?id=A82586703
5) 김현나 ( Hyun Na Kim ).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와 가치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2014): 54-65.
http://www.riss.kr/link?id=A100154107
결국 자원 봉사의 동기부여는 제도적이거나 자발적인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게 된다. 제도적인 동기부여의 경우 사회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학생의 자원봉사 의무화나 대학생의 자원봉사, 사회봉사 과목의 개설 및 학점취득 기회의 제공, 기업체의 자원봉사 사회봉사경력 인정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도 마련은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동기 부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발적인 동기부여의 경우 언론이나 종교기관, 교육기관 등 국민이 자발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각종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결국 자원봉사문화의 정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제도적인 동기부여에 비해 장기적이며 동기부여의 힘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봉사활동과의 연계를 통해 적절한 봉사활동을 매칭하는 것이 자원봉사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활용하여 자원봉사자별로 정보를 파악하고 개별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자원봉사활동의 동기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단독 동기보다 복합적인 동기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동기 충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요구되며 자원봉사자의 욕구 만족을 위해 무엇인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복지 자원의 일부로 자원봉사자에 대한 일정한 관리가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원봉사자를 조정할 전문가를 배치해야 한다.
더불어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보상에서 자원봉사의 개별화를 통해 각자가 가장 의미 있어하는 보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원봉사자의 유형이 동기적인 욕구와 활동 스타일에 따라 나눠질 수 있으며, 성취지향적인 봉사자인지, 아니면 관계지향적 혹은 권력지향적인가에 따른 동기적 욕구의 차이로 인한 인정보상 기술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장기간이냐 단기간이냐에 따라 자원봉사자를 인정해주는 방법에도 차이를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가 현대인의 자아실현 혹은 삶의 질과 연관되는 적극적인 여가활동이라는 관점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어린 시절의 긍정적인 봉사활동 경험이 성인에서도 이어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긍정적인 봉사활동의 경험을 마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육체적 봉사활동이나 단순 노력봉사에 비해 개인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과정을 통해 의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한 단계 진화한 기부방식인 재능기부를 활용하여 또 다른 자원봉사를 유도하여 그 범위를 확대시켜야 한다. 사회적 여가활동인 자원봉사를 통해 다른 여가활동과 달리 관계성과 사회적 가치를 가지는 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궁극적으로 자원봉사에 대한 범위 확대와 긍정적인 인식을 유도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극대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자원봉사자의 경우 과거와 달리 기관과 자원봉사자 간 상호 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그 관계가 지속될 수 있다. 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갖고 있는 욕구가 무엇인지 적절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자원봉사 활용 현장에서 자원봉사자가 갖는 욕구나 활용기관의 욕구가 잘 맞아 떨어져야 하고 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자를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를 통해 자원봉사자를 조정할 수 있는 전문가가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문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효과적인 동기 충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자원봉사자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동기부여가 자원봉사활동을 선행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욕구이론과 과정이론에 맞춰 실시해야 하는데, 욕구이론의 경우 인간이 기본적으로 채우고자 하는 욕구로 이 욕구를 충족시킬 때 의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며 과정이론의 경우 인간에게 어떤 욕구가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의욕이 생기는 과정에 대해 밝혀내는 것이다. 욕구이론에서는 사회성 향상이나 도전정신적인 동기, 자기계발의 동기를 유형화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자는 각기 다른 능력을 갖추고 이런 능력을 활용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자원봉사 기관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봉사자의 의욕과 욕구 충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원봉사자가 충분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기부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연령이나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자원봉사자가 원하는 욕구에 맞는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4. 참고문헌
1) 엄운섭,안치순,and 손진아. \"대학생의 자원봉사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7.2 (2013): 221-242. 자원봉사 관련 교육경험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802728
2) 이애련 ( Ae Lyeon Lee ).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동기,봉사만족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13.2 (2016): 181-209.
http://www.riss.kr/link?id=A101964536
3) 볼런티어21, 동기부여의 중요성과 4가지 핵심 개념, 14호 (1999)
4) 김기현(Gi-Hyeon Kim).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동기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연구 -.20 (2010): 33-71.
http://www.riss.kr/link?id=A82586703
5) 김현나 ( Hyun Na Kim ). \"재능기부 자원봉사의 여가적 의미와 가치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3 (2014): 54-65.
http://www.riss.kr/link?id=A100154107
추천자료
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인 약물남용에 대해 서술
청소년음주실태 및 다양한 비행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비행에 대한 실태와 음주가 다양한 비행...
생활과건강4공통)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고, 약물의 종...
[생활과 건강 공통] 약물남용(Drug Abuse)은 약물을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과용하는 것...
[정신건강론]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점과 그 대책에 대해 서술해 주세요 (정신건강)
[사회복지정책론] 스칸디나비아 복지국가에 대해 설명하시오 (스칸디나비아)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점과 대책
정신건강론 )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점과 그 대책에 대해 서술해 주세요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문제점과 그 대책에 대해 서술해 주세요(정신건강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