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학 ) 국내외 포털 뉴스의 뉴스 구성방식과 기사제목 편집의 차이점 분석과 국내의 보완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문방송학 ) 국내외 포털 뉴스의 뉴스 구성방식과 기사제목 편집의 차이점 분석과 국내의 보완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1) 기사 노출 방식
2) 기사 컨텐츠 비율
3) 언론사 노출 비율
4) 동일한 기사 제목 및 내용 비교
5) 해외 포털과의 비교
V. 결과 및 함의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버, 네이트, 다음 모두 뉴스 분야와 스포츠/연예 분야 기사를 구분했음에도 불구하고 뉴스 분야에 스포츠/연예 관련 기사가 포함되었다. 그 비율은 네이버가 가장 작았으며 네이트는 홈페이지에 노출된 기사 중 69.5%가 스포츠/연예 관련 기사였을 만큼 정치, 경제, 사회 관련 기사 비율이 낮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것과 같이 네이트는 특정 성향에 의해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네이트는 네이버보다 연계된 언론사 개수는 많았으나 실제로 홈페이지에 노출된 언론사의 비율은 특정 언론사가 월등히 높아 비교적 편향 된 언론사 노출을 보였다. 즉, 네이트 이용자들은 다른 포털을 통해 기사를 찾아서 읽는 사람이 아닐 경우 주로 스포츠/연예 관련 기사에 노출되고 정치, 경제, 사회 관련 기사도 특정 언론사 기사에 더 노출됨으로 상대적으로 편향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을 반영한다. 다만 이는 정치, 경제, 사회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거나 여러 포털을 동시에 이용하는 사람일 경우 일부 완화될 수 있는 문제이다. 또한 이전 선행연구에서는 일부 같은 내용의 기사를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제목으로 바꾸는 경우가 조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같은 언론사에서 제공된 기사는 같은 제목과 내용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사 제목과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가 적기에 포털이 노출하는 기사 콘텐츠나 언론사의 비율이 정확하고 편향되지 않은 정보 제공에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포털인 구글과 비교하였을 때 기사 구성 형태는 국내 포털과 큰 차이가 없었다. 구글도 콘텐츠별로 기사를 세분화했으며, 일부 대형 언론사가 겹치는 것 외 여러 언론사의 기사를 노출하였다. 다만 구글의 경우 기사 제목 하단에 언론사 명도 공개하여 포털 이용자가 노출된 정보의 출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언론사별로 기사를 노출한 네이버를 제외하고 네이트나 다음은 기사 제목만 노출할 뿐 언론사를 바로 노출하지 않았다. 이는 포털 이용자가 관심을 가지지 않는 이상 자신이 어느 언론사에 노출되는지, 편향된 정보에 노출되는지 알 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 포털과 같이 홈페이지에 기사 제목과 출처가 바로 노출될 수 있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털의 성향에 따라 노출되는 언론사나 기사 콘텐츠가 편향될 수 있음을 국내 포털 홈페이지의 기사 구성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증명하였다. 다만 포털 기사는 시간별로 노출되는 기사와 언론사가 시시각각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각 포털 이용자에 따라 습득한 정보의 범위와 수준을 조사하고 해당 정보 수준이 포털 이용자 개개인의 정치/경제/사회적 관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위근, 「포털 뉴스 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 화」, 『한국언론정보학보』, 2014.
송해엽, 양재훈, 「포털 뉴스 서비스와 뉴스 유통 변화」, 『한국언론학보』, 2017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0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