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자기표현 욕구가 강하고 활동성향이 크고 유행민감도가 높을수록 화장의존도가 높을까?
3.결론
4.참고자료
2.본론
(1) 자기표현 욕구가 강하고 활동성향이 크고 유행민감도가 높을수록 화장의존도가 높을까?
3.결론
4.참고자료
본문내용
나 패션상품과는 다른 점은 화장품 브랜드가 취하는 전략이 옷과 패션상품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건강 문제까지도 포함하면서 좀더 광범위하게 소비자들을 공략한다는 것이다.
3.결론
소비가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화장의존도를 점검하기 위해 앞서 말한 명제를 사용하는 것은 이제 고루하다고 느껴진다.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소비자라면 상품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고 여성들에게는 화장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차라리 화장이 여성에게 가지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이고 그 유래를 탐색하는 것이 더 유의미할 것이다. 거기에 더하여, 성형 유무와 화장의존도의 연관성을 조사하면 더욱 밀접한 수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병적으로 성형에 집착하고 성형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 의식의 근간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된 미의식의 유래와, 그러한 미적 관념이 사회 전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또 이와 비슷하게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통념이나 사회적 불안등을 연구해보면 좋을 것 같다. 앞서 말했듯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화장을 통해 어필하고 싶어하는 부분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좀 더 넓은 개념에서 보면 화장을 통해 단순히 아름다워지고 싶어한다기 보다는 그 시대상을 반영한 동경집단에 동화되고 싶어하는 마음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예시로 든 고등학생들이 명품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선망하는 마음을 통해서 되짚었던 것처럼 말이다. 더 나아가, 친환경적이고 자연주의적인 브랜드들이 강세를 얻는 시기에 단순히 색조화장이나 커버력 뿐 아니라 패키지 재활용과 동물실험 배제, 자연 원료 사용 및 화학성분 배제 등 친환경적인 트렌드를 따라가고자 하는 여론이 지배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환경위기를 강조하는 전문가들이나 정부 정책에서 비롯된 선한 마음이라고 보기에는 이 또한도 마케팅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을 주고 도덕적 우월감을 사려고 하는 가벼운 행태는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어쨌든 환경을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친환경적인 제품을 구매하기보다는 아무것도 소비하지 않는 편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4.참고자료
권현숙. \"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경상북도
3.결론
소비가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는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화장의존도를 점검하기 위해 앞서 말한 명제를 사용하는 것은 이제 고루하다고 느껴진다.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소비자라면 상품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고 여성들에게는 화장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차라리 화장이 여성에게 가지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이고 그 유래를 탐색하는 것이 더 유의미할 것이다. 거기에 더하여, 성형 유무와 화장의존도의 연관성을 조사하면 더욱 밀접한 수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병적으로 성형에 집착하고 성형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 의식의 근간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된 미의식의 유래와, 그러한 미적 관념이 사회 전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또 이와 비슷하게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통념이나 사회적 불안등을 연구해보면 좋을 것 같다. 앞서 말했듯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화장을 통해 어필하고 싶어하는 부분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좀 더 넓은 개념에서 보면 화장을 통해 단순히 아름다워지고 싶어한다기 보다는 그 시대상을 반영한 동경집단에 동화되고 싶어하는 마음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예시로 든 고등학생들이 명품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선망하는 마음을 통해서 되짚었던 것처럼 말이다. 더 나아가, 친환경적이고 자연주의적인 브랜드들이 강세를 얻는 시기에 단순히 색조화장이나 커버력 뿐 아니라 패키지 재활용과 동물실험 배제, 자연 원료 사용 및 화학성분 배제 등 친환경적인 트렌드를 따라가고자 하는 여론이 지배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환경위기를 강조하는 전문가들이나 정부 정책에서 비롯된 선한 마음이라고 보기에는 이 또한도 마케팅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을 주고 도덕적 우월감을 사려고 하는 가벼운 행태는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어쨌든 환경을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친환경적인 제품을 구매하기보다는 아무것도 소비하지 않는 편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4.참고자료
권현숙. \"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경상북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