쌩얼 열풍 속에 화장이 여성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2006년 신풍조 ‘쌩얼’
2.1 쌩얼 열풍의 원인
2.2 쌩얼 열풍의 문제점

3. 화장(품)의 종류
3.1 바탕화장
3.2 눈 화장
3.3 입술화장

4. 화장의 기능
4.1 보호의 기능
4.2 미화의 기능
4.3 사회적 기능
4.4 심리적 기능

5. 화장의 목적
5.1 예의를 갖추기 위한 화장
5.2 자기만족을 위한 화장
5.3 자기표현을 위한 화장
5.4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한 화장

6. 대인지각에서 화장이 미치는 영향

7. 화장이 여성 심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7.1 적극성의 상승
7.2 변화의 즐거움
7.3 자기 부족감의 보완

8. 화장이 여성 심리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친 사례
8.1 화장 치료법을 통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한 사례
8.2 화장이 일의 능률에 영향을 끼친 사례

9. 화장의 심리적 기대 효과에 따른 이미지와 자의식에 영향
9.1 적극성의 상승 효과
9.2 변화의 즐거움 효과
9.3 자기 부족감의 보완 효과

10.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적자의식 사적자의식(private self-consciousness) 자신의 개인적 사고와 감정에 대한 인식으로 자아의 내 적이고 자아 중심적인 요구를 반영하는 동기와 관련된 측면들에 주목하는 성향
, 공적자의식 공정자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 다른 사람에게 인식되는 사회적 객체로서의 자기, 즉 다 른 사람들에게 보여 지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
그리고 사회적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극성의 상승효과를 높게 기대 하는 사람은 낮게 기대하는 사람보다 자아불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적자 의식, 사적자의식 그리고 사회적 불안은 적극성의 상승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을 함으로써 맨 얼굴과 다른 자기를 표현하여 자기를 적극적으로 주장 하게 되는 반면, 타인에게 승인받고 싶은 욕구의 의해 자아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는 선행연구결과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다.
9.2 변화의 즐거움 효과
변화의 즐거움 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라서, 세련성과 품위성 이미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성과 호의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변화 의 즐거움 효과를 기대하는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세련성과 품위성 이미 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성과 호의성 이미지에서는 차이가 없었 다. 이는 화장의 성과에 따라서 현재의 자신을 바꿀 수 있고, 자신의 얼굴을 캔버스로 하여 예술품을 창조해 내는 창조의 즐거움에 의해 보다 즐거운 삶을 살 수 있게 되며, 화장에 의해 인상의 변화가 생긴다는 주장을 지지해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변화의 즐거움 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라서, 공정자의식, 사적자의식 그리고 사회적 불안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자아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변화의 즐거움을 높게 기대하는 집단이 낮게 기대하는 집단 보다 공적자의식, 사적자의식 그리고 사회적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적 자의식이 높음에 따라 타인으로부터의 승인욕구가 상대적으로 큰 사람은 있는 그대로 의 자신에게 만족하지 않고 변화를 주고 싶어 하며, 보다 고귀하고 매력적이 되길 원 하고, 이러한 기대와 욕구에 의해 사회적 불안이 내재하게 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 는 결과라 하겠다.
9.3 자기 부족감의 보완 효과
자기부족감의 보완 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라서, 화장이미지의 품위성, 개성, 호의성 에서는 유의한 차이 있었으나 세련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부족감 보완효과를 기대라는 정도가 높을수록 품위성과 개성 그리고 호의성 이미지 를 높게 지각하는 반면 세련성 이미지에 대해서는 자기부족감 보완효과에 대한 기대 정 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부족감 보완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라서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적자의식과 개인적 자아불안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부족감 보완 효과를 기대하는 정 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사적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반면 공적자의식과 개인적 자아불안에서는 자기부족감 보완효과에 대한 기대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 부위나 체중에 불만이 많은 사람의 사회적 불안정도가 비교적 높으며, 자주 화장을 하여 사적자의식이 향상되기도 한다는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10. 결론
지금까지 쌩얼 열풍의 원인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쌩얼 열풍 속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화장을 지속하고 지속하게 하는 이유에 대해 화장의 기능과 심리적인 효과에 통해서 논해 보았다.
쌩얼 열풍 속에서는 화장을 한 여성은 쌩얼 미인과 반대의 개념으로 인조적이고 순수하지 못한 여성으로 치부되어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여성에게 화장은 단순히 외모를 개선시키는 미의 도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여성은 화장을 통해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고,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이 만족스럽게 느껴질 때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을 갖고 임할 수 있게 된다. 즉 개선된 외모로 인한 자신감의 향상이 적극성의 상승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또한 화장이라는 것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열중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도 있으며, 화장을 통해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 즐거움의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화장으로 얼굴의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자신의 미적 열등의식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심리적인 위축감을 막게 됨으로 자기부족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효과는 화장에 대한 기대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체적으로 기대 정도가 높은 여성에게 심리적인 효과도 좀 더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장은 여성들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준다는 것은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분명 하다.
그러므로 화장을 하고 하지 않고는 여성의 자율적인 선택의 문제이며, 쌩얼 열풍이라는 사회적 풍조 때문에 여성들이 화장을 한다고 해서 비난을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나아가 화장의 심리적인 기능에 대해 앞으로 더욱더 다양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외모로 인해 심리적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화장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든다.
<참고문헌>
1. 박창조, 화장품의 허와 실, 아름다운 사회, 1996
2. 이화순 황춘섭, “화장의 사회 심리적 기대 효과에 따른 화장 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 구”, 2002
3. 홍순정, 여성심리학 : 여성의 심리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1998
4. 하루야마 유키오, 화장의 역사, 사람과 책, 2004
5. jean Ann Graham외 3명, 화장치료 심리학, 신정출판사, 2004
<참고사이트>
1. 성이야기, http://youth.co.kr/re/re0201.htm
2. 네이버 백과사전
3. 대한 화장품 협회 http://kcia.or.kr
4. 팟찌 닷컴 http://patzzi.joins.com
  • 가격1,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