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3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1
2) 4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2
3) 5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3
4) 6주차 – 면역계
5) 7주차 – 위장관계
6) 9주차 – 자율신경계
7) 10주차 – 신경계1
8) 11주차 – 신경계2
9) 12주차 – 호흡기계
2) 4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2
3) 5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3
4) 6주차 – 면역계
5) 7주차 – 위장관계
6) 9주차 – 자율신경계
7) 10주차 – 신경계1
8) 11주차 – 신경계2
9) 12주차 – 호흡기계
본문내용
Aldactone)
4. 삼투성이뇨제
사구체 세뇨관 내의 삼투압을 증가 -> 체액을 세뇨관으로 흡수시키고 이뇨작용 유발
나트륨 배설을 일으키지 않음
급성신장장애, 두개내압 상승, 두부외상으로 인한 뇌부종 완화에 흔히 사용
※ 대표 약물 : mannitol
<고혈압>
1. ACE억제제 or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
ACE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RB = Angiotension Receptor Blocker
당뇨가 있는 환자 먼저 권함
심부전, 신질환, 심비대, 동맥경화증에 유효(혈관내피세포의 기능개선)
※ 주의사항
고령, 탈수환자시 저혈압 주의
Potassium(K)의 증가로 고칼륨증 발생가능 -> 모니터링 필요
투여 후 2~4주 뒤 혈액 재검사
ACE억제제 복용 후 지속적인 기침시 ARB로 교체 (여성, 비흡연자가 특히 )
임산부금기
ACE억제제 + ARB 동시에 사용 금지
2. 칼슘 경로 차단제 (CCBs) - 3주차
3. β 아드레날린 차단제 3주차
4. 혈관이완제
혈관의 평활근 이완, 저항 감소 -> 혈압감소 효과
대표약물 : hydralazin
<심부전>
1. ACE 억제제 고혈압
2. 이뇨제 앞파트 참고
3. 강심배당체 (디곡신)
나트륨펌프 억제, 나트륨-칼슘 펌프에 의해 세포내 나트륨 농도가 증가
세포내 칼슘농도 증가 = 증가된 칼슘 농도 심근을 수축시킴
※ 주의사항 : 혈청 디곡신 농도 모니터링(0.5~2ng/Ml), HR 측정
4. 혈관이완제
[약리학] 5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3
<부정맥>
나트륨 통로 차단제 (CLASS 1)
심근세포의 나트륨 이온경로를 막아 자동성을 감소시키고 활동전위 전도를 느리게함
※ 유해반응
부정맥을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부정맥을 유발할 가능성,
심박수 감소로 저혈압, 어지럼증과 실신(syncope) 을 유발
구강건조, 변비, 요정체등의 중요한 항콜린성 효과
EKG 모니터링 :심장독성 (cardiotoxicity)의 징후를 감시
노인의 경우, 항콜린성 유해반응이 전립선비대 환자의 배뇨곤란 악화 가능성으로 주의
lidocaine 어지럼증, 혼돈, 경련등 중추신경계 독성 효과 발생
※ 대표약물 : quinidine, procainamide, lidocaine
2. β 아드레날린성 길항제/차단제 (CLASS II)기전: 교감신경의 항진을 억제, 심근 전도와 수축력 억제
유해반응 : 서맥, 저혈압, 어지럼증, 실신 등
대표약물 : propranonol
3. 칼륨통로차단제 (CLASS Ⅲ)
기전 : 칼륨 경로 차단
대표약물 : amiodarone(Cordarone, Pacerone)
4. 칼슘경로차단제 (CLASS IV)
기전: CCBs는 심장과 세동맥의 칼슘 이온 경로 억제
유해반응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한 유해반응
대표 약물 : verapamil(Calan)
<쇼크>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직접적 대사전구체
도파민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신장의 혈류를 증대, 저혈량성 쇼크나 심장성 쇼크 치료
2.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혈관 평활근에서 α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직접작용해 혈압을 상승시킨다.
3. 에피네프린
α와 β 수용체를 동시에 흥분시키는 작용제로 즉시 혈압이 상승하며, 기도가 열리고 호흡곤란이 경감된다
4. 심근수축제
1) 도부타민(dobutrex)
선택적인 β1 아드레날린성 작용제
심장을 강하게 수축시켜 특정한 종류의 쇼크를 단기간에 치료
2) 도파민
β1과 α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작용
쇼크 상태에서 말초신경계의 혈관수축(α 수용체 활성화)과 심근수축력을 증가
3.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의 추가 방출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4. 기관지 확장제
albuterol(Ventolin, Proventil)
히스타민으로 인한 급성 호흡곤란 증세를 호전시키기 위해
종종 흡입을 통해 사용
5. 전신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hydrocortisone
최초 반응 후 몇 시간 후에 일어나는 지연된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
[약리학] 6주차 면역계
<염증&발열 치료제>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y Drugs
진통, 해열, 항염증의 특성
경증에서 중등도 염증에 널리 처방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에 주요 효소인 cyclooxygenase(COX)를 방해함으로써 염증 차단
1) 살리실산염 : 아스피린
일부 환자에게는 저용량으로도 위장 출혈
강한 항혈소판 효과로 출혈 가능성 사정
2) 이부프로펜과 이부프로펜 유사 NSAIDs
COX1과 COX2를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발휘
2. 코르티코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을 억제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
큰포식세포와 림프구의 특정한 기능을 억제
3. 해열제
1) 아세트아미노펜
시상하부에 직접 작용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땀을 나게 해서 열을 내린다
항염증 특성은 없음
<세균감염치료제>
페니실린계
연쇄상구균과 포도상구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세균을 죽임
그람양성균 치료에 효과적
2. 세팔로스포린계 : 세파졸린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1세대 세팔로스포린계 보다 반감기가 길어서 투여횟수가 적음
3. 테트라사이클린
세균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작용
인체의 리보솜과는 구조가 다른 세균의 리보솜에 결합함
미생물의 성장을 늦추고 정균효과
4.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세균의 단백합성을 억제하는 작용
이독성과 빈번한 내성 균주의 출현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음
5. 플루오로퀴노론 : DNA합성에 영향을 줌
6. 설폰아미드 : 엽산의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억제(정균작용)
<결핵>
1. Isoniazid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차단
부작용: 말초신경 장애 - >pyridoxine(Vit B6) 투여시 억제, 간독성
<바이러스 감염>
헤르페스 항바이러스제 아시클로버
바이러스 DNA 합성을 막음으로써 지속기간과 중증도 줄임
2. 만성 HBV 약물치료
인터페론 α, tenofovir disoproxil, entecavir
<암치료제>
1.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시클로포스파미드는 DNA에 결합해 복제를 방해함
급속하게 분화하는 세포에 활
4. 삼투성이뇨제
사구체 세뇨관 내의 삼투압을 증가 -> 체액을 세뇨관으로 흡수시키고 이뇨작용 유발
나트륨 배설을 일으키지 않음
급성신장장애, 두개내압 상승, 두부외상으로 인한 뇌부종 완화에 흔히 사용
※ 대표 약물 : mannitol
<고혈압>
1. ACE억제제 or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
ACE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RB = Angiotension Receptor Blocker
당뇨가 있는 환자 먼저 권함
심부전, 신질환, 심비대, 동맥경화증에 유효(혈관내피세포의 기능개선)
※ 주의사항
고령, 탈수환자시 저혈압 주의
Potassium(K)의 증가로 고칼륨증 발생가능 -> 모니터링 필요
투여 후 2~4주 뒤 혈액 재검사
ACE억제제 복용 후 지속적인 기침시 ARB로 교체 (여성, 비흡연자가 특히 )
임산부금기
ACE억제제 + ARB 동시에 사용 금지
2. 칼슘 경로 차단제 (CCBs) - 3주차
3. β 아드레날린 차단제 3주차
4. 혈관이완제
혈관의 평활근 이완, 저항 감소 -> 혈압감소 효과
대표약물 : hydralazin
<심부전>
1. ACE 억제제 고혈압
2. 이뇨제 앞파트 참고
3. 강심배당체 (디곡신)
나트륨펌프 억제, 나트륨-칼슘 펌프에 의해 세포내 나트륨 농도가 증가
세포내 칼슘농도 증가 = 증가된 칼슘 농도 심근을 수축시킴
※ 주의사항 : 혈청 디곡신 농도 모니터링(0.5~2ng/Ml), HR 측정
4. 혈관이완제
[약리학] 5주차 - 심혈관계와 요로계3
<부정맥>
나트륨 통로 차단제 (CLASS 1)
심근세포의 나트륨 이온경로를 막아 자동성을 감소시키고 활동전위 전도를 느리게함
※ 유해반응
부정맥을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부정맥을 유발할 가능성,
심박수 감소로 저혈압, 어지럼증과 실신(syncope) 을 유발
구강건조, 변비, 요정체등의 중요한 항콜린성 효과
EKG 모니터링 :심장독성 (cardiotoxicity)의 징후를 감시
노인의 경우, 항콜린성 유해반응이 전립선비대 환자의 배뇨곤란 악화 가능성으로 주의
lidocaine 어지럼증, 혼돈, 경련등 중추신경계 독성 효과 발생
※ 대표약물 : quinidine, procainamide, lidocaine
2. β 아드레날린성 길항제/차단제 (CLASS II)기전: 교감신경의 항진을 억제, 심근 전도와 수축력 억제
유해반응 : 서맥, 저혈압, 어지럼증, 실신 등
대표약물 : propranonol
3. 칼륨통로차단제 (CLASS Ⅲ)
기전 : 칼륨 경로 차단
대표약물 : amiodarone(Cordarone, Pacerone)
4. 칼슘경로차단제 (CLASS IV)
기전: CCBs는 심장과 세동맥의 칼슘 이온 경로 억제
유해반응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한 유해반응
대표 약물 : verapamil(Calan)
<쇼크>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직접적 대사전구체
도파민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신장의 혈류를 증대, 저혈량성 쇼크나 심장성 쇼크 치료
2.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혈관 평활근에서 α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직접작용해 혈압을 상승시킨다.
3. 에피네프린
α와 β 수용체를 동시에 흥분시키는 작용제로 즉시 혈압이 상승하며, 기도가 열리고 호흡곤란이 경감된다
4. 심근수축제
1) 도부타민(dobutrex)
선택적인 β1 아드레날린성 작용제
심장을 강하게 수축시켜 특정한 종류의 쇼크를 단기간에 치료
2) 도파민
β1과 α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작용
쇼크 상태에서 말초신경계의 혈관수축(α 수용체 활성화)과 심근수축력을 증가
3.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의 추가 방출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4. 기관지 확장제
albuterol(Ventolin, Proventil)
히스타민으로 인한 급성 호흡곤란 증세를 호전시키기 위해
종종 흡입을 통해 사용
5. 전신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hydrocortisone
최초 반응 후 몇 시간 후에 일어나는 지연된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
[약리학] 6주차 면역계
<염증&발열 치료제>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y Drugs
진통, 해열, 항염증의 특성
경증에서 중등도 염증에 널리 처방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에 주요 효소인 cyclooxygenase(COX)를 방해함으로써 염증 차단
1) 살리실산염 : 아스피린
일부 환자에게는 저용량으로도 위장 출혈
강한 항혈소판 효과로 출혈 가능성 사정
2) 이부프로펜과 이부프로펜 유사 NSAIDs
COX1과 COX2를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발휘
2. 코르티코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을 억제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
큰포식세포와 림프구의 특정한 기능을 억제
3. 해열제
1) 아세트아미노펜
시상하부에 직접 작용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땀을 나게 해서 열을 내린다
항염증 특성은 없음
<세균감염치료제>
페니실린계
연쇄상구균과 포도상구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세균을 죽임
그람양성균 치료에 효과적
2. 세팔로스포린계 : 세파졸린
그람양성균에 작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1세대 세팔로스포린계 보다 반감기가 길어서 투여횟수가 적음
3. 테트라사이클린
세균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작용
인체의 리보솜과는 구조가 다른 세균의 리보솜에 결합함
미생물의 성장을 늦추고 정균효과
4.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세균의 단백합성을 억제하는 작용
이독성과 빈번한 내성 균주의 출현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음
5. 플루오로퀴노론 : DNA합성에 영향을 줌
6. 설폰아미드 : 엽산의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억제(정균작용)
<결핵>
1. Isoniazid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차단
부작용: 말초신경 장애 - >pyridoxine(Vit B6) 투여시 억제, 간독성
<바이러스 감염>
헤르페스 항바이러스제 아시클로버
바이러스 DNA 합성을 막음으로써 지속기간과 중증도 줄임
2. 만성 HBV 약물치료
인터페론 α, tenofovir disoproxil, entecavir
<암치료제>
1.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시클로포스파미드는 DNA에 결합해 복제를 방해함
급속하게 분화하는 세포에 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