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3. 국내 및 국제 표준화 기구
1) ITU(국제전기통신연합) : 1865년 설립된 국제전신 연합으로 UN에 의해 전기 통신, 위성통신, 방송 등의 국제정보통신 분야를 총괄하는 전기 통신 부문의 전문적인 기구로 지정. 유선 및 무선과 전파, 위성 주파수에 대한 규칙과 표준을 개발 및 보급하고 국제적인 조장과 협력하여 수행한다.
2) ISO(국제표준화기구) : 1947년 비정부조직으로 설립되었다. 세계 약 160개의 국가 표준기관이 모여 만들어졌다. 의약품 등의 안전 보증 제도뿐만 아니라 지식, 기술, 측량 등의 모든 것에도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3) ANSI(미국 표준협회) : 미국의 산업 표준을 제정하는 민간의 단체이다.
4) NIST(국립표준 기술연구소) : 미국에서 측정할 수 있는 모든 것의 표준을 정하는 미국의 상무부 산하에 있는 기관이면서 IT의 표준화 작업도 함께 수행한다.
5) EIA(미국 전자산업 협회) : 전자 산업계 단체이다. 조사, 제안, 규격 등을 제정하며, 버지니아에 본부가 있다. 협회는 회원 기업으로서 전자 부품 생산자부터 항공 등의 복합 시스템 회사까지 약 300개가 넘는 회사가 있다. ANSI과의 신뢰 관계도 두텁다고 볼 수 있다.
6)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정보통신기술을 표준 제정하고 보급, 시험인증 지원을 하기 위해서 설립된 법정 기관이다. 1988년 창립되어 국내의 ICT 표준화와 시험인증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
Ⅲ 결론
이렇게 본론을 통하여 네트워크 표준화의 개념과 그 종류, 그리고 왜 우리는 네트워크 표준화가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중요성, ICT 표준화를 담당하는 국내 기구 및 국제기구가 어떠한 역할을 가지는지에 대한 것을 서술하였다.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다양한 분야로 나누어진다. 특히 우리가 먹는 식품이나 물건 등을 표준화할 때와 같이 정해진 규칙을 가지고 확실하게 표준화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에는 정해진 규칙이나 정해진 것도 없이 ICT의 과정에서 단순한 편리성을 추구했을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 미래를 향하여 더 많은 표준화의 기준이 생겨날 것이다. 특히 제4차 산업을 주도하는 인공지능인 AI나 자동차 등과 결합하는 많은 네트워크와 기술들은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점점 전자화가 진행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표준화의 다양성, 그리고 기업의 활성화, 또 시민들도 표준화로 인한 많은 편리함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현재의 표준화 기구도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발전하는 분야로 나아가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다.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9, ICT 표준화 활동 가이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사이트, 표준화 백서
https://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2
한국 ITU 연구위원회 https://www.koreaitu.or.kr/introduce_ITU/menu1/intro_ITU.do
1) ITU(국제전기통신연합) : 1865년 설립된 국제전신 연합으로 UN에 의해 전기 통신, 위성통신, 방송 등의 국제정보통신 분야를 총괄하는 전기 통신 부문의 전문적인 기구로 지정. 유선 및 무선과 전파, 위성 주파수에 대한 규칙과 표준을 개발 및 보급하고 국제적인 조장과 협력하여 수행한다.
2) ISO(국제표준화기구) : 1947년 비정부조직으로 설립되었다. 세계 약 160개의 국가 표준기관이 모여 만들어졌다. 의약품 등의 안전 보증 제도뿐만 아니라 지식, 기술, 측량 등의 모든 것에도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3) ANSI(미국 표준협회) : 미국의 산업 표준을 제정하는 민간의 단체이다.
4) NIST(국립표준 기술연구소) : 미국에서 측정할 수 있는 모든 것의 표준을 정하는 미국의 상무부 산하에 있는 기관이면서 IT의 표준화 작업도 함께 수행한다.
5) EIA(미국 전자산업 협회) : 전자 산업계 단체이다. 조사, 제안, 규격 등을 제정하며, 버지니아에 본부가 있다. 협회는 회원 기업으로서 전자 부품 생산자부터 항공 등의 복합 시스템 회사까지 약 300개가 넘는 회사가 있다. ANSI과의 신뢰 관계도 두텁다고 볼 수 있다.
6)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정보통신기술을 표준 제정하고 보급, 시험인증 지원을 하기 위해서 설립된 법정 기관이다. 1988년 창립되어 국내의 ICT 표준화와 시험인증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
Ⅲ 결론
이렇게 본론을 통하여 네트워크 표준화의 개념과 그 종류, 그리고 왜 우리는 네트워크 표준화가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중요성, ICT 표준화를 담당하는 국내 기구 및 국제기구가 어떠한 역할을 가지는지에 대한 것을 서술하였다.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다양한 분야로 나누어진다. 특히 우리가 먹는 식품이나 물건 등을 표준화할 때와 같이 정해진 규칙을 가지고 확실하게 표준화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과거에는 정해진 규칙이나 정해진 것도 없이 ICT의 과정에서 단순한 편리성을 추구했을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 미래를 향하여 더 많은 표준화의 기준이 생겨날 것이다. 특히 제4차 산업을 주도하는 인공지능인 AI나 자동차 등과 결합하는 많은 네트워크와 기술들은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점점 전자화가 진행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표준화의 다양성, 그리고 기업의 활성화, 또 시민들도 표준화로 인한 많은 편리함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현재의 표준화 기구도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발전하는 분야로 나아가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다.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9, ICT 표준화 활동 가이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사이트, 표준화 백서
https://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2
한국 ITU 연구위원회 https://www.koreaitu.or.kr/introduce_ITU/menu1/intro_ITU.do
추천자료
우리나라 IMT-2000에 과한 고찰과 나아가야 할 방향
선진국 건설 융합 기술 동향 - 미국, 일본, 영국, 유럽 등, CMS, 6th EU FP, JACIC, CERF, FI...
[디지털음악][디지털음반산업]디지털음악(디지털음반, 디지털음반산업) 개념,영향 현황,문제...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표준화][표준화]멀티미디어의 정의, 멀티미디어의 특성과 멀티미디어...
디지털 시대의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NGIS(국가지리정보체계)의 정의, NGIS(국가지리정보체계)의 필요성, NGIS(국가지리정보체계)...
전자금융위험관리(전자금융리스크관리)의 의미, 전자금융위험관리(전자금융리스크관리)의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