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표준화][표준화]멀티미디어의 정의, 멀티미디어의 특성과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종류, 멀티미디어표준화의 기구, 멀티미디어표준화의 동향,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전망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미디어][멀티미디어표준화][표준화]멀티미디어의 정의, 멀티미디어의 특성과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종류, 멀티미디어표준화의 기구, 멀티미디어표준화의 동향,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전망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멀티미디어의 정의

Ⅲ. 멀티미디어의 특성

Ⅳ.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종류
1. 멀티미디어 구성요소에 대한 표준안
1) JPEG
2) MPEG
2. 구조화된 멀티미디어에 대한 표준안
1) SGML
2) HTML
3) MHEG
4) ODA

Ⅴ. 멀티미디어표준화의 기구

Ⅵ. 멀티미디어표준화의 동향
1. 표준화 필요성
2. 표준화 방향
3. 현재의 표준화 추세
4. 그 밖의 주요 표준화 그룹

Ⅶ. 멀티미디어표준화의 전망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압축기술에 비해 높은 음질의 오디오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주문형오디오(AOD) 서비스와 같이 비디오 신호가 없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 압축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가장 압축률이 높다고 알려진 AAC(Advanced Audio Coding)의 채택이 유리한 상황이고, 현재 인터넷을 통해 폭넓게 보급된 MP3(MPEG1 Audio Layer3)도 대중성에 힘입어 부분적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규격은 현재까지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된 영화 예고편과 뉴스 꼭지, 뮤직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각종 필요기술들을 정리한 것이다. 현재까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단순히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단말기에서 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이러한 단순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더해, 부가적으로 텍스트와 그래픽 등이 혼합된 리치미디어(rich media)가 될 것이다.
현재 3GPPWMF 등에서는 이러한 리치미디어 전송을 위한 규격을 논의중이다. 리치미디어를 즐길 수 있으려면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데, 현시점에서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http://www.w3c.org)의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기술과 MPEG4 시스템 규격 중 일부인 BIFS(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 기술이 경쟁하는 상황이다. SMIL은 텍스트 기반으로 각종 정보의 동기화를 기술하고 있어서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점과, SMIL 이름에도 나와있듯이 각종 정보들의 동기화가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BIFS는 화면 구성정보가 코드로 되어 있어서 모바일과 같은 낮은 대역폭의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대화형 서비스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양 기술 사이의 기술적 우열을 쉽게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밖에 주목할 만한 기술적인 이슈들로는, 사용자들이 망 상태에 즉흥적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신축형(scalable) 비디오 기술의 향방, 오디오-비디오 정보의 패킷화에 이은 리치미디어 정보의 패킷화 기술, 기존 인터넷 정보를 무선망에 적합하게 전달하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기술 등을 꼽을 수 있다.
3GPP3GPP2WMF 이외에 3G 서비스와 관련된 국제표준화단체로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ck Force http://www.ietf.org),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ttp://www.cselt.it/mpeg/), ISMA(Internet Streaming Media Alliance http://www.isma.tv)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선 인터넷상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명사격인 리얼플레이어의 리얼네트웍스와 윈도미디어플레이어의 마이크로소프트의 움직임 역시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IMT2000 비동기동기식 사업자 선정과 서비스 연기론 등으로 인해 혼미한 국내 상황에 비해, 국제단체에서는 차근차근 관련규격을 정하고 호환성 테스트를 통해 신뢰성 높은 솔루션의 확보를 위한 노력을 치열하게 펼치고 있다. 또 관련기업들도 자사 기술을 표준화함으로써 수익확보는 물론 파워 우위를 점하려는 경주에 앞을 다투는 상황이다.
국내 관련업체들도 국제단체의 움직임을 그저 주시만 하거나 외국업체의 기술수입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의 이동통신망이 구축된 환경적인 장점을 적극 활용해 국내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국제 표준화단체의 활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산기술의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채택 노력을 지금부터라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Ⅷ. 결론
Multimedia시장은 매우 큰 규모로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대추세에 따라 우리들은 Multimedia에 많은 투자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Multimedia의 사용처가 적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음이 아니라 이 분야에 더욱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앞으로 2-3년 안에 Multimedia는 더욱 가까이 우리들에게 다가올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대전 EXPO에 들어가 있는 안내system처럼 사용하기 쉬운 Touch screen을 통해 단지 손가락 하나로 화려한 영상과 미려한 sound로 치장된 정보 system을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가정에서는 친구와 화상 통신을 할 수도 있을 것이고, 기업에서는 화상 회의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모든 교육 program이 Multimedia 없이 생각할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
Multimedia 시장의 성숙과 Title은 서로 맞물려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마치 초창기에는 Computer라는 hardware 제품을 구입했지만, 이제는 software를 사용하기위해 Computer를 사는 양상이 된 것처럼, Title을 사용하기 위해 Multimedia PC를 사고 Multimedia PC가 많이 보급되면, 다시 Title 제작도 활발해지는 상호 보완작용을 갖는 것이다. Multimedia의 최상의 발전책은 Title의 개발이다. 이에 따라 한글로 작성되고 우리들에게 유용한 많은 Multimedia Title이 많이 제작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김승철, 역학적 에너지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설계 및 구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1996
김영복, 멀티미디어의 등장과 교육의 변화 교육연구사, 1997
김낙훈 외 : 교육용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설계 연구, 서울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연구보고 KR 97-1, 1997
노봉남 외 2명, 멀티미디어 정보사회, 생능출판사, 1997
임철수 외 2명, 멀티미디어개론, 그린, 2000
정민섭 :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이상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한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1995
Multimedia PC환경의 세계로, MicrosoftWare, 1992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9.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