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회 전기 통신 2교시 문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술 개발 측면의 파급 효과와 관련 산업 분야의 잠재적인 수익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컴퓨터 및 위성 통신, 광통신 시스템과의 응용 결합도가 높아서 다양화 되어가는 현대 사 회의 정보 환경에 잘 맞는 시스템이다.
다. 광케이블 선로의 구성
□ 초기의 광가입자 시절에는 주로 다중 모드의 광섬유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단일 모드의 광섬유를 도입하는 경향이 많이 늘어났다. 이러한 경향의 이유는 앞으 로의 서비스의 증대, 미래의 대용량 서비스 수용을 위해서 저손실이고 광대역성을 갖는 단일 모드의 광섬유가 적합하다.
□ 다중 모드 광섬유에 비해 접속이 어려움으로 접속이나 케넥터의 고정밀도가 요구되 므로 단가가 비싸지게 된다.
2. 직접 위성 방송(DBS)
가. 개요
□ DBS(direct broadcasting satellite)는 고정 TV방송국, 이동 TV 송신국에서 위성으 로 송신한 프로그램을 가정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수신 지역에서 소형 입체 안 테나를 이용하여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직접 위성 방송망으로서 TV방송의 난시청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이다.
□ 우리 나라에서도 1995년 4월의 무궁화호의 발사를 계기로 직접 위성 방송(DBS) 서 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개의 트랜스폰더를 방송용으로 할당하고 지구국의 건설을 추진하였다.
□ 위성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분류하면 위성 통신 서비스(communication satellite service)와 위성 방송 서비스(broadcasting satellite service)로 구분할 수 있다.
□ 위성 통신 서비스의 종류로는 음성 전화, 전신,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그램 분배, 데이터 통신, ISDN 서비스 등이 있으며, 현재 음성 전화 서비스가 위성 통신 용량 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그리고 위성 방송 서비스의 종류로는 직접 위성 방송(DBS), 고품위 TV(HDTV), 음성 위성 방송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서 직접 위성 방송(DBS) 서비스는 선진 각국에서 상용화되고 있는데, 고품위 TV(HDTV) 및 음성 위성 방송 서비스 는 선진 국가에서 실험 방송이거나 연구 중에 있다.
□ TV중계, CATV 중계 등과 같은 비디오 중계 서비스를 위해서도 3개의 트랜스폰더 할당과 12개국의 지구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나. 특징
□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방송 서비스 에어리어를 100%에 가까이 커버할 수 있다.
□ TV프로그램을 전국에 균일한 화질로 방송할 수 있다.
□ 전파의 도래 양각이 높기 때문에 산악이나 지형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예민한 지 향성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므로 건축물에 의한 고스트(ghost)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
□ 기존 방송과는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할 수 있어 문자 방송, 팩시밀리 방송, 정지화 방송, PCM에 의한 고충실도 음성 방송, 고품위 TV방송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수 용할 수 있다.
□ 위성 방송의 광역성 때문에 지역 방송을 실시할 수 없다.
□ 위성으로 전국을 서비스할 수 있기 때문에 위성이 고장나면 전국의 시청자들이 방 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되므로 높은 시스템 신뢰도가 요구된다.
□ 낙도, 산간 벽지 등에 대한 TV방송의 난시청 해소 대책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 니라, 비상 재해시에 방송망의 확보, 국외 중계 방송의 기동화, 중계 회선의 대체, 도시 지역의 수신 장해 개선, 선박 등 이동체에서의 방송 등에서 유효한 수단이 된 다.
□ 가정, 아파트 및 대형 건물 등의 공동 수신을 위한 입체 안테나의 크기를 감소시켜 가격을 저렴화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출력(EIRP : 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을 증가시켜야 한다.
□ TV신호 중계를 위한 지상망의 구축이 불필요하므로 신규 TV 채널이 증가되는 경 우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 HDTV, 정지화 방송 등과 같은 뉴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이다.
3. CATV 방송과 위성방송 비교
□ 광역성 : 단일 방송파로 전국에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고화질 : 위성을 보는 앙각이 높고, 반송파가 산악이나 고층 빌딩 등에 차단되는 비 율이 적기 때문에 난시청 해소, 고스트 장애 개선을 이루어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다.
□ 경제성 : 다수 수신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지상에 중계국을 건설하는 것보다 경 제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대용량 : 지상의 방송파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지상파의 경우 6MHz, 위성의 경우 27MHz)을 갖고 있기 때문에 TV방송 이외에 새로운 방송 서비스의 실 현이 가능해진다.
□ 내재해성 : 위성이 우주에 있기 때문에 지상의 재해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 형 지구국이 피해를 받는 경우에도 이동형 지구국 등의 운용에 따라 방 송의 연소적인 제공이 가능하다.
□ 지상파에 의한 중계가 곤란한 낙도 등에서도 실시간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 그러 나 위성 방송은 약 36,000km 고도에 떠 있는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 강우 감쇠 : Ku밴드(14 /12 GHz)를 이용하기 때문에 강우에 의한 신호 감쇠가 매 우 커서 위성으로의 피더 링크를 안정하게 확보하기 위해 부국 등의 사이트 다이버 시티(site diversity) 설비가 필요하다.
□ 일식과 월식 : 봄과 가을에 위성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져 태양 전지를 이용할 수 없는 기간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지의 대용량에 힘입어 일식 및 월식에서도 운용 가능한 위성이 실용화 되고 있다.
항목 / 방송 종류
위성 방송
지상 방송
사용 주파수대
SHF(12 GHz)
VHF, UHF
송신소
정지 위성 궤도
지상
송신 전력
120W
1∼50kW
수신 지점과의 거리
36,000km
100여 km
수신 지점의 전파 강도
약함
강함
영상 신호의 변조 방식
FM(주파수 변조)
AM(진폭 변조)
음성 신호의 변조 방식
PCM
FM
채널당 주파수 대역폭
27 MHz
6 MHz
[표] 위성 방송과 지상 방송의 비교

키워드

전기,   통신,   정보통신,   60회,   2교시,   문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