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파와 설비
2. 송신장치
3. 송신안테나
4. 수신장치
5. 수신안테나
6. 전파관리법
7. 주파수대와 무선통신
2. 송신장치
3. 송신안테나
4. 수신장치
5. 수신안테나
6. 전파관리법
7. 주파수대와 무선통신
본문내용
으며, 이것은 영상신호라고 하는 복잡한 정보(주파수폭으로 해서 약 4MHz)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낮은 주파수의 반송파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과 충분한 유효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극초단파대에 비해 초단파대가 유리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초단파대는 이와 같이 이동무선과 텔레비전방송으로 점유되고 있으나 이동무선의 수요가 선박·철도·경찰 등 공공용으로 급증된데다가 라디오방송의 초단파대 FM국 이행문제가 얽혀서 모두를 수용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있다. 텔레비전 방송의 전면적인 극초단파대 이행문제가 검토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극초단파대(UHF:300∼3,000MHz)가 되면 전파는 한층 더 직진성을 나타내며, 600~700MHz 정도까지는 초단파대와 거의 같은 전파특성을 가졌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이른바 UHF 텔레비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이상의 주파수가 되면 회절파가 미약해지고 직진성이 두드러지게 강해져서 마이크로파·밀리파에서는 거의 빛의 전파특성에 가까워진다. 또 파장도 수십 cm 이하로 짧아지기 때문에 안테나에 강한 지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어 전파를 목적하는 곳에 집중 복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주로 가시구역 내(可視區域內)에 있는 고정점 사이의 통신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공중통신용(公衆通信用)의 마이크로회선은 전화·텔레비전 등의 중계에 사용되며,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50∼60km 간격으로 산마루에 설치된 중계국을 연결해 나가는 것이다. 마이크로파 이상일 경우는 거의 전파의 회절이 없으므로, 예를 들면, 같은 지역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해도 전파의 방향이 다르면 혼신이 생기지 않는다.
이른바 UHF 텔레비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이상의 주파수가 되면 회절파가 미약해지고 직진성이 두드러지게 강해져서 마이크로파·밀리파에서는 거의 빛의 전파특성에 가까워진다. 또 파장도 수십 cm 이하로 짧아지기 때문에 안테나에 강한 지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어 전파를 목적하는 곳에 집중 복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주로 가시구역 내(可視區域內)에 있는 고정점 사이의 통신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공중통신용(公衆通信用)의 마이크로회선은 전화·텔레비전 등의 중계에 사용되며,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50∼60km 간격으로 산마루에 설치된 중계국을 연결해 나가는 것이다. 마이크로파 이상일 경우는 거의 전파의 회절이 없으므로, 예를 들면, 같은 지역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해도 전파의 방향이 다르면 혼신이 생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