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애주기영양학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intake goal)에 대해 설명하고 ‘2019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9년) 만 9세 이상에서의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CDRR,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Ⅰ.설문 1의 답
1.<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른 나트륨의 목표섭취량
2.최근(2019년)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Ⅱ.설문 2의 답
1.<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2.생애주기 시기별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
[참고문헌]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intake goal)에 대해 설명하고 ‘2019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9년) 만 9세 이상에서의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CDRR,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Ⅰ.설문 1의 답
1.<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른 나트륨의 목표섭취량
2.최근(2019년)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Ⅱ.설문 2의 답
1.<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2.생애주기 시기별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
[참고문헌]
본문내용
취기준>에 설정되어 있는 2,000mg의 목표섭취량과 다르게 1,500mg/일로 설정되었다.
또한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은 나트륨 섭취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는 문헌을 검사하고 이들을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설정한 기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나트륨과 중강도 이상의 연관성을 보이고 있는 만성질환의 경우 대표적으로 심혈관질환과 고혈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을 기준으로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을 설정한 바 있다.
다만 국내에서 수행된 나트륨 및 만성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을 설정하기에 완전히 충분한 양이라고 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 및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며, 한국 및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인구집단에 대한 나트륨의 용량-반응 메타분석의 결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근거를 통하여 결과값을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시기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태아기
영아기의 혈압이 성인기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부족을 섭취기준을 설정하지 않음
영아기(생후12개월미만)
유아기(1~5세)
1-2세 1,234.5 mg
3-5세 1,560.0 mg
아동기(6~11세)
6-8세 1,886.6 mg
9-11세 2,256.3 mg
청소년기(12~18세)
12-14세 2,383.9 mg
15-18세 2,331.9 mg
성인기(19~64세)
2,300 mg
노인기(65세 이상)
65-74세 2,053.3 mg
75 이상 1,700 mg
<표2> 나트륨에 대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pp73-81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56&page=1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2385
질병관리청, 「2019 국민건강통계」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또한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은 나트륨 섭취와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는 문헌을 검사하고 이들을 평가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설정한 기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나트륨과 중강도 이상의 연관성을 보이고 있는 만성질환의 경우 대표적으로 심혈관질환과 고혈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을 기준으로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을 설정한 바 있다.
다만 국내에서 수행된 나트륨 및 만성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을 설정하기에 완전히 충분한 양이라고 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 및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며, 한국 및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인구집단에 대한 나트륨의 용량-반응 메타분석의 결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근거를 통하여 결과값을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시기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태아기
영아기의 혈압이 성인기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부족을 섭취기준을 설정하지 않음
영아기(생후12개월미만)
유아기(1~5세)
1-2세 1,234.5 mg
3-5세 1,560.0 mg
아동기(6~11세)
6-8세 1,886.6 mg
9-11세 2,256.3 mg
청소년기(12~18세)
12-14세 2,383.9 mg
15-18세 2,331.9 mg
성인기(19~64세)
2,300 mg
노인기(65세 이상)
65-74세 2,053.3 mg
75 이상 1,700 mg
<표2> 나트륨에 대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pp73-81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56&page=1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2385
질병관리청, 「2019 국민건강통계」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출처표기)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
2021년 1학기 생애주기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나트륨의 목표섭취량 등)
생애주기영양학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생애주기영양학(공통)
지역사회영양학 ) 해당 자료는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소 섭취기준 미만자 분율 추이이다
생애주기영양학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
사회영양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를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