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권국가의이해 =) 2020년 12월의 역사적 Brexit 합의를 통해 영국은 최종적으로 EU(European Union)을 떠나게 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권국가의이해 =) 2020년 12월의 역사적 Brexit 합의를 통해 영국은 최종적으로 EU(European Union)을 떠나게 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어권국가의이해
2020년 12월의 역사적 Brexit 합의를 통해 영국은 최종적으로 EU(European Union)을 떠나게 된다. Brexit로 불리는 이 합의는 영국 현대사 및 EU 역사에서 중요한 한 분기점을 이룬다. Brexit의 개념과 배경, 전개 과정, 최종적인 합의 사항 및 이에 따른 정치, 경제적 영향 등을 다루는 설명문을 쓰시오. 글 전체를 다음의 5개 제목의 장으로 분리하여 작성하시오.

1. Brexit의 개념과 배경, 전개 과정
2. 2020년 12월 24일 합의사항
3. Brexit 이후 영국의 정치, 경제, 국제관계에 대한 전망
4. Brexit와 Scotland
5. Brexit와 Ireland

본문내용

4%가 탈퇴를 선택하였다. 이 중 수도인 벨파스트는 잔류 표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벨파스트 동부에서는 탈퇴의 비율이 높았지만, 전체 표수를 비교한다면 벨파스트의 잔류에 무게를 실었다. 그 외 다른지역은 EU에서 탈퇴하기를 바랐다. 이는 Scotland와 마찬가지고 Northern Ireland 역시 EU에 많은 지원을 받는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Northern Ireland는 가장 많은 EU 보조금을 받는 지역이다. Northern Ireland의 거주 농 87%가 해마다 EU의 보조금을 받고 있었으며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Northern Ireland에서만 농가직접지불제도로 도합 25억 파운드가 사용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에 Northern Ireland의 관점에서 EU의 탈퇴는 큰 손실이다. 그런 만큼 Northern Ireland가 England에서 독립한 뒤 독자적으로 EU에 가입하는 절차를 밟거나 기존의 아일랜드와 합칠지가 관건이었다. Northern Ireland는 England에 남고 싶었고, 아일랜드에서는 Northern Ireland가 종국에 아일랜드로 들어오기를 바랬다. 결국, Northern Ireland는 Northern Ireland Protocol을 맺어 영토는 여전히 England영토이지만 EU 단일 시장에는 남아 EU의 규제를 따르기로 한다. 이는 결국 Northern Ireland의 식료품 부족 현상 가지게 되는 등 문제를 겪게 했다. 이는 England본토에서 Northern Ireland로 식료품을 공급하는데 통관 및 검역 절차가 적용되고 규제가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Boris Johnson 총리는 England본토와 Northern Ireland 간 교역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며 ‘Northern Ireland 협약 16조(의정서의 적용을 잠정적으로 중단)’ 하도록 하는 등의 문제를 겪게 된다. 앞으로도 이런 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아일랜드는 현재 위태롭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윤승환(2020). 브렉시트와 한영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아시아.유럽미래학회
http://www.riss.kr/link?id=A107059361
이황수(2021). 브렉시트(BREXIT) 전, 국민 투표 결과가 국제 무역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5775461
이재승(2017). 브렉시트에 관한 England의 지역별 입장 차이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4460459
Goemoeri Anita(2019). 브렉시트가 Scotland 분리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 대학교
http://www.riss.kr/link?id=T15420781
조동희 외(2020). EU·England 간 무역협력협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2030000&bid=0004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