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 개인 행동을 이해 하는 데에 있어서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과 중요성을 2019년 영화 기생충의 등장인물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행동론 =) 개인 행동을 이해 하는 데에 있어서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과 중요성을 2019년 영화 기생충의 등장인물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택의 물질주의적 가치관
(2) 박 사장의 계급주의적 가치관
(3) 기택과 박 사장의 가치관 차이로 인한 부적절한 관계 형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대피소에서 잠을 청할 때 박 사장은 편안하게 집에 쉬면서 ‘폭우 때문에 캠핑을 못 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하는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가족은 침수로 집을 잃었는데 박 사장네는 다송이 여유롭게 생일 파티를 즐기면서 두 가정이 비교되고 내면에 잠재되어있던 기택의 사회적 불안, 자신의 삶에 대한 불만 등이 폭발하게 된다. 기택이 박 사장은 박 사장대로, 자신은 자신대로의 삶을 사는 것을 인정했고 덜 물질주의적인 가치를 가졌다면 박 사장이 보인 행동(여유롭게 캠핑이나 생일 파티를 즐기는 행위 등)에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반대로 박 사장은 기택을 한 사람으로 바라봤다면 쉽게 ‘냄새가 선을 넘는다’라는 식의 발언은 쉽게 못 했을 것이다. 스스로 노력하여 성공을 이룬 사람은 자아도취에 빠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왜 타인은 나만큼 노력해서 성공하지 못하지?’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박 사장은 이런 가치관을 가졌기 때문에 기택의 ‘냄새’가 불쾌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용인은 돈을 벌기 위해 그 자리에 있는 것으로 경제적 상황이 여유롭지 못 할 수 있다. 만약 박 사장이 ‘모든 사람이 노력해도 나만큼 성공하지 못한다’, ‘모두가 경제적으로 여유롭지는 않다’라는 가치관을 따르고 있었다면 기택이 경제적 여유가 없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은 반지하에 살 수도 있고 가정환경이 자신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가치관을 가졌더라면 기택한테 나는 냄새가 ‘그럴 수도 있는 냄새’라고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 또한 ‘내가 고용한 사람도 같은 인격체이다’라는 가치관을 가졌다면 기택이 하는 자그마한 실수(선을 넘는 행동)에 크게 불쾌해하지 않고 너그럽게 넘어갔을 수도 있다. 하지만 박 사장은 기택의 냄새에 불쾌함을 느끼고 ‘선을 넘는다’라는 발언까지 하며 기택을 한 인격체로 바라보지 않는 듯 한 행동을 보인다. 직접적으로 기택한테 비하 발언을 하진 않았지만 이런 박 사장의 태도는 일상생활에 묻어나오며 기택은 이를 감지하고 직접 비하 발언을 듣기까지 했으니 박 사장에 대한 반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3. 결론
각 개인의 행동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성격에 의해 행해진다. 그런 가치관과 성격은 자신이 타고나는 것과 주변 환경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런 가치관은 인간관계에서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치관이 너무나 다른 두 사람이 있다면, 같은 공간, 같은 상황에 놓여있어도 다른 관점에서 생각하며 행동하기 때문에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영화 ‘기생충’에서는 환경이 너무나 다른 두 가정을 같은 공간에 섞어두고 보이는 행동과 감정을 다루었다. 너무나 가난하고 하루하루가 생존하기 위한 버팀의 하루였던 기택의 가족과 금전적으로 여유로워 자신들의 삶의 질만 생각하는 박 사장의 가족은 서로를 이해하기에 너무 다른 환경에서 살아왔으며 다른 가치관을 형성하였다. 기택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박 사장은 계급주의적 가치관을 따르고 있었다.
결국, 이 둘은 같은 공간, 같은 상황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다. 만약 기택이 가난했어도 자신의 노력을 통해 정정당당하게 돈을 버는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었다면 박 사장의 부에 기생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지도 않았을 것이며 박 사장네 가족이 자신들이 일궈낸 부를 누리는 것에 자신의 삶을 투영하여 비교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반대로 박 사장은 자신만큼 성공하지 않아도 동일한 인격체로 대우받아야 한다는 가치관을 따르고 있었다면 기택이의 행동을 너그럽게 받아주며 기택이 불만을 느끼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다가갈 수 있었을 것이다. 결국 각자가 놓여있는 환경에서 발생한 각각의 가치관 때문에 서로가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을 했으며 영화는 파국을 맞게 되었다. 이를 통해 각자의 가치관이 어떤 방식으로 특정 행동을 낳는지, 그리고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타인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의준, 유승호,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주관적 계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18
홍영오, 송관재, 박수애, 이혜진, 이재창,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006
백지숙, 박선영, 「어머니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2004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7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