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논의
2. <기생충> 분석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이론적 논의
2. <기생충> 분석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근세 밑에 깔린 자동차 열쇠를 집어 들다가 근세의 몸에서 나는 냄새에 인상을 찌푸리는 박사장의 모습은 기택의 무의식을 자극하며, 이는 영화 속에서 매우 극단적인 행동, 곧 살인으로 이어진다.
<기생충>에서 박사장은 수차례에 걸쳐 기택에게서 \'냄새\'가 난다는 표현을 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냄새는 영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 냄새에 대한 불쾌함의 표현은 빈곤층에 대한 상류층의 혐오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장치로써 작동한다. 이는 상류 사회 속에서 생활한 박사장의 경험이 만들어낸 하나의 가치관과, 본인보다 아래의 인물에게 거리낌 없이 혐오를 붙이는 박사장의 성격을 보여준다. 특이한 점은, 박사장 역시 주체성이 결여된 인물이라는 점이다. 박사장과 기택의 계층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두 인물은 주체성의 결여라는 측면에서 동일 선상에 놓여있다. 주체성의 결핍은 사람 내면을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격 측면에서 적극성과 주체성의 부족은 수동적인 인물의 행동을 만들어낸다. 박사장은 가정 내에서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다. 스스로 놓아버린 것인지, 잃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인물을 고용하고 해고하는 중요한 순간에 조차 결정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박사장의 가치판단은 단지 그럴듯한 \'명함\'과 아내의 의견에 따라 좌지우지될 뿐이다. 그는 자기 자리를 위협하지 않는다면 \'보이는\' 모습 그 이상을 원하지 않는다. 타인 역시 본인의 ‘선’이상을 넘지 않기를 바란다. 그가 지닌 하나의 가치관인 것이다. 이러한 인물의 내면적 특성은 영화의 모든 사건을 유발하며, 그렇기 때문에 위조된 명문대학교 졸업장에서 시작된 <기생충>의 갈등이 야기되었다. 가정교사, 가사도우미, 운전기사를 새로 고용할 때 한 번이라도 진실됨을 검증하는 적극적인 면을 보였다면 영화는 시작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배선윤,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현대정신분석 23.1』, 2021, 16~27쪽 참고
Ⅲ. 결론
가면이라는 뜻의 \"persona\"에 어원을 두고 있는 성격은 사람의 사회적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성격은 가치관이 표출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가치관은 개인이 바람직한 것이라고 여기는 특이적, 명시적, 묵시적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가치관과 성격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그 후 영화 <기생충>의 두 인물(박사장과 기택)을 분석하였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두 인물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의 영화가 현실의 이야기를 반영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생충>은 입체적인 인물을 통해 현실을 탁월하게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기생충> 속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것이 현실 사람의 행동과 내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실제로 <기생충>의 등장인물인 박사장과 기택을 비교 분석하면서 인물의 내면이 행동으로 표출되며, 그렇기 때문에 성격과 가치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는 현실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이영란, 「가치관과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행동」, 『국내석사학위논문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http://www.riss.kr/link?id=T8927508
문정민, 「프로이드와 마슬로의 성격이론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http://www.riss.kr/link?id=T11014318
배선윤,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현대정신분석 23.1』, 2021 http://www.riss.kr/link?id=A107304352
<기생충>에서 박사장은 수차례에 걸쳐 기택에게서 \'냄새\'가 난다는 표현을 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냄새는 영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 냄새에 대한 불쾌함의 표현은 빈곤층에 대한 상류층의 혐오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장치로써 작동한다. 이는 상류 사회 속에서 생활한 박사장의 경험이 만들어낸 하나의 가치관과, 본인보다 아래의 인물에게 거리낌 없이 혐오를 붙이는 박사장의 성격을 보여준다. 특이한 점은, 박사장 역시 주체성이 결여된 인물이라는 점이다. 박사장과 기택의 계층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두 인물은 주체성의 결여라는 측면에서 동일 선상에 놓여있다. 주체성의 결핍은 사람 내면을 형성할 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격 측면에서 적극성과 주체성의 부족은 수동적인 인물의 행동을 만들어낸다. 박사장은 가정 내에서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다. 스스로 놓아버린 것인지, 잃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인물을 고용하고 해고하는 중요한 순간에 조차 결정권을 행사하지 않는다. 박사장의 가치판단은 단지 그럴듯한 \'명함\'과 아내의 의견에 따라 좌지우지될 뿐이다. 그는 자기 자리를 위협하지 않는다면 \'보이는\' 모습 그 이상을 원하지 않는다. 타인 역시 본인의 ‘선’이상을 넘지 않기를 바란다. 그가 지닌 하나의 가치관인 것이다. 이러한 인물의 내면적 특성은 영화의 모든 사건을 유발하며, 그렇기 때문에 위조된 명문대학교 졸업장에서 시작된 <기생충>의 갈등이 야기되었다. 가정교사, 가사도우미, 운전기사를 새로 고용할 때 한 번이라도 진실됨을 검증하는 적극적인 면을 보였다면 영화는 시작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배선윤,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현대정신분석 23.1』, 2021, 16~27쪽 참고
Ⅲ. 결론
가면이라는 뜻의 \"persona\"에 어원을 두고 있는 성격은 사람의 사회적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성격은 가치관이 표출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가치관은 개인이 바람직한 것이라고 여기는 특이적, 명시적, 묵시적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가치관과 성격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가치관과 성격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그 후 영화 <기생충>의 두 인물(박사장과 기택)을 분석하였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두 인물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의 영화가 현실의 이야기를 반영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생충>은 입체적인 인물을 통해 현실을 탁월하게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기생충> 속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것이 현실 사람의 행동과 내면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실제로 <기생충>의 등장인물인 박사장과 기택을 비교 분석하면서 인물의 내면이 행동으로 표출되며, 그렇기 때문에 성격과 가치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는 현실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이영란, 「가치관과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행동」, 『국내석사학위논문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http://www.riss.kr/link?id=T8927508
문정민, 「프로이드와 마슬로의 성격이론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http://www.riss.kr/link?id=T11014318
배선윤,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현대정신분석 23.1』, 2021 http://www.riss.kr/link?id=A107304352
추천자료
[세대와소통 2학년 공통]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송...
(세대와소통 2)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송강호 역)을 세...
[2021 세대와소통2공통]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
(세대와소통, 공통)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송강호 역)을 세대론의 관점...
감상문 ) 기생충, 대상 작품은 문학 작품 혹은 영화 중에서 선택할 것, 사회적의미가 들어가...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