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현황
<2> 의의와 평가
<3> 현재 백두대간의 문제점과 가치
<4> 백두대간 등산로의 실태, 문제점
<5> 미래를 바라보는 백두대간 자원, 가치 증진을 위한 보존, 그리고 해결방안
3. 결론
출처
2. 본론
<1> 현황
<2> 의의와 평가
<3> 현재 백두대간의 문제점과 가치
<4> 백두대간 등산로의 실태, 문제점
<5> 미래를 바라보는 백두대간 자원, 가치 증진을 위한 보존, 그리고 해결방안
3. 결론
출처
본문내용
이후 장마나 호우 등 자연재해에 의하여 이곳이 수로화되면서 탐방로 훼손을 가속화된다. 즉, 그렇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휴식년제를 지정해 등산객 출입을 제한하고 훼손된 노고단에 씻겨나간 흙을 채우면서 고유 식물종자를 파종하는 복원적인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겠다. 우리는 백두대간의 옛 모습을 되찾기 위하여 생태복원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겠고, 생태계 보존을 위하여 과도한 탐방 출입을 철저히 제한해야 하겠다. 그리고 지금까지 장기간 시간과 예산이 투입되어 생태복원이 이루어졌지만서도 예전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산림의 생태계는 한 번정도는 훼손되기는 쉬워보여도 훼손된 곳을 복원하는데는 장기간에 걸치는 무궁한 노력과 막대한 자금이 필요로 하기에 굉장히 어렵다. 그리고 복업사업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들이 요청되는 절대적으로 수월하지 않은 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산림은 과거보다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국내는 훼손된 생태계 회복기술과 훼손지 복구가 매우 부실한 수준이다. 대부분 훼손지들이 복원없이 방치되는 실정이며, 생태복원의 마저도 국내 낙후된 복원기술로 장기간에 걸치며 자연의 힘에 의한 자생력을 활용하기보단 단기적 조기 복원에 치우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고 집중호우와 봄가뭄철 동결융해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침식이 극심해 한 번 훼손되면 복원에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 생태복원은 장기간에 걸치며 자연 스스로의 힘을 이용해 주변 생태계, 조화를 이룰 때 복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복원효과가 장기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생태복원의 해결책은 복원의 대상지에 대한 정밀한 생태조사와 훼손된 면밀한 이유에 대한 분석을 거치면서 수행되어야 한다. 즉, 국내의 조기와 단기적인 생태복원적 기술을 한 단계를 향상시키는, 복원 기술적 개발에 적극적인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또한 이 뿐만이 아니다. 생태복원 사업을 진행하면서 그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한 사후적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복원적 성과를 기대해야 하는 것도 포함된다. 생태복원 경험과 결과물이 축적되어 방치되고 있는, 훼손지의 생태복원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또한 등산로 관리의 또 다른 문제점은 등산로를 관리하는 인력의 부족과 관리주체의 분산을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금 산지의 비율이 65%에 이르며 이미 개설된 등산로만도 9000km에 달한다. 등산로의 관리부서가 산림청, 국립공원의 관리공단, 지방자체단체 등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또한 등산로를 관리의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그렇기에 관리주체가 분산되어 국내 등산로에 대한 종합적 판단과 복구와 정비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음을 증명한다. 그러므로 등산로 각각 구분해서 명확하고 확실한 관리적 주체와 관리 인력들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로 삼아야 하겠다. 다시 말해서, 관리주체와 인력을 다함께 합쳐 훼손된 등산로가 적절한 시기에 정비를 하고 복구하면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임무이다.
3. 결론
이처럼 백두대간의 현황과 의의, 가치,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는 지금까지 살펴보면서 인간에 저지른 환경 파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환경을 훼손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삶을 저해시킬 수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꾸준한 복구 능력도 갖춰야 하고, 친환경적인 등산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실제로 등산로와 주변생태계들이 훼손되는 가장 큰 이유가 등산객의 등산문화에서 나오고 있다. 또한 일부 시민들은 자연을 보존의 대상으로 인지하기보다는 이용과 개발의 대상으로 보아왔던 것이 사실이고, 자연을 학대하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은 시민들뿐만 아니라 이를 관리해야 하는 정부 관계자 또한 마찬가지인 쓸쓸한 현실이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우리 산과 물의 모습을 10년 전에 비해 엄청나게 변화시켜 버렸다. 산과 강, 그리고 들에는 동물들의 소중한 안식처인 집을 떠나가게 만들었으며 식물들도 더욱 살기가 어려워져 버렸다. 10년 전에는 겨우 한사람이 다닐 수 있었던 등산로가 이젠 지금은 여러 사람이 나란히 걸을 수 있을 정도로 넓어지게 되면서, 그만큼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 만큼이나 산림에 대한 훼손도 적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렇기에 자연에 대하여 보존과 공생으로 인한 무분별한 인식, 그리고 이용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바뀌지 않는다면 우리는 절대 자연을 파괴한 죄로 모두 되돌아온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즉시적 복구, 그리고 지금 바로 복원하지 않으면 그 상처를 회복하기 위해선 오랜 세월과 많은 투자가 굉장히 필요하다.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복구는 소극적이었던 것은 사실인지라, 사람들의 무분별한 이용 행태로 훼손은 가속화되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다. 등산객의 무분별한 야영 활동과 취사활동 등에 의해 취약한 등산문화들은 등산로 훼손의 일차적 원인을 제공해온 것은 맞지만, 아직도 등산객을 위한 적절한 등산문화교육조차 없어 대책이 부실하다. 또한 정부와 관계자들도 마찬가지로 이를 대처하기 위해 빠른 해결책만 내놓을 뿐 장기적인 미래를 보지 않고 단기적으로만 보니 참 급급하기도 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미래를 바라보며 등산로의 이용량, 이용자의 특성, 그리고 이용자의 행태를 연구하면서 현 단계에서 이용자를 철저히 관리하고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자가 자연을 대하는 태도의 실질적으로 변화를 위한 교육 등 여러 가지 등산을 하기 위해 문화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의식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하겠다.
출처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6 : 북한
한국민족 문화대백관
\"백두대간 정맥, 年환경가치 3조9670억 원\", 김원준, 파이낸셜뉴스, 2020.09.02
https://www.fnnews.com/news/202009021045245601
백두대간 등산로, 활동, 생태계 보전,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activity/ecosystem-conservation/baekdudaegan-preservation/18218/
3. 결론
이처럼 백두대간의 현황과 의의, 가치,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는 지금까지 살펴보면서 인간에 저지른 환경 파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환경을 훼손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삶을 저해시킬 수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꾸준한 복구 능력도 갖춰야 하고, 친환경적인 등산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실제로 등산로와 주변생태계들이 훼손되는 가장 큰 이유가 등산객의 등산문화에서 나오고 있다. 또한 일부 시민들은 자연을 보존의 대상으로 인지하기보다는 이용과 개발의 대상으로 보아왔던 것이 사실이고, 자연을 학대하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은 시민들뿐만 아니라 이를 관리해야 하는 정부 관계자 또한 마찬가지인 쓸쓸한 현실이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우리 산과 물의 모습을 10년 전에 비해 엄청나게 변화시켜 버렸다. 산과 강, 그리고 들에는 동물들의 소중한 안식처인 집을 떠나가게 만들었으며 식물들도 더욱 살기가 어려워져 버렸다. 10년 전에는 겨우 한사람이 다닐 수 있었던 등산로가 이젠 지금은 여러 사람이 나란히 걸을 수 있을 정도로 넓어지게 되면서, 그만큼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 만큼이나 산림에 대한 훼손도 적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렇기에 자연에 대하여 보존과 공생으로 인한 무분별한 인식, 그리고 이용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바뀌지 않는다면 우리는 절대 자연을 파괴한 죄로 모두 되돌아온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즉시적 복구, 그리고 지금 바로 복원하지 않으면 그 상처를 회복하기 위해선 오랜 세월과 많은 투자가 굉장히 필요하다.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복구는 소극적이었던 것은 사실인지라, 사람들의 무분별한 이용 행태로 훼손은 가속화되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다. 등산객의 무분별한 야영 활동과 취사활동 등에 의해 취약한 등산문화들은 등산로 훼손의 일차적 원인을 제공해온 것은 맞지만, 아직도 등산객을 위한 적절한 등산문화교육조차 없어 대책이 부실하다. 또한 정부와 관계자들도 마찬가지로 이를 대처하기 위해 빠른 해결책만 내놓을 뿐 장기적인 미래를 보지 않고 단기적으로만 보니 참 급급하기도 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미래를 바라보며 등산로의 이용량, 이용자의 특성, 그리고 이용자의 행태를 연구하면서 현 단계에서 이용자를 철저히 관리하고 더불어 등산객의 이용자가 자연을 대하는 태도의 실질적으로 변화를 위한 교육 등 여러 가지 등산을 하기 위해 문화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의식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하겠다.
출처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6 : 북한
한국민족 문화대백관
\"백두대간 정맥, 年환경가치 3조9670억 원\", 김원준, 파이낸셜뉴스, 2020.09.02
https://www.fnnews.com/news/202009021045245601
백두대간 등산로, 활동, 생태계 보전,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activity/ecosystem-conservation/baekdudaegan-preservation/18218/
추천자료
2021년 1학기 숲과삶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
[숲과삶 1학년]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
숲과 삶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가치 증진...
숲과삶 =)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
숲과삶 =) 현재 백두대간의 자원 가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미래의 백두대간 자원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