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표집의 개념
2) 확률적 표집의 종류와 방법
3) 확률적 표집을 유아교육에 적용한 사례
4) 확률적 표집을 유아교육에 적용한 내용과 절차
5) 연구 결과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표집의 개념
2) 확률적 표집의 종류와 방법
3) 확률적 표집을 유아교육에 적용한 사례
4) 확률적 표집을 유아교육에 적용한 내용과 절차
5) 연구 결과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유아가 사회적으로 민감성이 높고, 인내력이 높은 기질이면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이 모두 높았다. 그러나 유아의 기질이 자극추구를 잘 하고, 위험회피가 높은 기질이면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 모두 낮게 나왔다. 또한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대한 조사에서는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과 모두 정비례했고,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과 모두 반비례했다. 즉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유아일수록 유아리더십이 높은 유아이고,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유아일수록 유아리더십이 낮은 유아라는 것이다. 서기남, 앞의 논문, 49-51쪽 참고.
다음으로 유아의 환경변인과 유아리더십의 관계인데,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중 명령지향적 언어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 모두 낮게 나왔다. 반대로 어머니들이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 모두 높게 나왔다. 그러나 어머니가 지위지향적 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유아리더십과 별다른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가정환경의 경우 독립성 육성, 정서적 분위기, 놀이자료의 풍부함은 유아의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독립성 육성, 정서적 분위기, 놀이자료의 풍부함이 잘 갖춰진 가정일수록 유아의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이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서기남, 앞의 논문, 51-53쪽 참고.
결론적으로는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유아의 리더십발달에 관련해서 유아의 성별, 가정의 월수입이 꽤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리더십 점수가 높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높은 유아일수록 리더십 점수가 높기 때문에 성별과 가정환경에 따라 다른 방식의 유아교육의 필요성이 촉구된다. 또한 기질적인 문제에서는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이 리더십과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유아의 인내심과 사회적인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유아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세 번째로 유아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수록 리더십 점수가 오른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유아가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또래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교사가 도와주는 등의 유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다음으로 가정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부모는 명령지향적 언어를 자녀에게 사용하지 말고, 인성적인 언어통제유형의 부모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가정환경 역시 독립성과 놀이환경이 잘 갖춰진 가정일수록 자녀의 리더십 점수가 올라가기 때문에, 부모는 이러한 가정 내 분위기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서기남, 앞의 논문, 58-71쪽 참고.
해당 논문에서는 끝으로 리더십은 개인에게 내재된 특성이지만 환경, 교육에 의해서 얼마든지 증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특성에 따라서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고, 이런 환경 구성을 부모가 잘 할 수 있도록 부모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기남, 앞의 논문, 74쪽 참고.
Ⅲ.결론
지금까지 확률적 표집이 실제 유아교육 연구에서 이용된 사례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았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해당 논문에서는 유아리더십에 관해서 467명의 유아를 표본으로 조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매년 40~50만 명의 아이가 새로 태어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해당 표본은 사실 전체 표본의 0.1%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뒤집어 말하자면 유아교육을 위한 연구 조사를 할 때, 모든 수의 표본을 일일이 다 조사하려면 해당 논문에서 했던 조사의 천 배 이상의 수고를 들여야 한 다는 것이다. 표집은 이러한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연구를 더욱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시행할 때는 확률적 표집이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성격은 계량할 수 없는 만큼 표본에 조금이라도 편중된 부분이 나오면 오류가 나올 확률이 매우 높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표본은 모집단에 가깝게 설정되어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해당 논문의 연구에서는 확률적 표집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확률적 표집은 비확률적 표집에 비해서 표본 추출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집락표집 방식을 채용하였다. 집락표집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국의 유아, 그 중에서도 서울, 경기권의 유아, 그 중에서도 논문 저자가 고른 8곳의 유아교육시설의 유아로 표본이 좁혀졌고, 이는 비록 확률적 표집이지만 특정 집단을 미리 정해 놓고 표본을 추출했다는 점에서 확률적 표집의 장점은 그대로 가져오고 단점은 최대한 줄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확률적 표집은 많은 표본의 관찰이 필요하지만, 모집단 전체를 관찰하기에는 어려운 교육학에서 사용되기에는 특히 최적의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연령대가 비슷한 표본들을 주로 다루는 교육학 특성상 확률적 표집 중에서도 집락표집 방식이 가장 연구에 실용적이라는 것이 결론이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김규성, 「표본조사에서 비확률표집 방법론 고찰」,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18권 1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8796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2009,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47713329776c2084ffe0bdc3ef48d419
안부근, 「사회조사에서의 표본추출 방법」, 한국사회학회, 사회과학의 계량적 연구방법론, 1993,
http://www.dbpia.co.kr.ssl.access.yonsei.ac.kr:808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13324
다음으로 유아의 환경변인과 유아리더십의 관계인데,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중 명령지향적 언어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 모두 낮게 나왔다. 반대로 어머니들이 인성지향적 언어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 모두 높게 나왔다. 그러나 어머니가 지위지향적 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유아리더십과 별다른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가정환경의 경우 독립성 육성, 정서적 분위기, 놀이자료의 풍부함은 유아의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독립성 육성, 정서적 분위기, 놀이자료의 풍부함이 잘 갖춰진 가정일수록 유아의 성취감, 주도력, 비전, 리더십 총점이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서기남, 앞의 논문, 51-53쪽 참고.
결론적으로는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유아의 리더십발달에 관련해서 유아의 성별, 가정의 월수입이 꽤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리더십 점수가 높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높은 유아일수록 리더십 점수가 높기 때문에 성별과 가정환경에 따라 다른 방식의 유아교육의 필요성이 촉구된다. 또한 기질적인 문제에서는 사회적 민감성과 인내력이 리더십과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유아의 인내심과 사회적인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유아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세 번째로 유아가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수록 리더십 점수가 오른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유아가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또래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교사가 도와주는 등의 유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다음으로 가정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부모는 명령지향적 언어를 자녀에게 사용하지 말고, 인성적인 언어통제유형의 부모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가정환경 역시 독립성과 놀이환경이 잘 갖춰진 가정일수록 자녀의 리더십 점수가 올라가기 때문에, 부모는 이러한 가정 내 분위기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서기남, 앞의 논문, 58-71쪽 참고.
해당 논문에서는 끝으로 리더십은 개인에게 내재된 특성이지만 환경, 교육에 의해서 얼마든지 증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특성에 따라서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고, 이런 환경 구성을 부모가 잘 할 수 있도록 부모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기남, 앞의 논문, 74쪽 참고.
Ⅲ.결론
지금까지 확률적 표집이 실제 유아교육 연구에서 이용된 사례에 대한 논문을 읽어보았고,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해당 논문에서는 유아리더십에 관해서 467명의 유아를 표본으로 조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매년 40~50만 명의 아이가 새로 태어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해당 표본은 사실 전체 표본의 0.1%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뒤집어 말하자면 유아교육을 위한 연구 조사를 할 때, 모든 수의 표본을 일일이 다 조사하려면 해당 논문에서 했던 조사의 천 배 이상의 수고를 들여야 한 다는 것이다. 표집은 이러한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연구를 더욱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시행할 때는 확률적 표집이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성격은 계량할 수 없는 만큼 표본에 조금이라도 편중된 부분이 나오면 오류가 나올 확률이 매우 높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표본은 모집단에 가깝게 설정되어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해당 논문의 연구에서는 확률적 표집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확률적 표집은 비확률적 표집에 비해서 표본 추출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집락표집 방식을 채용하였다. 집락표집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전국의 유아, 그 중에서도 서울, 경기권의 유아, 그 중에서도 논문 저자가 고른 8곳의 유아교육시설의 유아로 표본이 좁혀졌고, 이는 비록 확률적 표집이지만 특정 집단을 미리 정해 놓고 표본을 추출했다는 점에서 확률적 표집의 장점은 그대로 가져오고 단점은 최대한 줄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확률적 표집은 많은 표본의 관찰이 필요하지만, 모집단 전체를 관찰하기에는 어려운 교육학에서 사용되기에는 특히 최적의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연령대가 비슷한 표본들을 주로 다루는 교육학 특성상 확률적 표집 중에서도 집락표집 방식이 가장 연구에 실용적이라는 것이 결론이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김규성, 「표본조사에서 비확률표집 방법론 고찰」,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18권 1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8796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2009,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47713329776c2084ffe0bdc3ef48d419
안부근, 「사회조사에서의 표본추출 방법」, 한국사회학회, 사회과학의 계량적 연구방법론, 1993,
http://www.dbpia.co.kr.ssl.access.yonsei.ac.kr:808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13324
추천자료
교육평가A형 2021 교육평가A형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
교육평가B형 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교육평가, 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
(교육평가, A형)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
2021년 1학기 교육평가 중간시험과제물 A형(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2021년 1학기 교육평가 중간시험과제물 B형(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교육평가B형 유아교육에...
교육평가A형 2021]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교육평가A형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