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메모리 반도체 기업과 점유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적 메모리 반도체 기업과 점유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메모리 반도체
2. 메모리 반도체 시장규모
3. 메모리 반도체 시장점유율
4. 시기별 메모리 반도체 국가별 점유율
5.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한국)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7. 키옥시아(일본)

본문내용

위(12%)에 달한다. SK하이닉스는 2020년, 인텔 낸드 사업부를 10조 3,000억 원에 인수하여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또한, 2022년, 연산 기능을 갖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인 PIM(Processing In Memory)을 개발하였다.
6. 마이크론과 웨스턴 디지털(미국)
마이크론은 미국에 유일하게 남은 메모리 반도체 생산 기업 중 하나이다. 마이크론은 DRAM과 플래시 메모리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2022년 2분기 기준, D램 점유율 3위(22%), 낸드 플래시 점유율 2위(28%)를 차지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숱한 반도체 치킨 게임에서 살아남은 미국의 유일한 메모리 반도체 업체로 2001년에는 도시바 D램 사업부를 인수함으로써 규모를 키워나갔으며 2013년에는 일본 엘피다가 파산하며 매물로 나온 메모리 사업부를 거둬들여 현재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뒤를 이은 세계 3대 메이저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미국에서 마이크론을 제외하고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으로는 웨스턴 디지털이 있다. 본래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Corporation)은 하드 디스크를 생산하는 업체로 2012년 3월, 히타치의 하드디스크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최대 하드디스크 생산 업체가 되었다. 웨스턴 디지털은 2015년, 샌디스크의 낸드 사업부를 인수함으로써 본격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엄밀히 말해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기 시작하였고 2022년 2분기 기준, 전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에서 점유율 3위(12%)를 차지하고 있다.
7. 키옥시아(일본)
키옥시아는 일본에 마지막 남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이다. 키옥시아는 일본 반도체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전신은 도시바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이다. 도시바는 2000년대 미국의 원전기업인 웨스팅하우스를 인수하며 생긴 막대한 경영난이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를 매각하였다. 이렇게 분사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사업부는 사명을 키옥시아로 변경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모기업이었던 도시바는 세계 최초로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한 기업으로 그에 걸맞게 2022년 2분기 기준, 키옥시아의 플래시 메모리 시장점유율은 19.2%로 세계 3위에 달한다. 키옥시아는 따로 D램을 개발하지는 않는다. 또한 현재까지도 불안정한 경영난으로 인해 세계 여러 반도체 기업들은 키옥시아 인수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