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특정 소셜벤처기업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
1) 소셜벤처 기업 “Spill” 기업 및 창업자 (Heidi Allstop) 에 대한 조사
2) Spill 기업의 SWOT 분석
3) Spill 기업을 통해 본인이 느낀 ""기업가 정신 또는 Self-leadership""에 대하여 서술
Ⅰ. 서론
Ⅱ. 본론
1. 소셜 밴쳐기업 ‘Spill’
1) 기업의 정보
2) 창업자 ‘Heidi Allstop’
2. 기업 ‘Spill’의 SWOT 분석
1) SWOT의 정의
2) ‘Spill’에 대한 SWOT 분석
3. ‘Spill’에서 알게 된 기업가 정신
Ⅲ. 결론
참고자료
1) 소셜벤처 기업 “Spill” 기업 및 창업자 (Heidi Allstop) 에 대한 조사
2) Spill 기업의 SWOT 분석
3) Spill 기업을 통해 본인이 느낀 ""기업가 정신 또는 Self-leadership""에 대하여 서술
Ⅰ. 서론
Ⅱ. 본론
1. 소셜 밴쳐기업 ‘Spill’
1) 기업의 정보
2) 창업자 ‘Heidi Allstop’
2. 기업 ‘Spill’의 SWOT 분석
1) SWOT의 정의
2) ‘Spill’에 대한 SWOT 분석
3. ‘Spill’에서 알게 된 기업가 정신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강점을 이용한 마케팅을 진행한다면 ‘Slack’ 이용자들의 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코로나 19의 사회에서 사람들이 집밖에 나가지 않고 내부에서만 지내려고 하고 있으며, 이런 생활이 사람들의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을 ‘Spill’의 정신건강 치료 및 상담 서비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우수한 1:1 상담진행 서비스를 내세워 광고한다면 성공적인 마케팅 방법이 될 것이다.
⑤ 동태적 마케팅 전략 수립. 위처럼 ‘Spill’이 T/S 마케팅 전략을 성공적으로 이룬다면 높은 유입 이용자를 기반으로 상담을 진행하며 ‘Slack’을 사용하지 않는 외부의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끌 것이다. 이 경우 ‘Spill’은 기존의 ‘Slack’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만이 아니라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방식을 구축하여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고 강화해 지속적으로 시장의 우세를 펼쳐날 수 있다.
3. ‘Spill’에서 알게 된 기업가 정신
‘Spill’은 ’Heidi Allstop‘에 의해 처음으로 창설된 소셜밴쳐기업으로 사회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상담을 통해 해결해주고 도움을 제공하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그들만의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플랫폼을 창작하지 않고, 비록 부분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정신, 감정 상태를 알 수 있어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소셜밴쳐기업의 기업가 정신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또한 ’Heidi Allstop‘은 2008년에 자신이 주도하여 진행하였던 리더십 컨퍼런스 이후에 ’Spill‘ 서비스를 창업하고, 학생들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한 것을 보면 그에게서 기업가의 정신을 배울 수 있다. 여기서 기업가 정신이란 기회를 추구하며 혁신을 이루어 새로운 가치창조를 하는 과정으로 난 이 둘을 따로 비교하여 기업가 정신을 생각해보았다. 우선 ‘Spill’의 기업가 정신이다. ‘Spill’은 발전된 화상 채팅을 활용하여 화상 채팅이 가지는 1:1의 환경을 활용하여 그것을 상담과 정신적 감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였다. 이것은 앞으로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우리 사회가 비대면 화상 채팅을 주로 사용할 것이란 것을 먼저 혁신적으로 다가가서 가치를 창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코로나 19의 영향을 비롯하여 화상 강의와 화상 채팅이 일상화된 현재 사회에서 앞서간 모습을 보였다. ‘Spill’의 창업자 ’Heidi Allstop‘의 기업가 정신 역시 중요하다. 그녀의 경력을 보면 1년간 저널리스트의 활동을 하다가 1년간 리더십 컨퍼런스의 설립과 함께 총 6년을 ‘Spill’에서 일한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이면 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위험성이 다루며 본격적으로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정신을 위한 상담이 이뤄질 때이다. ‘Heidi Allstop’ 역시 리더십 컨퍼런스를 통해 이를 알고 있었을 것이며 1년간 컨퍼런십의 리더로 있으면서 ‘Spil’의 창업을 진행한 것을 보면, 그녀가 컨퍼러십에서 얼마나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고 그들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였는지, 기업가정신을 이해할 수 있었다. ‘Spill’의 주 고객 대상으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감정적인 문제를 겪고 있는, 심리적 문제를 겪는 사람을 택한 것 역시 기업가 정신에 대해 돋보이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의 주 고객 대상은 창립 당시에는 학생들이었으며, 현재는 성인 사회인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는 당시와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해 적절한 이해와 사회 기능 및 기술의 발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다. 물론 창업자인 ’Heidi Allstop‘가 처음으로 창업했을 당시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컨퍼런스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고도 볼 수 있지만, 당시를 생각하면 대규모 학생과 학교를 대상으로 한 원격 정신건강 상담 사업은 혁신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규모 역시 모국인 미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세계적인 학교와 학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였기에 이점은 기업가 정신에서 높게 살 수 있다. 현대 Spill’의 운영대상 역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를 가질 회사원을 대상으로 하고 그들을 기회로 화상 상담의 혁신을 통해 가치창조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업 ‘Spill’과 ’Heidi Allstop‘에게 스트레스로 인해 고통받는 현대 사회를 위한 화상 상담의 방식을 활용하여 도움을 주는, 기존의 대면 상담의 틀을 깬 혁신적인 가치창조의 기업가 정신을 배울 수 있다.
Ⅲ. 결론
사회적 가치창조를 위한 기업가 정신의 발휘와 소셜밴쳐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그것은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성공을 거두는 기업이 되는 지름길이라 생각하였다. 오늘 보았던 기업 ’Spill‘은 다른 기업들, 상담처들과 다르게 화상 채팅에 상담을 결합한 화상 상담으로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사회에 도움이 되며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며 또 기업을 운영할 때, 소셜밴처기업이 아니더라도 사회를 위한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이 기업이 가져야 할 긍정적인 운영 자세이다. 또한, 기업의 SWOT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운영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업은 항상 기업 자신과 시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시장진출을 노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
참고자료
Linked in(비즈니스 인맥사이트). Spill 과 Heidi Allstop
https://kr.linkedin.com/company/spillchat
https://kr.linkedin.com/in/hallstop
Spill 공식 사이트
https://www.spill.chat/
정갑연(2013). 마케팅전략. 한국외국어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710806
⑤ 동태적 마케팅 전략 수립. 위처럼 ‘Spill’이 T/S 마케팅 전략을 성공적으로 이룬다면 높은 유입 이용자를 기반으로 상담을 진행하며 ‘Slack’을 사용하지 않는 외부의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끌 것이다. 이 경우 ‘Spill’은 기존의 ‘Slack’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만이 아니라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방식을 구축하여 기존의 단점을 보완하고 강화해 지속적으로 시장의 우세를 펼쳐날 수 있다.
3. ‘Spill’에서 알게 된 기업가 정신
‘Spill’은 ’Heidi Allstop‘에 의해 처음으로 창설된 소셜밴쳐기업으로 사회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상담을 통해 해결해주고 도움을 제공하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그들만의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플랫폼을 창작하지 않고, 비록 부분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정신, 감정 상태를 알 수 있어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소셜밴쳐기업의 기업가 정신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또한 ’Heidi Allstop‘은 2008년에 자신이 주도하여 진행하였던 리더십 컨퍼런스 이후에 ’Spill‘ 서비스를 창업하고, 학생들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한 것을 보면 그에게서 기업가의 정신을 배울 수 있다. 여기서 기업가 정신이란 기회를 추구하며 혁신을 이루어 새로운 가치창조를 하는 과정으로 난 이 둘을 따로 비교하여 기업가 정신을 생각해보았다. 우선 ‘Spill’의 기업가 정신이다. ‘Spill’은 발전된 화상 채팅을 활용하여 화상 채팅이 가지는 1:1의 환경을 활용하여 그것을 상담과 정신적 감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였다. 이것은 앞으로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우리 사회가 비대면 화상 채팅을 주로 사용할 것이란 것을 먼저 혁신적으로 다가가서 가치를 창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코로나 19의 영향을 비롯하여 화상 강의와 화상 채팅이 일상화된 현재 사회에서 앞서간 모습을 보였다. ‘Spill’의 창업자 ’Heidi Allstop‘의 기업가 정신 역시 중요하다. 그녀의 경력을 보면 1년간 저널리스트의 활동을 하다가 1년간 리더십 컨퍼런스의 설립과 함께 총 6년을 ‘Spill’에서 일한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이면 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위험성이 다루며 본격적으로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정신을 위한 상담이 이뤄질 때이다. ‘Heidi Allstop’ 역시 리더십 컨퍼런스를 통해 이를 알고 있었을 것이며 1년간 컨퍼런십의 리더로 있으면서 ‘Spil’의 창업을 진행한 것을 보면, 그녀가 컨퍼러십에서 얼마나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고 그들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였는지, 기업가정신을 이해할 수 있었다. ‘Spill’의 주 고객 대상으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감정적인 문제를 겪고 있는, 심리적 문제를 겪는 사람을 택한 것 역시 기업가 정신에 대해 돋보이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의 주 고객 대상은 창립 당시에는 학생들이었으며, 현재는 성인 사회인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는 당시와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해 적절한 이해와 사회 기능 및 기술의 발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 것이다. 물론 창업자인 ’Heidi Allstop‘가 처음으로 창업했을 당시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컨퍼런스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고도 볼 수 있지만, 당시를 생각하면 대규모 학생과 학교를 대상으로 한 원격 정신건강 상담 사업은 혁신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규모 역시 모국인 미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세계적인 학교와 학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였기에 이점은 기업가 정신에서 높게 살 수 있다. 현대 Spill’의 운영대상 역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를 가질 회사원을 대상으로 하고 그들을 기회로 화상 상담의 혁신을 통해 가치창조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업 ‘Spill’과 ’Heidi Allstop‘에게 스트레스로 인해 고통받는 현대 사회를 위한 화상 상담의 방식을 활용하여 도움을 주는, 기존의 대면 상담의 틀을 깬 혁신적인 가치창조의 기업가 정신을 배울 수 있다.
Ⅲ. 결론
사회적 가치창조를 위한 기업가 정신의 발휘와 소셜밴쳐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그것은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성공을 거두는 기업이 되는 지름길이라 생각하였다. 오늘 보았던 기업 ’Spill‘은 다른 기업들, 상담처들과 다르게 화상 채팅에 상담을 결합한 화상 상담으로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사회에 도움이 되며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며 또 기업을 운영할 때, 소셜밴처기업이 아니더라도 사회를 위한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것이 기업이 가져야 할 긍정적인 운영 자세이다. 또한, 기업의 SWOT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운영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업은 항상 기업 자신과 시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시장진출을 노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
참고자료
Linked in(비즈니스 인맥사이트). Spill 과 Heidi Allstop
https://kr.linkedin.com/company/spillchat
https://kr.linkedin.com/in/hallstop
Spill 공식 사이트
https://www.spill.chat/
정갑연(2013). 마케팅전략. 한국외국어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7108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