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리 창출이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과거 수축사회 이전의 사회에서 이와 같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이유는, 사회적 자본의 크기가 지속해서 커지고 있어서, 사람들이 굳이 다른 사람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아도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만들어 주면 되기 때문에, 경쟁의 대상인 일자리라는 사회적 자본의 크기를 늘리는 방법이 본질적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4차 산업 혁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물론, 4차 산업 혁명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등은 아직 그 이면에 어떠한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반대로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에 사회를 새로운 형태로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역할이 필요하게 될 것이고, 그것에 해당하는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들의 한계를 충분히 인지하며, 그것을 우리 사회의 발전적인 방향으로 적용할 때, 이와 동시에 이러한 적용에 필요한 고급 그리고 초급 인력 들을 동시에 고용할 때 수축사회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건강을 위한 트레이닝
바람직한 리더와 리더십
환몽소설「조신」, 『구운몽』에 대한 고찰
[심리학개론] 고치고 싶은 행동을 행동수정 기법으로 극복하기 (고전적 조건형성의 방법으로)
(사회문제론 E형) 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
2020년 2학기 사회복지쟁점세미나 기말시험 과제물(강의가 인상적인 이유와 변화된 생각)
불안장애 유형에 대해서 설명하시고 나에게 있어서 불안장애로 나타나는 유형은 무엇이며 해...
[대중문화의이해 1학년]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의 특정 대중문화에 대한 소비의 사례를 들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