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초미시경제론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2.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시오.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목차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1) 수요의 증가
2) 공급의 감소
2.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시오.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1)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
2)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
3)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
출처 및 참고문헌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2.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시오.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목차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1) 수요의 증가
2) 공급의 감소
2.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시오.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1)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
2)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
3)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품의 성격, 소비자의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상품 정의의 범위, 가격 수준, 상품의 용도 그리고 고려되는 기간에 따라 결정된다.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1)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
단기생산 함수는 Q = f(L, )로 표현된다. 이는 단기에 자본(K)이 고정투입요소(Fixed input)으로 존재하며 노동(L)이 가변투입요소(variable input)으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단기에는 생산량의 변화에 맞추어 자본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공장이나 생산 설비를 갖춘 다음 이를 생산량에 맞춰 새로운 설비를 추가하거나 줄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기에는 생산량에 맞춰 노동만을 변화시킨다. 자본(K)이 단기의 유일한 고정투입요소라는 가정 하에 단기의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은 자본비용(rK)가 된다. 총고정비용은 공장 임차료와 지대, 감가상각비와 같이 생산자가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총고정비용은 생산량의 증감과 무관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총비용곡선은 수평선으로 그려진다.
2)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은 생산량의 변화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노동(L)을 위해 필요한 임금과, 원 재료 구매 비용 등이 이에 해당한다. 노동(L)이 유일한 가변투입요소라는 가정 하에 총가변비용은 노동비용(wL)이 된다.
총가변비용 곡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기생산 함수 곡선을 도출해야한다. 총비용함수는 총가변비용 곡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기 때문에(후술) 총가변비용 곡선을 도출해야 한다. 단기의 생산함수와 총비용함수는 생산과 비용의 쌍대관계(Duality)를 갖는다. 단기 생산함수에는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이 적용되는데 여기서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은 생산요소의 투입을 증가시킬수록 한계생산(MP)이 증가하다가 특정 지점(변곡점)에 도달한 이후 한계생산(MP)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단기의 한계생산은 ‘한계생산의 체증적 증가 -> 한계생산의 불변 -> 한계생산의 체감적 증가’로 나타난다.
단기생산 함수에서 노동의 투입을 증가시키면 L0까지는 생산량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다가 L0에 도달했을 때, 생산량이 불변하다가 체감적으로 증가한다. 총가변비용 함수를 구함에 있어서, 임금(w)이 고정되어있다는 가정 하에 체증적으로 생산이 증가한다는 것은 곧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즉 노동비용(가변비용)이 체감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생산이 체감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곧 노동비용(가변비용)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자면 총가변비용 곡선은 변곡점까지 체증적으로 증가하는 생산량으로 인해 총가변비용이 체감적으로 증가하고, 변곡점을 넘어서는 순간부터 생산량이 체감적으로 증가하므로 총가변비용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
3)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은 총고정비용(TFC)와 총가변비용(TVC)의 합계이므로 “STC = TFC + TVC (TFC = rK, TVC = wL)” 공식이 성립한다. 그림1과 같이 단기총비용곡선은 총가변비용 곡선을 총고정비용 즉, 자본비용만큼 상방 이동시킨 형태로 그려진다. 단기총비용 곡선과 총가변비용 곡선은 형태와 기울기가 동일하고 절편이 다르다. 단기총비용곡선은 총고정비용을 세로축의 절편 값으로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N.GREGORY MANKIW 저, 김경환, 김종석 옮김, 「맨큐의 경제학 - 제 7판 -」,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5
3. 단기 비용함수를 도출하시오.
1)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
단기생산 함수는 Q = f(L, )로 표현된다. 이는 단기에 자본(K)이 고정투입요소(Fixed input)으로 존재하며 노동(L)이 가변투입요소(variable input)으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단기에는 생산량의 변화에 맞추어 자본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공장이나 생산 설비를 갖춘 다음 이를 생산량에 맞춰 새로운 설비를 추가하거나 줄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기에는 생산량에 맞춰 노동만을 변화시킨다. 자본(K)이 단기의 유일한 고정투입요소라는 가정 하에 단기의 총고정비용(Total Fixed Cost: TFC)은 자본비용(rK)가 된다. 총고정비용은 공장 임차료와 지대, 감가상각비와 같이 생산자가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총고정비용은 생산량의 증감과 무관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총비용곡선은 수평선으로 그려진다.
2)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
총가변비용(Total Variable Cost: TVC)은 생산량의 변화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노동(L)을 위해 필요한 임금과, 원 재료 구매 비용 등이 이에 해당한다. 노동(L)이 유일한 가변투입요소라는 가정 하에 총가변비용은 노동비용(wL)이 된다.
총가변비용 곡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기생산 함수 곡선을 도출해야한다. 총비용함수는 총가변비용 곡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기 때문에(후술) 총가변비용 곡선을 도출해야 한다. 단기의 생산함수와 총비용함수는 생산과 비용의 쌍대관계(Duality)를 갖는다. 단기 생산함수에는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이 적용되는데 여기서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은 생산요소의 투입을 증가시킬수록 한계생산(MP)이 증가하다가 특정 지점(변곡점)에 도달한 이후 한계생산(MP)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단기의 한계생산은 ‘한계생산의 체증적 증가 -> 한계생산의 불변 -> 한계생산의 체감적 증가’로 나타난다.
단기생산 함수에서 노동의 투입을 증가시키면 L0까지는 생산량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다가 L0에 도달했을 때, 생산량이 불변하다가 체감적으로 증가한다. 총가변비용 함수를 구함에 있어서, 임금(w)이 고정되어있다는 가정 하에 체증적으로 생산이 증가한다는 것은 곧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즉 노동비용(가변비용)이 체감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생산이 체감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곧 노동비용(가변비용)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하자면 총가변비용 곡선은 변곡점까지 체증적으로 증가하는 생산량으로 인해 총가변비용이 체감적으로 증가하고, 변곡점을 넘어서는 순간부터 생산량이 체감적으로 증가하므로 총가변비용이 체증적으로 증가한다.
3)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
단기총비용(Short-run Total Cost: STC)은 총고정비용(TFC)와 총가변비용(TVC)의 합계이므로 “STC = TFC + TVC (TFC = rK, TVC = wL)” 공식이 성립한다. 그림1과 같이 단기총비용곡선은 총가변비용 곡선을 총고정비용 즉, 자본비용만큼 상방 이동시킨 형태로 그려진다. 단기총비용 곡선과 총가변비용 곡선은 형태와 기울기가 동일하고 절편이 다르다. 단기총비용곡선은 총고정비용을 세로축의 절편 값으로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N.GREGORY MANKIW 저, 김경환, 김종석 옮김, 「맨큐의 경제학 - 제 7판 -」,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5
추천자료
2021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
기초 미시 경제론 =)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
기초미시경제론 =)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기초미시 경제론 =)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
기초미시경제론 =) 1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기초미시경제론 =) 시장에서 어떤 경우에 균형가격이 상승하는지 가능한 한 자세히 서술하시오
2기초미시경제 )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