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본인은 몇 살부터 ’노인‘으로 불려도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2. 우리나라 현 시점에서 ‘노인은 어떤 사람인가(1-5장)’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노인교육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과 기대성과를 세 가지로 제시해 보십시오.
3. 1부 <영화 속 시니어월드>에 소개된 영화 4편 중 한 편을 보고 노인교육론 학습자로서의 감상을 기술하십시오. (1장 분량, 10점)
2. 우리나라 현 시점에서 ‘노인은 어떤 사람인가(1-5장)’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노인교육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과 기대성과를 세 가지로 제시해 보십시오.
3. 1부 <영화 속 시니어월드>에 소개된 영화 4편 중 한 편을 보고 노인교육론 학습자로서의 감상을 기술하십시오. (1장 분량, 10점)
본문내용
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고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면서 살아간다. 장난기가 넘치시는 할아버지와 그런 할아버지의 장난에 삐지시기도 하지만 할아버지 앞에서 아직도 소녀처럼 부끄러워하시는 할머니의 모습은 어떠한 삶의 가치를 두고 어떻게 늙는 것이 이상적인가에 대해 고민을 하게 한다.
시간의 지속성에 굴레에 사는 인간은 종종 자신의 노화뿐만 아니라 가진 것의 소중함을 왕왕 잊고 살아간다. 자녀가 있던 가정에서도 자녀가 장성하고 가정을 이루면서 분가하고 결국에는 부부만이 남아 생활을 공유하는 결혼생활이 지속함에 따라 곁에 존재하는 사람의 가치를 잊고 서로에게 무관심하게 대응하는 우리의 모습을 관찰하게 된다. 그러나 영화 속의 노부부는 시간의 흐름도 잊은 듯이 서로의 존재를 고마워하고 함께 사랑하고 배우자를 아끼는 것을 쉬지 않는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강계열 할머니는 자신의 영원한 짝이었던 강병만 할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일생일대의 비극을 경험하고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 옷을 태워드리면서도 할머니는 ‘당신 없이 나는 혼자 어떻게 살아요’라는 말을 거듭하여 내뱉는다. 노부부는 사랑이 전부 인양 서로를 위하며 일생을 살았고 한 사람의 죽음 뒤에 남겨진 이의 끝이 없는 상실감에서 노부부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추구하는 가치가 사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살아가면서 가끔은 나이가 들고 삶이 길어질수록 상황에 지치고 일상적으로 이어지는 생활에 권태로움을 느끼면서 자기 삶의 가치와 목표를 잊는 경험을 겪는다. 그러다가도 자신이 영유하던 삶의 가치를 잃는 경험을 하였을 때 큰 상실감과 허무감을 느끼게 된다. 가족의 죽음 앞에서 초연할 수 없겠지만 함께한 기간이 적지 않고 경제적인 활동이나 여타의 활동이 거의 없는 할머니가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얻은 상실감은 삶의 가치를 잃은 것과 같으리라 생각했다. 삶의 대부분의 가치를 상실하는 노년기에 제공하는 노인교육을 통한 자신의 삶을 되짚어보고 남은 삶에 대한 욕구와 새로운 가치 충족은 흥미 없이 권태로이 이어지는 삶이 새로운 자극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참고문헌
네이버 영화 정보.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30013
허정무(2000). 권리로서의 노인교육 : 인본주의적 노인교육철학.
http://www.riss.kr/link?id=A19653013
시간의 지속성에 굴레에 사는 인간은 종종 자신의 노화뿐만 아니라 가진 것의 소중함을 왕왕 잊고 살아간다. 자녀가 있던 가정에서도 자녀가 장성하고 가정을 이루면서 분가하고 결국에는 부부만이 남아 생활을 공유하는 결혼생활이 지속함에 따라 곁에 존재하는 사람의 가치를 잊고 서로에게 무관심하게 대응하는 우리의 모습을 관찰하게 된다. 그러나 영화 속의 노부부는 시간의 흐름도 잊은 듯이 서로의 존재를 고마워하고 함께 사랑하고 배우자를 아끼는 것을 쉬지 않는다. 영화의 끝부분에서 강계열 할머니는 자신의 영원한 짝이었던 강병만 할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일생일대의 비극을 경험하고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 옷을 태워드리면서도 할머니는 ‘당신 없이 나는 혼자 어떻게 살아요’라는 말을 거듭하여 내뱉는다. 노부부는 사랑이 전부 인양 서로를 위하며 일생을 살았고 한 사람의 죽음 뒤에 남겨진 이의 끝이 없는 상실감에서 노부부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추구하는 가치가 사랑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살아가면서 가끔은 나이가 들고 삶이 길어질수록 상황에 지치고 일상적으로 이어지는 생활에 권태로움을 느끼면서 자기 삶의 가치와 목표를 잊는 경험을 겪는다. 그러다가도 자신이 영유하던 삶의 가치를 잃는 경험을 하였을 때 큰 상실감과 허무감을 느끼게 된다. 가족의 죽음 앞에서 초연할 수 없겠지만 함께한 기간이 적지 않고 경제적인 활동이나 여타의 활동이 거의 없는 할머니가 할아버지의 죽음으로 얻은 상실감은 삶의 가치를 잃은 것과 같으리라 생각했다. 삶의 대부분의 가치를 상실하는 노년기에 제공하는 노인교육을 통한 자신의 삶을 되짚어보고 남은 삶에 대한 욕구와 새로운 가치 충족은 흥미 없이 권태로이 이어지는 삶이 새로운 자극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참고문헌
네이버 영화 정보.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30013
허정무(2000). 권리로서의 노인교육 : 인본주의적 노인교육철학.
http://www.riss.kr/link?id=A19653013
추천자료
재가노인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교육학]학교교육이론을 바탕으로 우리공교육의 대안을 모색하시오.
[독서][독서지도][독서교육][독서흥미][독서평가]독서의 개념, 독서의 범주, 독서평가, 언어...
2021년 1학기 노인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인교육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 등)
[2021 노인교육론3공통] 1.본인은 몇 살부터 ’노인‘으로 불려도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노인교육론 3학년] 1. 본인은 몇 살부터 노인으로 불려도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그 ...
노인교육론 ) 본인은 몇 살부터 노인으로 불려도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
노인교육론 =) 본인은 몇 살부터 노인으로 불려도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그 이유는 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