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중문화론 =) 1 영화가 등장인물 지에코(千恵子)를 어떤 여성으로 그리고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대중문화론 =) 1 영화가 등장인물 지에코(千恵子)를 어떤 여성으로 그리고 있는지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본대중문화론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郎) 감독의 영화 <즐겁게 걸어라(朗かに歩め)>(1930)를 감상하고 아래 문제의 답을 작성하시오.
문제 1. 영화가 등장인물 ‘지에코(千恵子)’를 어떤 여성으로 그리고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반드시 등장인물 ‘스기모토 야스에(杉本やす江)’와 비교하여 서술할 것.)
문제 2. ‘지에코’가 그렇게 그려진 이유는 무엇인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이다. 하지만 모두 지에코와 같은 입장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넉넉지 않은 현재 자신의 상황에서도 나쁜 일을 하지 않고, 언제든지 모범적인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면에서 분석하자면 지에코와 같은 캐릭터는 일본 특유의 권위에 복종하는 모습과는 정 반대의 캐릭터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아시안인에 대한 이미지를 본다면 예의를 중시하고 남의 말에 순종적이라는 첫인상을 주는 편이다. 우리 대한민국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많은 국민이 순종적이며, 남들과 다른 무언가를 하기 싫어하고 체면 구기는 일은 죽어도 싫어하는 민족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에코와 같은 캐릭터는 1920년대 국가적 이데올로기에 길든 일본 특유의 국민성에는 찾을 수 없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약간은 반항적인 캐릭터를 갖추었다고도 볼 수 있다. 정상적인 경로로 일을 하지 않는 것을 보면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1920년부터 시작하여 30년대 일본인의 경우 아시아 다른 국가에 비해 2배 가까이 부유하였었다. 한 국가가 부유하다는 뜻은 국민들 간에도 계층이 나누어진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내에서도 부유층이 있는가 하면 빚에 허덕이는 삶을 사는 이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인생에 있어서 돈을 가치관으로 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는 것이다.
즐겁게 걸어라에서는 각 캐릭터마다 중요시 하는 것들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무슨 일이 일어나든지 간에 필연적이고 우리의 인생은 계속해서 가야 한다는 점에서 즐겁게 걸어라 라는 뜻이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