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서비스 디자인론 ) 서비스 디자인, 제품 서비스디자인,UXD디자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품 서비스 디자인론 ) 서비스 디자인, 제품 서비스디자인,UXD디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를 통해 아직 국내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활용하고 싶어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알 수 있다. 다만 작은 규모로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은 UX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다. 대표적인 예로 고객과 더 원만하게 소통할 수 있는 고객센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직접 전화로 소통해야 했다면 현재는 웹사이트나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를 통해 업체 관련자와 실시간으로 대화를 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전화응대는 1:1이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길어지지만 웹사이트나 메신저는 한 명의 직원이 다수의 고객을 상대할 수 있어 소통에 소비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고객들은 더 빠른 답변을 들을 수 있어 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더욱 고차원적인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디자인, 제품 서비스디자인, UX 디자인 모두 어려운 용어 같고 대기업 수준에서 필요한 전략으로 비칠 수 있으나 실제로 이는 간단하게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외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는 전략이다. 꼭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작은 식당이나 가게에서도 서비스디자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객들이 식사하면서 불쾌한 경험이 없도록 식당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직원들을 교육하며 빠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일종의 서비스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서비스디자인을 더욱 축소한다면 하나의 업체가 아닌 한 사람, 즉 개인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나’라는 사람이 직장에서 좋은 제품(성과)을 내고, 동료 직원들과 소통하여 일을 원만하게 진행하고(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변 피드백을 통해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UX 디자인을 반영한 고객센터 혹은 A/S)이 개인 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이다. 따라서 내가 한 회사에 소속되든 직접 한 업체를 운영하든 서비스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성공적인 업무와 직장 내 ‘나’에 대한 평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영우, 윤성원, 정재훈, 이은이, 「이제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 시대다」, 『디자인하우스』, 2010
성열용, 조윤애, 노영진, 「국내 서비스디자인 활용 현황 및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16
반준철, 「오래가는 UX 디자인」, 『한빛미디어』, 2013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