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재생의학개론 ) 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줄기세포재생의학개론 ) 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돼지 심근경색증 모형에서 Akt-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재생치료의 효과]

[백서의 심근경색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형성술의 효과]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EPC)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혈관재생을 위한 혈관내피 전구세포(EPCs) 유래의 3차원 Scaffold-Free Spheroid의 개발]

[Cardiac cell sheet transplantation improves damaged heart function via superior cell survival in comparison with dissociated cell injection]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ortening과 이완기 말기 벽 두께가 3군에서 2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CD31, 칼포닌, DAPI 발현 여부로 혈관신생을 평가한 결과 3군에서 관 형태의 혈관내피 구조가 더 많이 관찰 되었으며 성숙한 혈관도 2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이 관찰 되어 혈관신생 능력도 시트 형태로 이식을 했을 때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TUNEL 양성 세포 조사를 하였을 때 2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많이 관찰되어 이식 후 세포 생존율도 시트 형태로 세포 이식을 했을 때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트 형태의 세포의 생존율이 높은 이유는 시트 형태의 세포는 그 기저에 ECM이 형성되어 심근과 유사한 조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ECM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식을 했을 때 심근 조직과 밀접한 접촉을 할 수 있고 이는 세포의 생존율을 극대화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외부 물질(생체분해 가능한 scaffold)의 도움 없이 온도 조절만으로 시트 형태의 세포 군집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식하였을 때 세포의 생존율, 심장 기능 개선 정도, 혈관신생 등이 줄기세포를 주사로 투여하는 것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는 것을 여러 방면으로 입증하였다. 특정 효소나 복잡한 배양 방법을 요구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시트 형태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부담이 없어 임상적으로도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해당 논문처럼 일반 기관에서도 쉽게 성공적으로 배양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또 다른 시각으로 보자면 해당 실험은 쥐에 적용되었기 때문에 크기가 몇 십 배는 더 큰 사람에서 적용하였을 때 필요한 시트의 크기가 커지면서 배양 성공률이 저하될 것인지 이다. 따라서 해당 실험은 조금 더 나아가 돼지와 같이 대형 동물에 적용하여 넓은 면적의 시트를 성공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지 봐야하며, 배양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이를 이식하는 과정에서 시트가 쉽게 손상되어 하나의 온전한 시트로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이 의학계에서는 심근 경색 환자에서 손상된 심근을 회복하고 심장의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 방법으로 줄기세포의 이용이 주목받고 있다. 태아줄기세포는 윤리적으로 연구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심근 세포로 분화 가능한 줄기세포 개발과 배양에 성공한 줄기세포를 더 성공적으로 심근 경색 환자에게 적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위 논문들은 골수 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유전자 조작하거나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기존의 혈관내피 세포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향상시켜 적용하는 방법들을 논하고 있다. 언급된 줄기세포 투여 방법은 심근에 직접 투여하거나 관상동맥을 통해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세포 군집을 직접적으로 심근에 이식하는 방법도 거론되었다. 추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임상적인 적용과 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 및 참고문헌
Hidekazu Sekine, Tatsuya Shimizu, Izumi Dobashi, Katsuhisa Matsuura, Nobuhisa Hagiwara, Masafumi Takahashi, Eiji Kobayashi, Masayuki Yamato, Teruo Okano, 「Cardiac cell sheet transplantation improves damaged heart function via superior cell survival in comparison wit hdissociated cell injection」, 『tissue engineering』, 2011
박해남, 연태진, 권진숙, 김영화, 김기석, 배장환, 손보라, 황경국, 김동운, 이명묵, 조명찬, 「백서의 심근경색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형성술의 효과」, 『Korean circulation J』, 2004
임상염, 정명호, 안영근, 김영숙, 김정하, 이상록, 김계훈, 손일석, 홍영준, 박형욱, 김주한, 김원,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돼지 심근경색증 모형에서 Akt-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재생치료의 효과」, 『Korean circulation J』, 2005
권상모, 김재원, 이정익, 「혈관재생을 위한 혈관내피 전구세포(EPCs) 유래의 3차원 Scaffold-Free Spheroid의 개발」,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2010
김다연, 김보민, 김소정, 최진희, 권상모,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EPC)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생명과학회지』, 2020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