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문화산책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기획한다고 가정해봅니다. 이에 적합한 2개의 도시 또는 지역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글을 작성해보세요. 여기에는 각 도시가 어떤 점에서 남방 및 북방 문화를 대표하는지, 또는 각 도시에서 남방 및 북방 문화의 어떤 점을 살펴볼 수 있는지에 관한 소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목차
Ⅰ. 개 요
Ⅱ. 현장학습 프로그램
Ⅱ-1.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차이
Ⅱ-2. 중국의 북방 현장학습 프로그램
Ⅱ-3. 중국의 남방 현장학습 프로그램
Ⅲ. 참고문헌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기획한다고 가정해봅니다. 이에 적합한 2개의 도시 또는 지역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글을 작성해보세요. 여기에는 각 도시가 어떤 점에서 남방 및 북방 문화를 대표하는지, 또는 각 도시에서 남방 및 북방 문화의 어떤 점을 살펴볼 수 있는지에 관한 소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목차
Ⅰ. 개 요
Ⅱ. 현장학습 프로그램
Ⅱ-1.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차이
Ⅱ-2. 중국의 북방 현장학습 프로그램
Ⅱ-3. 중국의 남방 현장학습 프로그램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그마한 어업중심 소규모 도시에 불과했다. 상하이는 18세기 이전에는 단 한번도 주요도시로 사용된 적도 없었으며, 전략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주요한 요충지 역할을 한 적도 없었다. 위앤진, ‘상하이는 어떻게 중국 근대의 문화중심이 될 수 있었는가’, 한국학연구, 2009.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81101
그러나, 상하이 개항이 시작 된 이래로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다. 비단 개항만으로 상하이가 이렇게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는 것은 완벽한 근거가 될 순 없다. 그러나, 개항 이후 상해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 여건이 매우 좋았다. 동남연해와 중부 장강유역의 교차점에 위치하고있으며, 상하이 개항으로 매우 큰 항구를 갖추고 있어 내강과 외해가 연결되는 곳에 위치해 아주 큰 강점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조계지’의 역할이 컸다. 외국인이 자유롭게 거주할 수 있으며 치외법권을 누릴 수 있도록 특정한 지역을 마련한 것인데, 이를 통해 외국 자본의 유입과 외국인 유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이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어쩔수 없는 선택지였으나 전화위복이 된 사례라 볼 수 있다.
상하이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를 꼽으라면 와이탄이 있다. 이곳은 현대 중국의 상징적인 장소이며 중국이 가질 수 있는 개방성의 끝이라고 볼 수 있다. 황푸강을 기준으로 외세개방을 통해 유입된 유럽풍 건물과 이국적인 분위기의 아르데코풍의 고층건물들이 즐비하다. 즉, 중국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한의 자본주의 시장의 허가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상하이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곳으로 주가각이 있다. 주가각은 와이탄과는 상반된 모습을 하고있다. 와이탄이 현대기술의 정수가 집약된 빌딩의 숲이라면, 주가각은 과거 상해가 발전하기 전의 고유한 모습을 간직한 수향의 숲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은 상해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으나 와이탄과 같은 점이 있는데 바로 개방감이다.
베이징과는 다르게 상해는 개방적인 도시로 발전했다. 막힘이 없고 모든 것이 열려있다. 성은 없으며, 주변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또한, 기후마저 따뜻해서 상해의 건물은 난방시설이 잘 되어있지 않다. 최근에는 냉난방기가 함께 달려있어서 에어컨에서도 따뜻한 바람을 만들어 겨울에 사용한다고 한다. 즉, 북방과는 다르게 기후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막힘 없이 개방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81101
그러나, 상하이 개항이 시작 된 이래로 모든 것이 바뀌기 시작했다. 비단 개항만으로 상하이가 이렇게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는 것은 완벽한 근거가 될 순 없다. 그러나, 개항 이후 상해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 여건이 매우 좋았다. 동남연해와 중부 장강유역의 교차점에 위치하고있으며, 상하이 개항으로 매우 큰 항구를 갖추고 있어 내강과 외해가 연결되는 곳에 위치해 아주 큰 강점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조계지’의 역할이 컸다. 외국인이 자유롭게 거주할 수 있으며 치외법권을 누릴 수 있도록 특정한 지역을 마련한 것인데, 이를 통해 외국 자본의 유입과 외국인 유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이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어쩔수 없는 선택지였으나 전화위복이 된 사례라 볼 수 있다.
상하이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를 꼽으라면 와이탄이 있다. 이곳은 현대 중국의 상징적인 장소이며 중국이 가질 수 있는 개방성의 끝이라고 볼 수 있다. 황푸강을 기준으로 외세개방을 통해 유입된 유럽풍 건물과 이국적인 분위기의 아르데코풍의 고층건물들이 즐비하다. 즉, 중국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한의 자본주의 시장의 허가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상하이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곳으로 주가각이 있다. 주가각은 와이탄과는 상반된 모습을 하고있다. 와이탄이 현대기술의 정수가 집약된 빌딩의 숲이라면, 주가각은 과거 상해가 발전하기 전의 고유한 모습을 간직한 수향의 숲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은 상해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으나 와이탄과 같은 점이 있는데 바로 개방감이다.
베이징과는 다르게 상해는 개방적인 도시로 발전했다. 막힘이 없고 모든 것이 열려있다. 성은 없으며, 주변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또한, 기후마저 따뜻해서 상해의 건물은 난방시설이 잘 되어있지 않다. 최근에는 냉난방기가 함께 달려있어서 에어컨에서도 따뜻한 바람을 만들어 겨울에 사용한다고 한다. 즉, 북방과는 다르게 기후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막힘 없이 개방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추천자료
(중국문화와산책 A형)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북방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
중국문화산책 A형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 북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
중국문화산책 B형 남방문화와 북방문화, 남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
[중국문화산책 1학년]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
중국문화산책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2021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적 차이)
[중국문화산책 4학년]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기획한...
[방통대 관광학과 4학년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현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