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관광론 ) 지역 관광개발의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관광론 ) 지역 관광개발의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기도 했는데, 정치적 이해관계에 제주 시민들이 이용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개발 공사에 대한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하고, 도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으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정치, 사업개발보다는 환경을 보존하여 후대에 전해줄 책임이 있다. 사람에게 이로운 개발은 자연 환경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주 비자림로 확장 공사 또한 비자림로와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송당과 성산 마을에 사는 유지들과 성산읍 이장협의회 등 이익을 볼 수 있는 집단은 찬성했다고 한다. 사람과 자연의 공존 보다는 자연 속에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것이 더 맞는 말이듯, 환경을 생각하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무분별한 자연 환경의 훼손으로 인한 피해는 사람들에게 다시 돌아오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제주 비자림로 확장 공사는 재개되고 나서도 전 국민이 인정하는 아름다운 길인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제주도내 환경단체의 활동 외에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비자림로를 지켜달라\'는ㄴ 취지로 10개의 청원이 올라가기도 했다. 대표적인 청원글은 하루만에 청원 인원이 1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이 나타나기도 했다. 필자 또한 올해 초 제주에 방문했을 때는, 비자림로 근처에 방치된 베어진 삼나무들로 인해 예전 아름다웠던 비자림로의 명성이 무색하게 느껴졌다. 확장 공사 구간 곳곳는에 공사현장내 출입을 금지하고 벌목된 수목을 운반하거나 반출하지 말라는 현수막들이 걸려 있었고 울창한 숲 대신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와 섞여 썩어가고 있는 나무 더미들만이 반길 뿐이었다. 아직도 잠정 중단된 상태에 있는 이 난개발 공사는 제주도민은 아니지만 내국인으로서 책임을 통감하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관광객 유치와 사업 개발보다 조금의 편의를 위해 수십 년 유지되어 온 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지, 우선적으로 지켜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모두가 고민해봐야하지 않을까.
*참고문헌
그림 출처: 제주의 소리, 박성우, [면도기로 밀어낸 듯... 하늘에서 본 제주 비자림로 \'황량\'], 2018.8.9.
신동주, 홍성도, [지역관광계획·개발론], 대왕사, 2010
연합뉴스, 고성식, [\'삼나무숲 훼손 논란\' 제주 비자림로 확장공사 7개월 만에 재개], 2019.3.23.
오마이뉴스, 김순애, [제주 비자림로 공사, 웃는 자들은 누구인가], 2019.4.10.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