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주관적 행복감
2.웃음치료
3.웃음치료프로그램
4.유머의 효과
Ⅲ.결론: 느낀점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본론
1.주관적 행복감
2.웃음치료
3.웃음치료프로그램
4.유머의 효과
Ⅲ.결론: 느낀점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전환이 가능하다. 개인은 그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마음이나 생각, 감정, 성격 등을 유머를 통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유머가 개인의 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은 바로 웃음을 통하여 도파민이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체 내 부신에서 만들어지는 뇌 속 신경전달 물질 도파민은 웃음을 통하여 활성화되는데 이를 통하여 개인이 정신적으로 활력을 유지하고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머는 부정적인 사건에 관련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분장애를 경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이 가진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인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웃음과 유머를 통하여 개인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우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감과 통제감을 기를 수 있게 된다.
(3)사회적 효과
유머는 사회적으로도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앞서 살펴본 신체적 효과와 정신적 효과가 개인의 건강에 관련된 차원이었다면, 유머는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개인 간의 긴장 및 갈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특히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기업 내에서 상사와 부하와 같은 수직적인 관계에 있을 때 유머는 경직된 의사소통을 수평적으로 변화시켜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영향이 존재한다. 실제로 리더가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부하 직원과의 관계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관계는 직원이 조직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조직에 대한 직무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이 조직 및 사회에서 느낄 수 있는 번아웃을 완화시키기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동체 내에서 유머를 통하여 유발된 웃음은 전염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하여 경직되어 있는 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이 사회 속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즉, 유머는 서로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문광수. “리더의 유머는 직원의 업무 몰입도를 높인다.”, 동아뉴스, 최종접속일 21.04.26.
Ⅲ.결론: 느낀점 및 시사점
현대 사회는 고도화된 기술로 인하여 개인이 많은 기술적 이점을 누리고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과도한 개인주의로 인하여 웃음이 사라진 사회를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웃음, 그리고 유머는 개인의 사고방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영향과 함께 사회의 긍정적인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일반인의 웃음 치료가 등장한 만큼, 개인이 의식적으로 유머 감각을 가지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인 차원에서 시민의 웃음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정창범. \"웃음치료가 성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서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f71b88eb20eba9dffe0bdc3ef48d419
문광수. “리더의 유머는 직원의 업무 몰입도를 높인다.”, 동아뉴스, 최종접속일 21.04.26.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80315/89126059/1
유머가 개인의 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은 바로 웃음을 통하여 도파민이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체 내 부신에서 만들어지는 뇌 속 신경전달 물질 도파민은 웃음을 통하여 활성화되는데 이를 통하여 개인이 정신적으로 활력을 유지하고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머는 부정적인 사건에 관련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분장애를 경감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이 가진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인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웃음과 유머를 통하여 개인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우리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감과 통제감을 기를 수 있게 된다.
(3)사회적 효과
유머는 사회적으로도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앞서 살펴본 신체적 효과와 정신적 효과가 개인의 건강에 관련된 차원이었다면, 유머는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개인 간의 긴장 및 갈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특히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기업 내에서 상사와 부하와 같은 수직적인 관계에 있을 때 유머는 경직된 의사소통을 수평적으로 변화시켜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영향이 존재한다. 실제로 리더가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부하 직원과의 관계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관계는 직원이 조직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조직에 대한 직무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이 조직 및 사회에서 느낄 수 있는 번아웃을 완화시키기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동체 내에서 유머를 통하여 유발된 웃음은 전염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하여 경직되어 있는 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이 사회 속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즉, 유머는 서로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문광수. “리더의 유머는 직원의 업무 몰입도를 높인다.”, 동아뉴스, 최종접속일 21.04.26.
Ⅲ.결론: 느낀점 및 시사점
현대 사회는 고도화된 기술로 인하여 개인이 많은 기술적 이점을 누리고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과도한 개인주의로 인하여 웃음이 사라진 사회를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웃음, 그리고 유머는 개인의 사고방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영향과 함께 사회의 긍정적인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일반인의 웃음 치료가 등장한 만큼, 개인이 의식적으로 유머 감각을 가지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인 차원에서 시민의 웃음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정창범. \"웃음치료가 성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서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f71b88eb20eba9dffe0bdc3ef48d419
문광수. “리더의 유머는 직원의 업무 몰입도를 높인다.”, 동아뉴스, 최종접속일 21.04.26.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80315/8912605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