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공리주의란
2.공리주의 분류
(1) 행위공리주의
(2) 규칙공리주의
(3) 소극적 또는 부정적 공리주의
(4) 이상적 공리주의
3.범죄자를 변호하는 변호사는 옳지 않은 것인가?
Ⅲ.결론
Ⅳ.출처 및 참고문헌
Ⅱ.본론
1.공리주의란
2.공리주의 분류
(1) 행위공리주의
(2) 규칙공리주의
(3) 소극적 또는 부정적 공리주의
(4) 이상적 공리주의
3.범죄자를 변호하는 변호사는 옳지 않은 것인가?
Ⅲ.결론
Ⅳ.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키는 도덕적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칼 포퍼는 행복의 추구를 위해 도덕적 차원의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했다. 공리주의적 입장에서 볼 때는 범죄자를 변호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로 비춰지나, 직업윤리면에서 볼 때 변호사는 옳은 일을 한 것뿐이다. 또한 개인의 쾌락을 위해 사회전체에서 정의되는 선에 반하는 일일지라도 변호사는 제 할 일을 했을 뿐이다. 헌법에서도 변호사는 인권의 보장을 위하여 범죄자에게 조력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준다. 앞에서 말했던 흉악한 범죄자 외에 누명을 쓴 범죄자등 전문가를 통해 조력을 받고 정당한 처벌이나 처분을 받을 수 있는지, 범죄자를 변호하는 변호사는 이상적인 공리주의의 도덕적 기준을 다시한번 짚어보고, 어떤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해 자문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Ⅲ.결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원리를 내세우는 공리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범죄자를 옹호하는 변호사는 과연 옳은 행동인가 옳지 않은 행동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공리주의는 모든 사람이 최대한 행복하고 풍요롭게 되는 상황에 대해 이상적으로 비추고 있었다. 또한 개인의 이익보다도 사회 전체의 이익을 목표로 하며 개인의 행동에 있어 선과 악으로 나누어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규범하고 있었다. 공리주의는 3가지로 분류되어 행위공리주의, 보편 공리주의, 이상공리주의로 나뉘어져 후반기로 갈수록 사회 안에서의 개인행동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고 있었다. 개인의 행복이 모여 사회적으로 확장했을 때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가 높아진다고 말하고 있다.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개인의 쾌락을 범죄자를 변호하는 변호사에게 대입해봤을 때 이 변호사는 옳지 않은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규범 안에서 결과적으로 많은 사회적 손실을 입혔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크나큰 고통을 주었기 때문이다. 물론,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변호사라는 직업윤리에 의해 지나친 비판은 삼가야할 행동이다.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문장이 현실에서도 실현되기를 바란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윤리학, 김형석, 철학과 현실사, 1992
세계문예대사전, 문덕수, 교육출판공사, 1994
윤리학, 전영길, 민영사, 1995
윤리학, 윌리엄K. 프랑케냐, 철학과 현실사, 2003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95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현대지성, 2020
Ⅲ.결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원리를 내세우는 공리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범죄자를 옹호하는 변호사는 과연 옳은 행동인가 옳지 않은 행동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공리주의는 모든 사람이 최대한 행복하고 풍요롭게 되는 상황에 대해 이상적으로 비추고 있었다. 또한 개인의 이익보다도 사회 전체의 이익을 목표로 하며 개인의 행동에 있어 선과 악으로 나누어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규범하고 있었다. 공리주의는 3가지로 분류되어 행위공리주의, 보편 공리주의, 이상공리주의로 나뉘어져 후반기로 갈수록 사회 안에서의 개인행동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고 있었다. 개인의 행복이 모여 사회적으로 확장했을 때 그 행위의 도덕적 가치가 높아진다고 말하고 있다.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개인의 쾌락을 범죄자를 변호하는 변호사에게 대입해봤을 때 이 변호사는 옳지 않은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규범 안에서 결과적으로 많은 사회적 손실을 입혔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크나큰 고통을 주었기 때문이다. 물론,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변호사라는 직업윤리에 의해 지나친 비판은 삼가야할 행동이다.
공리주의에서 말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문장이 현실에서도 실현되기를 바란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윤리학, 김형석, 철학과 현실사, 1992
세계문예대사전, 문덕수, 교육출판공사, 1994
윤리학, 전영길, 민영사, 1995
윤리학, 윌리엄K. 프랑케냐, 철학과 현실사, 2003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95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현대지성, 20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