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2)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의 장점
(3)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의 단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2)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의 장점
(3)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의 단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소통방식은 그림카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이 그림카드를 찾기 위해 상대방과의 소통이라는 목적에서 벗어날 위험이 있다.
그리고 그림카드라는 매개를 통해 대화를 하기 때문에 그림카드가 없으면 대화를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단점은 이 체계의 장점인 부분의 양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는 제시와 보응, 의견의 교환이라는 기본적인 소통의 원칙을 습득하지만 이미 그려져 있는 그림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내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그림의 복합성이나 다양성의 문제가 상시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림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높이게 되면 아동이나 유아의 경우 이를 선별하고 골라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하는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즉 기술의 습득을 위해 아동에게 적합한 수준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조정에 실패하게 되면 교습 또한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 교수자는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언어 장애 아동을 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는 이미 많은 지적 장애 및 의사소통의 언어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아동의 소통훈련에 사용되고 있다. 그만큼 이 방식은 언어수준이 미흡한 아동이 소통에 대해 학습하고 체득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통해 실제로 의사소통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임상 결과 또한 다수 나오고 있으며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 만큼 어느 정도 검증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훈련법은 언어장애 상태가 중증보다 경증인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상호작용의 향상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 간 신뢰도가 향상되고 수업에 대한 참여도 또한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다만 이 방식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소통의 틀을 잡기 위한 것으로 보다 복잡한 수준의 언어를 활용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다른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훈련하여야 한다.
대상을 고려한 적절한 수준의 훈련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보육교사 시행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 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배혜자, 전남대학교, 2011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이 경도 및 중증도 자페 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응범,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17집, 2006
그리고 그림카드라는 매개를 통해 대화를 하기 때문에 그림카드가 없으면 대화를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단점은 이 체계의 장점인 부분의 양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는 제시와 보응, 의견의 교환이라는 기본적인 소통의 원칙을 습득하지만 이미 그려져 있는 그림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내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그림의 복합성이나 다양성의 문제가 상시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림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높이게 되면 아동이나 유아의 경우 이를 선별하고 골라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원하는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즉 기술의 습득을 위해 아동에게 적합한 수준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조정에 실패하게 되면 교습 또한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 교수자는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언어 장애 아동을 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는 이미 많은 지적 장애 및 의사소통의 언어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아동의 소통훈련에 사용되고 있다. 그만큼 이 방식은 언어수준이 미흡한 아동이 소통에 대해 학습하고 체득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통해 실제로 의사소통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임상 결과 또한 다수 나오고 있으며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 만큼 어느 정도 검증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훈련법은 언어장애 상태가 중증보다 경증인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상호작용의 향상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 간 신뢰도가 향상되고 수업에 대한 참여도 또한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다만 이 방식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소통의 틀을 잡기 위한 것으로 보다 복잡한 수준의 언어를 활용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다른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훈련하여야 한다.
대상을 고려한 적절한 수준의 훈련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보육교사 시행 그림교환 의사소통체계 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배혜자, 전남대학교, 2011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이 경도 및 중증도 자페 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응범,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17집, 2006
추천자료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인 사진교환의사 소통체계를 이용하여 의사소통기...
[웹기반][Web기반]웹기반(Web기반) 마케팅, 웹기반(Web기반) 수업, 웹기반(Web기반) 학교도서...
[교육학] PECS(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
[정신지체 특징] 정신지체 1급 - 정신지체 1급 특징, 정신지체 언어특성, 정신지체 인지능력,...
협동학습정리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교수단계 6가지와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에...
성인간호학 기말] 위절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덤핑 증후군 예방 간호전략, 당뇨병의 급성합...
자페장그림교환의사 소통체계의 교수 단계 6가지와 자폐장애아동에게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 ...
언어발달장애 ) 언어 발달이 감각기에 머물러 있어서 말을 전혀 할 수 없는 아동에게 적용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