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형태소
(2) 이형태
(3) 교체
(4) 기본형
출처 및 참고문헌
(2) 이형태
(3) 교체
(4) 기본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해당 기본형에서 어떠한 규칙성을 가지고 교체가 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일정한 규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임의로 기본형을 정하기도 한다. ‘흙/흑/흥’ 등 다양한 이형태들 중에서 기본형은 ‘흙’이며 ‘아름다운/아름답던/아름답다’ 등에서는 ‘아름답다’가 된다.
우리말의 문법 단위는 가장 작은 의미 단위인 형태소로 시작해 각각의 형태소가 서로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는 교체가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이형태가 생겨나게 되고 이형태 중 가장 대표성을 띠는 기본형이 결정된다. 형태소는 모든 경우에 동일한 규칙을 적용할 수 없으며 모습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특히 문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형태소들은 주변 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우리말의 문법 단위는 각각을 떼어 놓고 이해할 수 없으며 각 단위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유기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 구인환, 신원문화사, 2006
<한국어의 형태소 인식과 범주 설정>, 김건영, 고려대학교, 2012
<국어 형태소와 이형태의 관계>, 송창선, 국어교육학회, 2020
우리말의 문법 단위는 가장 작은 의미 단위인 형태소로 시작해 각각의 형태소가 서로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는 교체가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다양한 모양의 이형태가 생겨나게 되고 이형태 중 가장 대표성을 띠는 기본형이 결정된다. 형태소는 모든 경우에 동일한 규칙을 적용할 수 없으며 모습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특히 문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형태소들은 주변 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우리말의 문법 단위는 각각을 떼어 놓고 이해할 수 없으며 각 단위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유기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어의 형태소 인식과 범주 설정>, 김건영, 고려대학교, 2012
<국어 형태소와 이형태의 관계>, 송창선, 국어교육학회, 20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