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467,287
2,135,250,534
Ⅵ. 영업외수익
41,471,751
141,872,574
1. 이자수익
34,858,752
136,353,192
2. 유형자산처분이익
-
1,539,000
3. 잡이익
6,612,999
3,980,382
Ⅶ. 영업외비용
9,107,536
112,217,922
1. 이자비용
-
109,312,068
2. 기부금
100,000
-
3. 기타의대손상각비
-
2,577,274
4. 잡손실
9,007,536
328,580
Ⅷ.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128,831,502
2,164,905,186
Ⅸ. 법인세비용(주석3,14)
296,843,775
488,829,597
X. 당기순이익(주석15)
831,987,727
1,676,075,589
우선 수익성과 관련되어서는 총 매출액의 지표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기업에 실질적인 이익이 남느냐는 점에서 당기순이익의 지표를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현재 분석에서는 총 매출액 보다 당기 순이익이 얼마나 남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삼성의 제17기(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당기순이익은 831,987,727이이며, 제16기(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당기순이익은 1,676,075,589이다. 수 많은 기업이 당기순이익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점을 볼 때 나쁘지 않은 수치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손익계산서>
제15기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제14기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과 목
제 15 (당) 기
제 14 (전) 기
Ⅰ. 매 출 액(주석3)
37,461,191,274
42,747,195,978
1. 상품매출
6,886,903,459
12,274,680,515
2. 제품매출
30,574,287,815
30,472,515,463
Ⅱ. 매 출 원 가
33,413,074,947
37,098,743,254
(1) 상 품 매 출 원 가
6,563,715,150
11,895,856,270
1. 기초상품재고액
-
-
2. 당기상품매입액
6,563,715,150
11,895,856,270
3. 기말상품재고액
-
-
(2) 제 품 매 출 원 가
26,849,359,797
25,202,886,984
1. 기초제품재고액
1,015,473,005
190,768,704
2. 당기제품제조원가
25,833,886,792
26,027,591,285
3. 기말제품재고액
-
(1,015,473,005)
Ⅲ. 매 출 총 이 익
4,048,116,327
5,648,452,724
Ⅳ. 판 매 비 와 관 리 비(주석19)
1,369,253,210
900,429,606
1. 급여
575,539,047
454,349,033
2. 퇴직급여
89,329,332
48,384,976
3. 복리후생비
227,606,720
67,028,677
4. 여비교통비
17,564,370
7,591,370
5. 접대비
43,743,970
17,997,560
6. 통신비
5,015,841
2,387,823
7. 세금과공과금
59,790,900
38,191,490
8. 감가상각비
34,225,378
32,205,129
9. 지급임차료
120,000,000
120,000,000
10. 보험료
15,523,348
11,752,761
11. 차량유지비
91,858,978
10,570,725
12. 교육훈련비
950,000
2,510,000
13. 도서인쇄비
2,712,000
5,270,000
14. 사무용품비
2,885,400
1,897,750
15. 소모품비
20,914,630
20,224,346
16. 지급수수료
56,536,136
54,655,818
17. 건물관리비
4,076,760
4,430,620
18. 무형자산상각비
625,000
-
19. 잡비
355,400
981,528
Ⅴ. 영 업 이 익
2,678,863,117
4,748,023,118
Ⅵ. 영 업 외 수 익
126,493,443
44,798,807
1. 이자수익
110,750,533
39,437,180
2. 대손충당금환입
5,671,834
4,270,853
3. 유형자산처분이익
7,399,000
4. 잡이익
2,672,076
1,090,774
Ⅶ. 영 업 외 비 용
107,351,102
295,748,841
1. 이자비용
101,485,052
87,244,356
2. 기부금
200,000
7,050,000
3. 기타의대손상각비
-
200,000,000
4. 잡손실
5,666,050
1,454,485
Ⅷ.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98,005,458
4,497,073,084
Ⅸ. 법 인 세 비 용(주석3,17)
615,793,813
1,021,889,975
X. 당 기 순 이 익
2,082,211,645
3,475,183,109
XI. 주당손익(주석18)
27,398
45,726
삼성의 제15기(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당기순이익은 2,082,211,645로 나타났다. 앞서 총자산에서도 알 수 있었지만 2018년도 지표에 비해 현재 지표는 다소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삼성의 경우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여러 지사를 가지고 있기에 글로벌기업이라는 수식이 아깝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번에 살펴본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를 토대로 하더라도 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측면 어느 것 하나 부족하지 않은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결론
기업의 생존 유무에 가장 중요한 점은 얼마나 유동성 확보가 잘 되어 있느냐와 부채와 자산의 밸런스, 그리고 결론적으로 회사에 남는 순이익이 어느 정도인가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분석한 삼성전자의 경우 이러한 3 가지 지표가 모두 완벽한 회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윤돈, IFRS 중급회계, 해커스 경영아카데미, 2020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601c603bce3a7d3ffe0bdc3ef48d419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2,135,250,534
Ⅵ. 영업외수익
41,471,751
141,872,574
1. 이자수익
34,858,752
136,353,192
2. 유형자산처분이익
-
1,539,000
3. 잡이익
6,612,999
3,980,382
Ⅶ. 영업외비용
9,107,536
112,217,922
1. 이자비용
-
109,312,068
2. 기부금
100,000
-
3. 기타의대손상각비
-
2,577,274
4. 잡손실
9,007,536
328,580
Ⅷ.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128,831,502
2,164,905,186
Ⅸ. 법인세비용(주석3,14)
296,843,775
488,829,597
X. 당기순이익(주석15)
831,987,727
1,676,075,589
우선 수익성과 관련되어서는 총 매출액의 지표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기업에 실질적인 이익이 남느냐는 점에서 당기순이익의 지표를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현재 분석에서는 총 매출액 보다 당기 순이익이 얼마나 남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삼성의 제17기(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당기순이익은 831,987,727이이며, 제16기(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당기순이익은 1,676,075,589이다. 수 많은 기업이 당기순이익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점을 볼 때 나쁘지 않은 수치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손익계산서>
제15기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제14기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과 목
제 15 (당) 기
제 14 (전) 기
Ⅰ. 매 출 액(주석3)
37,461,191,274
42,747,195,978
1. 상품매출
6,886,903,459
12,274,680,515
2. 제품매출
30,574,287,815
30,472,515,463
Ⅱ. 매 출 원 가
33,413,074,947
37,098,743,254
(1) 상 품 매 출 원 가
6,563,715,150
11,895,856,270
1. 기초상품재고액
-
-
2. 당기상품매입액
6,563,715,150
11,895,856,270
3. 기말상품재고액
-
-
(2) 제 품 매 출 원 가
26,849,359,797
25,202,886,984
1. 기초제품재고액
1,015,473,005
190,768,704
2. 당기제품제조원가
25,833,886,792
26,027,591,285
3. 기말제품재고액
-
(1,015,473,005)
Ⅲ. 매 출 총 이 익
4,048,116,327
5,648,452,724
Ⅳ. 판 매 비 와 관 리 비(주석19)
1,369,253,210
900,429,606
1. 급여
575,539,047
454,349,033
2. 퇴직급여
89,329,332
48,384,976
3. 복리후생비
227,606,720
67,028,677
4. 여비교통비
17,564,370
7,591,370
5. 접대비
43,743,970
17,997,560
6. 통신비
5,015,841
2,387,823
7. 세금과공과금
59,790,900
38,191,490
8. 감가상각비
34,225,378
32,205,129
9. 지급임차료
120,000,000
120,000,000
10. 보험료
15,523,348
11,752,761
11. 차량유지비
91,858,978
10,570,725
12. 교육훈련비
950,000
2,510,000
13. 도서인쇄비
2,712,000
5,270,000
14. 사무용품비
2,885,400
1,897,750
15. 소모품비
20,914,630
20,224,346
16. 지급수수료
56,536,136
54,655,818
17. 건물관리비
4,076,760
4,430,620
18. 무형자산상각비
625,000
-
19. 잡비
355,400
981,528
Ⅴ. 영 업 이 익
2,678,863,117
4,748,023,118
Ⅵ. 영 업 외 수 익
126,493,443
44,798,807
1. 이자수익
110,750,533
39,437,180
2. 대손충당금환입
5,671,834
4,270,853
3. 유형자산처분이익
7,399,000
4. 잡이익
2,672,076
1,090,774
Ⅶ. 영 업 외 비 용
107,351,102
295,748,841
1. 이자비용
101,485,052
87,244,356
2. 기부금
200,000
7,050,000
3. 기타의대손상각비
-
200,000,000
4. 잡손실
5,666,050
1,454,485
Ⅷ.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98,005,458
4,497,073,084
Ⅸ. 법 인 세 비 용(주석3,17)
615,793,813
1,021,889,975
X. 당 기 순 이 익
2,082,211,645
3,475,183,109
XI. 주당손익(주석18)
27,398
45,726
삼성의 제15기(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당기순이익은 2,082,211,645로 나타났다. 앞서 총자산에서도 알 수 있었지만 2018년도 지표에 비해 현재 지표는 다소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삼성의 경우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여러 지사를 가지고 있기에 글로벌기업이라는 수식이 아깝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번에 살펴본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를 토대로 하더라도 유동성, 안정성, 수익성 측면 어느 것 하나 부족하지 않은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결론
기업의 생존 유무에 가장 중요한 점은 얼마나 유동성 확보가 잘 되어 있느냐와 부채와 자산의 밸런스, 그리고 결론적으로 회사에 남는 순이익이 어느 정도인가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분석한 삼성전자의 경우 이러한 3 가지 지표가 모두 완벽한 회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정윤돈, IFRS 중급회계, 해커스 경영아카데미, 2020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601c603bce3a7d3ffe0bdc3ef48d419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