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재무분석 미래산업 재무제표와 재무분석
(1) 재무분석의 의의
(2) 재무분석 사례
1) 재무비율의 분류
2) 표준비율의 설정
3) 재무비율의 종류와 분석
가. 안정성 분석
나. 활동성 분석
다. 수익성 비율
라. 성장성 분석
마. 생산성 비율
바. 시장가치비율
(3) 비율분석의 유용성과 문제점
(4) 종합적 비율분석
(5) 질적 분석
1) 질적분석의 의의 및 중요성
2) 질적 분석의 내용
3) 질적 분석의 문제점
재무분석 미래산업 재무제표와 재무분석
(1) 재무분석의 의의
(2) 재무분석 사례
1) 재무비율의 분류
2) 표준비율의 설정
3) 재무비율의 종류와 분석
가. 안정성 분석
나. 활동성 분석
다. 수익성 비율
라. 성장성 분석
마. 생산성 비율
바. 시장가치비율
(3) 비율분석의 유용성과 문제점
(4) 종합적 비율분석
(5) 질적 분석
1) 질적분석의 의의 및 중요성
2) 질적 분석의 내용
3) 질적 분석의 문제점
본문내용
재무비율에는 커다란 차이가 생긴다.
다섯째, 표준비율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어떤 기업이 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이것을 산업평균비율과 비교한다 하더라도 산업평균비율이 그 기업의 특성에 맞는 최선의 비교기준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러한 비율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추세분석, 평점제도, ROI분석, ROE분석 등의 보다 종합적인 비율분석방법이 쓰이고 있다.
(4) 종합적 비율분석
단편적인 비율분석에는 많은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재무비율을 이용한 보다 나은 분석방법들이 발전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들을 편의상 종합적 비율분석이라 한다.
1) 추세분석
비율분석은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대차대조표나 일정기간의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업경영의 한 단면만 보여주게 된다. 추세(trend analysis)는 이러한 비율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표. 3> 미래산업의중요비율추이와산업평균
연도
비율
2008
2009
2010
유동비율
미래산업
320
262
184
산업평균
155
144
151
총자본순이익률(%)
미래산업
1.4
2.0
1.4
산업평균
2.4
3.6
3.7
재고자산회전율(회)
미래산업
8.7
5.4
3.4
산업평균
6.1
6.5
6.9
노동생산성(천원)
미래산업
6,589
6,235
5,780
산업평균
3,715
5,254
7,913
유동비율, 총자본순이익률, 재고자산회전율, 노동생산성 등의 추세를 고려해 본 결과 2006년부터 미래산업의 경영은 침체되기 시작하여 2007년에는 매우 악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평균은 안정된 추세로 지속되고 있는 반면, 모든 미래산업의 비율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동 비율에 있어서 조차도 2007년에는 미래산업의 비율이 산업평균보다 높으나, 2008년과 2009년에는 산업평균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추세가 보여주고 있다.
2) 지수법
재무비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으로 지수법(index method)이 있다. 지수법은 기업의 경영실적이나 재무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몇 개의 중요비율을 선정한 후 여기에 각 비율의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weightd value)를 부여하고, 기업의 실제비율과 표준비율 간의 관계비율들을 구하여, 이 관계비율들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지수를 산출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지수를 산출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가중비율종합법(weight ratio method)이라고 한다.
3) 평점제도
기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평점제도이다. 이 방법의 기본원리는 평가목적에 따라 중요한 재무비율들을 여러 개 선정하여, 각 비율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여기에 각 비율의 중요도에 따른 점수를 배분한다. 그리고 어떤 회사를 평가할 때에는 그 회사의 재무비율이 속한 구간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고, 이 점수를 모두 합하여 기업의 평가지표로 사용한다. 이 평점제도가 일단 정착된 후에는 기업의 평가가 기계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4> 평점제도의예
비율
만점
비 율 구 분
유동비율
30점
50%미만
50∼150%
150∼200%
200%초과
10
15
20
30
부채비율
20점
500%초과
500∼200%
200∼100%
100%
5
10
15
20
총자본순이익률
30점
5%미만
5∼7%
7∼10%
10%초과
10
20
25
30
총자산회전율
10점
1회미만
1∼2회
2∼5회
5회초과
2
3
6
10
노동생산성
10점
7백만원미만
8백만원이하
9백만원이하
9백만원초과
2
3
5
10
이와 같은 평점제도를 이용하여, 각 비율에 따른 부여 받은 점수를 모두 합하여 종합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 은행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하자.
90점 이상 : 최우량기업
80점 이상 : 우량기업
70점 이상 : 신용대출고려대상기업
60점 이상 : 요주의 기업
50점 이하 : 불량기업
이 평점기준에 의하여 미래산업주식회사 평가를 하면, 유동비율은 184%로서 20점, 부채비율은 93%로서 20점, 총자본순이익률은 1.47%로서 10점, 총자산회전율은 1.95회로서 3점, 노동생산성은 5,780천원으로서 2점을 받게 되어 합계 55점이 된다. 그러므로 미래산업은 불량기업으로 평가가 내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평점제도는 우리나라 은행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율분석의 일종으로, 단순히 중요비율만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image)나 최고경영자의 인격 등 질적 요인도 고려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5) 질적 분석
1) 질적분석의 의의 및 중요성
기업활동은 그 성격상 매우 복잡하여 재무제표에 표시된 수치만을 대상으로 하는 양적 분석만으로는 기업에 대한 분석이 완전하다고 볼 수 없다. 재무제표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기업의 미래 수익성·안전성·유동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 즉 분석대상기업이 속하는 산업의 성격, 분석대상기업의 경영자의 특징 등에 대한 분석이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질적 분석의 내용
질적 분석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매우 광범위하며 분석자의 주관이나 분석 대상기업의 특성에 따라 그 내용에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사업분석, 경영자 분석, 회사의 연혁, 업계에서의 위치, 노사관계, 연구개발, 금용관계 등이 중요하다.
3) 질적 분석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질적 분석의 중요성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질적 분석은 그 성격상 몇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측정상의 문제이다.
둘째, 주관이 개입하는 데에 따르는 문제이다.
셋째, 분석자료의 수집에 따르는 문제이다.
넷째, 분석범위에 따르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질적 분석 자체의 성질에서 발행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질적 분석의 유용성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기업에 대한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표준비율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어떤 기업이 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이것을 산업평균비율과 비교한다 하더라도 산업평균비율이 그 기업의 특성에 맞는 최선의 비교기준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러한 비율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추세분석, 평점제도, ROI분석, ROE분석 등의 보다 종합적인 비율분석방법이 쓰이고 있다.
(4) 종합적 비율분석
단편적인 비율분석에는 많은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재무비율을 이용한 보다 나은 분석방법들이 발전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들을 편의상 종합적 비율분석이라 한다.
1) 추세분석
비율분석은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대차대조표나 일정기간의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기업경영의 한 단면만 보여주게 된다. 추세(trend analysis)는 이러한 비율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율의 시간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표. 3> 미래산업의중요비율추이와산업평균
연도
비율
2008
2009
2010
유동비율
미래산업
320
262
184
산업평균
155
144
151
총자본순이익률(%)
미래산업
1.4
2.0
1.4
산업평균
2.4
3.6
3.7
재고자산회전율(회)
미래산업
8.7
5.4
3.4
산업평균
6.1
6.5
6.9
노동생산성(천원)
미래산업
6,589
6,235
5,780
산업평균
3,715
5,254
7,913
유동비율, 총자본순이익률, 재고자산회전율, 노동생산성 등의 추세를 고려해 본 결과 2006년부터 미래산업의 경영은 침체되기 시작하여 2007년에는 매우 악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평균은 안정된 추세로 지속되고 있는 반면, 모든 미래산업의 비율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동 비율에 있어서 조차도 2007년에는 미래산업의 비율이 산업평균보다 높으나, 2008년과 2009년에는 산업평균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추세가 보여주고 있다.
2) 지수법
재무비율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으로 지수법(index method)이 있다. 지수법은 기업의 경영실적이나 재무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몇 개의 중요비율을 선정한 후 여기에 각 비율의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weightd value)를 부여하고, 기업의 실제비율과 표준비율 간의 관계비율들을 구하여, 이 관계비율들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지수를 산출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가중치를 곱하여 합한 지수를 산출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가중비율종합법(weight ratio method)이라고 한다.
3) 평점제도
기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평점제도이다. 이 방법의 기본원리는 평가목적에 따라 중요한 재무비율들을 여러 개 선정하여, 각 비율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여기에 각 비율의 중요도에 따른 점수를 배분한다. 그리고 어떤 회사를 평가할 때에는 그 회사의 재무비율이 속한 구간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고, 이 점수를 모두 합하여 기업의 평가지표로 사용한다. 이 평점제도가 일단 정착된 후에는 기업의 평가가 기계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4> 평점제도의예
비율
만점
비 율 구 분
유동비율
30점
50%미만
50∼150%
150∼200%
200%초과
10
15
20
30
부채비율
20점
500%초과
500∼200%
200∼100%
100%
5
10
15
20
총자본순이익률
30점
5%미만
5∼7%
7∼10%
10%초과
10
20
25
30
총자산회전율
10점
1회미만
1∼2회
2∼5회
5회초과
2
3
6
10
노동생산성
10점
7백만원미만
8백만원이하
9백만원이하
9백만원초과
2
3
5
10
이와 같은 평점제도를 이용하여, 각 비율에 따른 부여 받은 점수를 모두 합하여 종합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 은행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하자.
90점 이상 : 최우량기업
80점 이상 : 우량기업
70점 이상 : 신용대출고려대상기업
60점 이상 : 요주의 기업
50점 이하 : 불량기업
이 평점기준에 의하여 미래산업주식회사 평가를 하면, 유동비율은 184%로서 20점, 부채비율은 93%로서 20점, 총자본순이익률은 1.47%로서 10점, 총자산회전율은 1.95회로서 3점, 노동생산성은 5,780천원으로서 2점을 받게 되어 합계 55점이 된다. 그러므로 미래산업은 불량기업으로 평가가 내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평점제도는 우리나라 은행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율분석의 일종으로, 단순히 중요비율만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image)나 최고경영자의 인격 등 질적 요인도 고려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5) 질적 분석
1) 질적분석의 의의 및 중요성
기업활동은 그 성격상 매우 복잡하여 재무제표에 표시된 수치만을 대상으로 하는 양적 분석만으로는 기업에 대한 분석이 완전하다고 볼 수 없다. 재무제표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기업의 미래 수익성·안전성·유동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 즉 분석대상기업이 속하는 산업의 성격, 분석대상기업의 경영자의 특징 등에 대한 분석이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질적 분석의 내용
질적 분석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매우 광범위하며 분석자의 주관이나 분석 대상기업의 특성에 따라 그 내용에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사업분석, 경영자 분석, 회사의 연혁, 업계에서의 위치, 노사관계, 연구개발, 금용관계 등이 중요하다.
3) 질적 분석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질적 분석의 중요성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질적 분석은 그 성격상 몇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측정상의 문제이다.
둘째, 주관이 개입하는 데에 따르는 문제이다.
셋째, 분석자료의 수집에 따르는 문제이다.
넷째, 분석범위에 따르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질적 분석 자체의 성질에서 발행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질적 분석의 유용성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기업에 대한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추천자료
비율분석을 이용한 경영평가방법
유통산업의 재무분석
삼성 SDI 기업분석 - 재무제표 비율분석을 중심으로
GS건설과 대림산업의 경영분석
재무비율 분석
SKT와 다양한 비율/이슈 비교분석을 통한 KTF 기업 경영분석
[재무분석]글로벌스탠다드 '미래에셋' 재무제표 사례분석(A+리포트)
삼성전자,LG전자,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재무비율 분석자료
재무비율 분석 중 수익성 비율에 대하여 두 기업의 사례를 든 후, 아래 3개 비율을 가지고 두...
대림산업 재무분석(기업분석)
미샤와 페이스샵을 통해본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재무분석
재무비율 분석
[lg생활건강 재무제표 분석] LG 생활건강 경영분석
비율분석을 이용한 종합경영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