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동기부여의 개념
(1) 내용이론
(2) 과정이론
2. 기업에서의 직원 동기부여 방안
Ⅲ.결론
Ⅳ.출처 및 참고문헌
Ⅱ.본론
1. 동기부여의 개념
(1) 내용이론
(2) 과정이론
2. 기업에서의 직원 동기부여 방안
Ⅲ.결론
Ⅳ.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으로 삼성전자에서의 임직원 동기부여 방안 4가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① 신상필상
- 업무성과에 따라 상과 벌을 공정하게 내려야한다는 ‘신상필벌’의 변형으로 잘해도 상을 못해도 상을 내린다는 성과주의 경영방침이다.
- 집단성과급제도: 경영성과에 따라 연봉의 최대 50%까지 지급한다.
- 자랑스러운 삼성인상 : 1단계 직급 승격
② 수시인사
- 매월 상당규모의 조직개편작업
- 경영환경과 사업환경에 대한 유연한 대처
③ 발탁승격
-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승진 소요기간을 단축시킴
- 어떤 업무든 도전하고 싶은 의욕을 고취시킴
④ 잡포스팅
- 내부 임직원이 본인의 의망여부에 따라 해당 직책에 지원 및 이동할 수 있게하는 제도
- 업무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기회를 제공하며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Ⅲ.결론
- 동기부여라는 말은 살면서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인 것 같다. 개개인의 성장을 위해서,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말이지만,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모른 채 막연하게만 쓰고 있었다. 동기부여란 자신의 목표를 위해 애쓰는 방법으로 사람이 무엇인가 하고자 할 때 동기부여가 없으면 안 될 정도로 중요한 요인인 것 같다. 동기부여의 이론으로 내용이론과 과정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인간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알게되었다. 여러 가지 이론들 중 각각의 장단점이 있겠으나 조직의 운영을 위하여 직원의 기본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애써야함은 변함없는 사실인 것 같다. 기업 운영자는 성과에 대한 당연한 보상을 시작으로 직원의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동기부여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류재복,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2
http://www.riss.kr/link?id=T9894333
호텔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용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http://www.riss.kr/link?id=T12858541
삼성전자뉴스룸, 삼성전자, 2014
http://bit.ly/30OfzhP
직업심리학, 박종원 외, 학지사, 2009
경찰학사전, 남재성 외, 법문사, 2012
조직행동연구, 백기복, 창민사, 2004
조직이론, 오석홍, 박영사, 1981
행정조직론, 조석준 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5
① 신상필상
- 업무성과에 따라 상과 벌을 공정하게 내려야한다는 ‘신상필벌’의 변형으로 잘해도 상을 못해도 상을 내린다는 성과주의 경영방침이다.
- 집단성과급제도: 경영성과에 따라 연봉의 최대 50%까지 지급한다.
- 자랑스러운 삼성인상 : 1단계 직급 승격
② 수시인사
- 매월 상당규모의 조직개편작업
- 경영환경과 사업환경에 대한 유연한 대처
③ 발탁승격
-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승진 소요기간을 단축시킴
- 어떤 업무든 도전하고 싶은 의욕을 고취시킴
④ 잡포스팅
- 내부 임직원이 본인의 의망여부에 따라 해당 직책에 지원 및 이동할 수 있게하는 제도
- 업무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기회를 제공하며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Ⅲ.결론
- 동기부여라는 말은 살면서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인 것 같다. 개개인의 성장을 위해서,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말이지만, 정확히 어떤 개념인지 모른 채 막연하게만 쓰고 있었다. 동기부여란 자신의 목표를 위해 애쓰는 방법으로 사람이 무엇인가 하고자 할 때 동기부여가 없으면 안 될 정도로 중요한 요인인 것 같다. 동기부여의 이론으로 내용이론과 과정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인간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알게되었다. 여러 가지 이론들 중 각각의 장단점이 있겠으나 조직의 운영을 위하여 직원의 기본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애써야함은 변함없는 사실인 것 같다. 기업 운영자는 성과에 대한 당연한 보상을 시작으로 직원의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Ⅳ.출처 및 참고문헌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동기부여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류재복,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2
http://www.riss.kr/link?id=T9894333
호텔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용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http://www.riss.kr/link?id=T12858541
삼성전자뉴스룸, 삼성전자, 2014
http://bit.ly/30OfzhP
직업심리학, 박종원 외, 학지사, 2009
경찰학사전, 남재성 외, 법문사, 2012
조직행동연구, 백기복, 창민사, 2004
조직이론, 오석홍, 박영사, 1981
행정조직론, 조석준 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