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서비스 마케팅 환경 ) (1) 코로나19로 인해 향후 유망한 서비스 분야 탐색 (2) 해당 분야에서 차별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서비스 마케팅 환경 ) (1) 코로나19로 인해 향후 유망한 서비스 분야 탐색 (2) 해당 분야에서 차별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코로나19로 인해 향후 유망한 서비스 분야 탐색
(2) 해당 분야에서 차별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
① 시장기회 분석
② SWOT 분석
③ S/T/P 전략
④ 마케팅 믹스(7P)
⑤ 도입기 전략 수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기 때문에, 이전 서비스업에서는 장소가 가장 중요했을지 몰라도 OTT 플랫폼의 특성상 장소가 그렇게 중요하게 되지는 않는다.
판촉 Promotion - 판촉이 가장 중요할지 모른다. 국내 1위 음원 사이트로 알려져 있는 멜론을 참고해보자. 멜론의 구독 시스템은 특정 카드, 혹은 특정 사이트로 가입한 사람들에 한해서는 달에 100원씩 결제 가능한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고, 아니면 3개월에 9,9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촉을 시도했다. 이와 같이 최대의 경쟁사인 넷플릭스 구독을 인증한다면 환승 이벤트 겸으로 달에 500원 결제시 콘텐츠 이용, 그 다음달은 1,500원 결제, 식으로 가격을 늘려가거나, 3개월 단위의 패키지 상품 등의 판촉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 People - 비대면 플랫폼이기 때문에 장소와 같이 사람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OTT 플랫폼의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이 문제되는 것은 고객센터 정도로 판단 되어 진다.
과정 Process - 최신 IT 기기에 맞추어 발빠른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를 모두 원활하게 맞춰야하며, 업데이트 되는 시기에 맞추어서도 항상 앱스토어와 커뮤니케이션하며 업데이트를 유지해야한다. 특히나 IT 기기에서 청년층에게 사용이 어렵고 복잡하다면 금세 등한시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PC의 장점이 손쉽고 간편한 사용인데, 이 특징이 힘들다면 이러한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가 없어져버리는 것이다.
물리적 근거 Physical evidence - 물리적 근거 역시 비대면 서비스 플랫폼이기 때문에 장소, 사람과 같이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⑤ 도입기 전략 수립
일단 두 플랫폼이 가장 먼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것은 바로 두 플랫폼의 병합이다. 앞서서도 말했듯, 아무리 콘텐츠가 좋고 끌려도 플랫폼 두 개를 결제해서 정기 구독을 하는 것은 부담이 되는 소비자들도 분명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같은 국내 콘텐츠를, 왜 일부러 두 개의 플랫폼에서 방송사를 나누어서 서비스하는지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넷플릭스, 왓챠도 물론 서비스하는 콘텐츠가 다르고, 왓챠에서 서비스 하는 것은 넷플릭스에서는 찾기 힘들고,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왓챠에서 찾기 힘든건 동일하지만, 이 두 개의 플랫폼은 국내 토종 브랜드이기도하다.
게다가 업계 1위가 아주 단단하게 자리잡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남겨진 파이만을 먹기 위해서 아등바등 3개의 플랫폼이 싸운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는 두 플랫폼의 과감한 결정이 필요하다. 병합만 될 수 있다면, 여태까지 플랫폼 두 개 정기 구독의 결제의 부담을 느꼈던 사람들이 하나의 회선만으로 두 플랫폼의 모든 콘텐츠를 누릴 수 있다면 올 수 있는 효과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또한 각자의 플랫폼을 각각 결제해서 충성 고객으로서의 고객에게는 일정 기간의 결제 금액의 환급 등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여태까지 결제한 모든 사항을 주기는 힘들겠지만, 이러한 사소한 챙김 자체가 충성고객들에게는 아주 큰 의미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합병을 통해 기존 고객들을 소위 말하는 ‘흑우(멍청한 소비자를 일컫는 은어)’취급 하지 않고, 또한 신규 고객, 혹은 업계 1위 넷플릭스만 이용하는 시스템을 인증한다면 1개월 천원 결제 등의 마케팅을 이용한다면 두 플랫폼을 합친 점유율보다도 훨씬 큰 점유율로 나타날 지도 모를 것이다.
Ⅲ. 결론
코로나 19의 시대로 서비스 마케팅들은 이에 발맞추어 진화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진화되는 과정에서의 경쟁사끼리의 선의의 경쟁을 통한 좋은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사용자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코로나 19 시대로 인해서 발전된 서비스 마케팅을 살펴본다면, 비단 코로나 19가 아니였어도 모두 사회 발전 속도에 따라 언젠가는 발전되었을 산업과 서비스 직무였음은 분명하다. 예상치 못했던 전염병의 도래로 그 시기가 빨라지고,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채로 서비스가 되어 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고 그것들을 더 다듬고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그보다 더 상상치 못했던 서비스도 발전되어서 어느새 우리도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Ⅳ. 참고문헌
- 권혜미 기자, 블로터, 용어로 보는 IT, http://www.bloter.net
- 조영신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국방송학보 25권 5호, 스마트 TV를 둘러싼 경쟁 지형과 정책 방안
- 서기만 LG 경제연구원, 한국방송공학회지, OTT 서비스의 이해와 전망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6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