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투자가치와 주택가격의 상관관계
2.2 서울시 강남구의 연도별 주거지 거래 현황과 가격지수
2.2.1 연도별 주거지 거래 현황 및 매매 현황
2.2.2 연도별 주거지 매매 가격 현황
3. 결론 및 향후 전망
참고문헌
2. 본론
2.1 투자가치와 주택가격의 상관관계
2.2 서울시 강남구의 연도별 주거지 거래 현황과 가격지수
2.2.1 연도별 주거지 거래 현황 및 매매 현황
2.2.2 연도별 주거지 매매 가격 현황
3. 결론 및 향후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동산 대책 발표가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이 시기에 맞춰 재건축과 재개발 관련 정책이 나오면서 입주가 줄어든 것에 대한 결과로 보인다. 보통 매매 가격이 떨어지면 사람들은 집값 하락을 우려하여 전세를 선호하고는 하는데 매매 가격이 떨어진 2012년 말~2014년에 전세가격은 급등하는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다만, 2019년의 경우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동시에 떨어지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시기를 보고 전문가들은 ‘새 아파트 대거 입주에 의해 발생한 현상’이라고 설명하는데, 이는 과거에는 집값이 떨어지며 새 아파트 입주가 없기 때문에 전세금이 오른 것이지만, 최근
에는 전세 수요를 소화해도 남을 정도로 새 아파트의 입주가 많아 전세가격과 입주 가격이 동시에 떨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을 살펴보면 이는 전세가격, 매매가격과 연결할 수 있다. 주택시장이 호황기일 경우 주택 매매가격의 상승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로 인해 매매가격은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낮은 상승률을 보여 매매가격대비 전세가격은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17년 9월~19년 5월까지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침체기에는 전세가격이 높아지고, 주택매매가격은 떨어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상승하게 되며, 이는 2013년~2015년 급격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는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서울에 비하여 강남이 1~3 % 낮았으나, 점차 서울의 평균에 가까워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3. 결론 및 향후 전망
주택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의해 가격 수준이 형성되고, 이는 주택이 가지고 있는 요인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과거부터 우리나라는 강남권의 가격이 오르면 전국이 순차적으로 매매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할 정도로, 매매가격의 시작은 강남이라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강남에 대한 10년간의 가격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향후 전망을 예측하면 다음과 같다.
과거 주택 매매 호황기 때에는 강남구의 매매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을 보여 평균가에 맞춰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현재 강남구는 다시 집값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강남구의 신축 고급 아파트와 더불어 정비 사업이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재건축 아파트 선호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투자 가치를 느껴 매매가 증가하고 결국 매매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연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강남의 경우 워낙 고가이다 보니까 대출만으로는 매매가 어려워 진입 장벽이 높고 보유세 부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금 부자들이 안정적인 ‘주택 한 채’를 기대하면서 강남권에 대한 수요는 계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최철, (2017).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a52497e2855b1bbffe0bdc3ef48d419
최정일, 이옥동, (2017). 강남3구 강북3구의 매매가와 전세가 동향 및 향후 전망, 한국부동산학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c83000a68f2688f4884a65323211ff0
디지털타임스, 2021.05.10. “전셋값 안정시킨다더니…서울 강남구서 평당 1억 찍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51002109932036001&ref=naver
이근복, (2020). 주택시장 및 도시 특성을 이용한 공시가격 결정 개선방안 연구,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선비즈, 2019.01.23., “\'강남發 전세 하락\' 12주 연속 떨어졌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3/2019012300097.html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의 현황과 시사점(KB 부동산시장 리뷰)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49727
이데일리, 2021.01.07. “다시 불붙은 강남…아파트 ‘50억 시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86886628915424&mediaCodeNo=257
다만, 2019년의 경우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이 동시에 떨어지는 비정상적인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시기를 보고 전문가들은 ‘새 아파트 대거 입주에 의해 발생한 현상’이라고 설명하는데, 이는 과거에는 집값이 떨어지며 새 아파트 입주가 없기 때문에 전세금이 오른 것이지만, 최근
에는 전세 수요를 소화해도 남을 정도로 새 아파트의 입주가 많아 전세가격과 입주 가격이 동시에 떨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을 살펴보면 이는 전세가격, 매매가격과 연결할 수 있다. 주택시장이 호황기일 경우 주택 매매가격의 상승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로 인해 매매가격은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낮은 상승률을 보여 매매가격대비 전세가격은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17년 9월~19년 5월까지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침체기에는 전세가격이 높아지고, 주택매매가격은 떨어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상승하게 되며, 이는 2013년~2015년 급격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증가로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는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서울에 비하여 강남이 1~3 % 낮았으나, 점차 서울의 평균에 가까워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3. 결론 및 향후 전망
주택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의해 가격 수준이 형성되고, 이는 주택이 가지고 있는 요인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과거부터 우리나라는 강남권의 가격이 오르면 전국이 순차적으로 매매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할 정도로, 매매가격의 시작은 강남이라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강남에 대한 10년간의 가격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향후 전망을 예측하면 다음과 같다.
과거 주택 매매 호황기 때에는 강남구의 매매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을 보여 평균가에 맞춰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현재 강남구는 다시 집값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강남구의 신축 고급 아파트와 더불어 정비 사업이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재건축 아파트 선호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투자 가치를 느껴 매매가 증가하고 결국 매매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연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강남의 경우 워낙 고가이다 보니까 대출만으로는 매매가 어려워 진입 장벽이 높고 보유세 부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금 부자들이 안정적인 ‘주택 한 채’를 기대하면서 강남권에 대한 수요는 계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최철, (2017).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a52497e2855b1bbffe0bdc3ef48d419
최정일, 이옥동, (2017). 강남3구 강북3구의 매매가와 전세가 동향 및 향후 전망, 한국부동산학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c83000a68f2688f4884a65323211ff0
디지털타임스, 2021.05.10. “전셋값 안정시킨다더니…서울 강남구서 평당 1억 찍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51002109932036001&ref=naver
이근복, (2020). 주택시장 및 도시 특성을 이용한 공시가격 결정 개선방안 연구,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선비즈, 2019.01.23., “\'강남發 전세 하락\' 12주 연속 떨어졌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3/2019012300097.html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의 현황과 시사점(KB 부동산시장 리뷰)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49727
이데일리, 2021.01.07. “다시 불붙은 강남…아파트 ‘50억 시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86886628915424&mediaCodeNo=25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