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항과 답안
2. 출처 및 참고문헌
2.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 이유로는 첫째, 표본 선정이 잘못된 경우이며, 만약 성인의 지능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의 지능을 측정했다면, 이 자료는 일반인보다 지능이 높을 확률이 높음으로 정규분포를 하지 않고 왼쪽으로 기운 분포가 될 것이다.
이 경우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은 일반 성인을 대표하는 집단이 아니므로 표본선정이 잘못된 것이다.
둘째, 자료를 측정하는 도구가 좋지 않은 경우로 통계 과목의 평가를 위해 시험을 본다고 할 때, 통계시험이 너무 쉬웠다면 학생들의 통계점수는 왼쪽으로 기운 분포가 될 것이고, 너무 어려웠다면, 오른쪽으로 기운 분포가 될 것이다. 이것은 통계학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인 시험문제가 잘못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6.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는 정규분포와 비교하여 분포가 좌우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비대칭도 계수값이 양수이면, 오른쪽 꼬리분포, 음수이면 왼쪽 꼬리분포를 보이게 된다.
( ⓑ )는 분포가 얼마나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 모양이 뾰족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 = 왜도(skewness)
ⓑ = 첨도(kurtosis)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으로 평균과 표준편차가 다른 모든 정규분포를 똑같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준화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관찰값을 표준값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 ⓑ )라고도 한다.
ⓐ = 표준정규분포
ⓑ = Z분포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추측 등을 ( ⓐ )이라고 하는데, 특히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 ⓑ ) 또는 연구가설이라 하고, 이에 상반되는 가설을 ( ⓒ ) 또는 영가설이라고 한다.
ⓐ = 가설
ⓑ = 대립가설
ⓒ = 귀무가설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추론통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 )은 표본의 성격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분석 방법이며, ( ⓑ )은 모수에 대하여 특정한 가설을 세워놓고 표본을 선택하여 통계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기초로 모수에 대한 가설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 = 모수추정
ⓑ = 가설검정
2. 출처 및 참고문헌
“간호연구 교안”. 정성희, 이상미 간호학과 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 경우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은 일반 성인을 대표하는 집단이 아니므로 표본선정이 잘못된 것이다.
둘째, 자료를 측정하는 도구가 좋지 않은 경우로 통계 과목의 평가를 위해 시험을 본다고 할 때, 통계시험이 너무 쉬웠다면 학생들의 통계점수는 왼쪽으로 기운 분포가 될 것이고, 너무 어려웠다면, 오른쪽으로 기운 분포가 될 것이다. 이것은 통계학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인 시험문제가 잘못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6.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는 정규분포와 비교하여 분포가 좌우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비대칭도 계수값이 양수이면, 오른쪽 꼬리분포, 음수이면 왼쪽 꼬리분포를 보이게 된다.
( ⓑ )는 분포가 얼마나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지, 즉 분포 모양이 뾰족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 = 왜도(skewness)
ⓑ = 첨도(kurtosis)
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각 2점, 총 4점)
( ⓐ )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으로 평균과 표준편차가 다른 모든 정규분포를 똑같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준화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관찰값을 표준값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 ⓑ )라고도 한다.
ⓐ = 표준정규분포
ⓑ = Z분포
8.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6점)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추측 등을 ( ⓐ )이라고 하는데, 특히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 ⓑ ) 또는 연구가설이라 하고, 이에 상반되는 가설을 ( ⓒ ) 또는 영가설이라고 한다.
ⓐ = 가설
ⓑ = 대립가설
ⓒ = 귀무가설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각 2점, 총 4점)
추론통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 )은 표본의 성격을 나타내는 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분석 방법이며, ( ⓑ )은 모수에 대하여 특정한 가설을 세워놓고 표본을 선택하여 통계량을 계산한 다음 이를 기초로 모수에 대한 가설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 = 모수추정
ⓑ = 가설검정
2. 출처 및 참고문헌
“간호연구 교안”. 정성희, 이상미 간호학과 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간호연구 기말시험)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내적 통제방법 6가지 측정도구의 신뢰...
간호연구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간호연구] 2021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간호진단] 간호연구
2021년 1학기 간호연구 기말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간호연구 2022] 1. 연구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권리 4가지 2. 변수의 유형 4가지 3. 가설이 ...
[간호연구 2022년] 1. 연구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권리 4가지, 2. 변수의 유형 4가지, 3. 가설...
[간호연구] 1. 연구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권리를 4가지, 2. 변수의 유형 4가지, 3. 가설이 갖...
[간호연구 2022년 기말]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2. 연구문제 평가의 기준 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