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2) 공유가치 창출
2. 공유가치 창출 전략 사례
1) CJ E&M
2) (주)대지를 위한 바느질과 에코시티서울의 녹색경영
(1) (주)대지를 위한 바느질
(2) 에코시티서울
3) 일본과 중국의 저개발국 진출
(1) 일본의 산업회랑
(2) 중국의 아프리카 인프라 사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2) 공유가치 창출
2. 공유가치 창출 전략 사례
1) CJ E&M
2) (주)대지를 위한 바느질과 에코시티서울의 녹색경영
(1) (주)대지를 위한 바느질
(2) 에코시티서울
3) 일본과 중국의 저개발국 진출
(1) 일본의 산업회랑
(2) 중국의 아프리카 인프라 사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행하는 인프라 구축 사업의 자금을 지원해는 대신 아프리카에 풍부한, 중국에서 요구하는 자원을 상환받는 자원연계차관(Loan for Oil)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 중국은 아프리카에 직접 진출해 도로, 철도, 상수와 같이 생활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에 힘쓰고 있다. 아프리카에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투자를 통해 경제적인 가치와 사회적인 공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개발 과정에서 중국이 이용하는 중국수출입은행이 바로 공유가치 창출의 전략이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아프리카에 제공한 중국의 자금 지원 중 90% 이상이 이 중국수출입은행을 통해 지급되었다. 즉, 아프리카에서 각종 인프라 설립 사업을 진행하는 구성원 중 대다수가 중국은행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지원 형태가 차관형과 신용형으로, 이는 아프리카의 중국 신용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중국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그들의 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고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아주 오랜 시간 전부터 쌓아온 중국 정부와 아프리카 정부의 긍정적인 신뢰도 덕분에 중국 기업들은 중국수출입은행을 통해 이윤을 획득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에도 중국 정부의 자금지원 덕분에 나라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업에 투자를 할 수 있고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 즉, 중국의 이러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통해 이윤을 얻으면서 동시에 저개발국에 사회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경제 성장의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그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갈렸지만, 이를 보완해 등장한 공유가치 창출의 개념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동의하리라 생각한다. 나도 기업의 이러한 공유가치 창출 전략에 동의한다. 경기침체로 인한 저성장시대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업에 기대하는 바가 커지는 만큼 기업도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 새로운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전략은 과거처럼 기업의 극대화된 이율만을 고려한 전략이 아닌, 사회 문제 분야에서 새롭게 찾아낸 가치를 바탕으로 하는 공유가치 창출 전략이 되어야 한다.
공유가치는 단순히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발전하게 된다는 관점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해 더 빠른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 기업이 미래의 사회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것이고, 지속가능한 전략 덕분에 높은 이윤을 얻을 수 있다. 또, 개인의 경우 사회의 분위기와 문화를 지배하고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게 되거나, 원하는 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고, 지역사회가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등 개인적인 삶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인 문제가 모여 사회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개인의 문제 해결은 사회 문제 해결로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현재 심각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과거 사회 구성원들은 단기적인 관점으로 살아왔다. 지금 당장 나무 몇천 그루를 베어 상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가올 환경 문제는 먼 미래의 일로 생각하고 눈앞의 이윤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미뤄뒀던 일이 이제는 현실이 되어 우리에게 다가왔다. 앞으로의 삶도 과거처럼 환경을 생각하지 않고 기업과 개개인의 이윤만을 위해 행동한다면 우리 사회의 미래는 참담하거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앞서도 언급했듯 이미 사회에 견고하게 자리 잡아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의 환경 문제와 관련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세우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이 더 건강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렇게 건강한 사회의 형성은 점점 더 많은 기업과 고객들의 공유가치 창출 전략의 참여를 유도할 것이고, 그 결과로 이러한 사회 문제는 더 빠르게 해결될 수 있다.
이렇게 공유가치 창출 전략은 사회의 경제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 기업, 환경 등 우리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의 성장을 끌어낼 수 있다. 그래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이 현대 우리 사회 기업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기업들은 더 창의적이고 더 혁신적인 방법으로 공유가치 전략을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경쟁은 선의의 경쟁이 되어 기업들이 경쟁하면 할수록 사회와 구성원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와 복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 기업 간의 선의의 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도 공유가치 창출 전략은 우리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개념이다.
Ⅳ. 참고문헌
1. 장유정, 조유현, 「기업경영연구」, 『공유가치창출(CSV)인식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Vol.23 No.2 [2016], 2016, https://url.kr/e8orxk
2. 백서인, 권상집, 「기업경영연구」,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 = Innov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CJ E&M: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vergence Strategy, and CSV』, Vol.22 No.5 [2015], 2015, https://url.kr/at5vgm
3. 빈창현, 전병준, 「전자무역연구」, 『사회적기업의 녹색경영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두 개 사회적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Green Management of Social Enterprises: Cases of Two Social Enterprises』, Vol.15 No.3 [2017], 2017, https://url.kr/fmcy34
4. 정무섭, 표민찬, 김선민, 「유라시아연구」, 『일본과 중국의 공유가치창출 사례연구 -정부역할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Creating Shared Value by Japan and China Governments』, Vol.11 No.1 [2014], 2014, https://url.kr/7xcs5e
이러한 개발 과정에서 중국이 이용하는 중국수출입은행이 바로 공유가치 창출의 전략이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아프리카에 제공한 중국의 자금 지원 중 90% 이상이 이 중국수출입은행을 통해 지급되었다. 즉, 아프리카에서 각종 인프라 설립 사업을 진행하는 구성원 중 대다수가 중국은행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지원 형태가 차관형과 신용형으로, 이는 아프리카의 중국 신용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중국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그들의 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고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아주 오랜 시간 전부터 쌓아온 중국 정부와 아프리카 정부의 긍정적인 신뢰도 덕분에 중국 기업들은 중국수출입은행을 통해 이윤을 획득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에도 중국 정부의 자금지원 덕분에 나라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업에 투자를 할 수 있고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 즉, 중국의 이러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통해 이윤을 얻으면서 동시에 저개발국에 사회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경제 성장의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그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갈렸지만, 이를 보완해 등장한 공유가치 창출의 개념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동의하리라 생각한다. 나도 기업의 이러한 공유가치 창출 전략에 동의한다. 경기침체로 인한 저성장시대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업에 기대하는 바가 커지는 만큼 기업도 이러한 변화에 따라가 새로운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전략은 과거처럼 기업의 극대화된 이율만을 고려한 전략이 아닌, 사회 문제 분야에서 새롭게 찾아낸 가치를 바탕으로 하는 공유가치 창출 전략이 되어야 한다.
공유가치는 단순히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발전하게 된다는 관점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해 더 빠른 변화의 모습을 보이는 기업이 미래의 사회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것이고, 지속가능한 전략 덕분에 높은 이윤을 얻을 수 있다. 또, 개인의 경우 사회의 분위기와 문화를 지배하고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게 되거나, 원하는 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고, 지역사회가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등 개인적인 삶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인 문제가 모여 사회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개인의 문제 해결은 사회 문제 해결로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현재 심각한 상황으로 분류되는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과거 사회 구성원들은 단기적인 관점으로 살아왔다. 지금 당장 나무 몇천 그루를 베어 상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가올 환경 문제는 먼 미래의 일로 생각하고 눈앞의 이윤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미뤄뒀던 일이 이제는 현실이 되어 우리에게 다가왔다. 앞으로의 삶도 과거처럼 환경을 생각하지 않고 기업과 개개인의 이윤만을 위해 행동한다면 우리 사회의 미래는 참담하거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앞서도 언급했듯 이미 사회에 견고하게 자리 잡아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의 환경 문제와 관련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을 세우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이 더 건강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렇게 건강한 사회의 형성은 점점 더 많은 기업과 고객들의 공유가치 창출 전략의 참여를 유도할 것이고, 그 결과로 이러한 사회 문제는 더 빠르게 해결될 수 있다.
이렇게 공유가치 창출 전략은 사회의 경제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 기업, 환경 등 우리 사회의 모든 부분에서의 성장을 끌어낼 수 있다. 그래서 공유가치 창출 전략이 현대 우리 사회 기업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기업들은 더 창의적이고 더 혁신적인 방법으로 공유가치 전략을 제안할 것이다. 이러한 경쟁은 선의의 경쟁이 되어 기업들이 경쟁하면 할수록 사회와 구성원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와 복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 기업 간의 선의의 경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도 공유가치 창출 전략은 우리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개념이다.
Ⅳ. 참고문헌
1. 장유정, 조유현, 「기업경영연구」, 『공유가치창출(CSV)인식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Vol.23 No.2 [2016], 2016, https://url.kr/e8orxk
2. 백서인, 권상집, 「기업경영연구」,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 = Innov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CJ E&M: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vergence Strategy, and CSV』, Vol.22 No.5 [2015], 2015, https://url.kr/at5vgm
3. 빈창현, 전병준, 「전자무역연구」, 『사회적기업의 녹색경영을 통한 공유가치창출: 두 개 사회적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Green Management of Social Enterprises: Cases of Two Social Enterprises』, Vol.15 No.3 [2017], 2017, https://url.kr/fmcy34
4. 정무섭, 표민찬, 김선민, 「유라시아연구」, 『일본과 중국의 공유가치창출 사례연구 -정부역할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Creating Shared Value by Japan and China Governments』, Vol.11 No.1 [2014], 2014, https://url.kr/7xcs5e
추천자료
[경영전략][경영전략수립][전략경영][기업경영]경영전략의 정의, 경영전략의 원칙, 경영전략...
CSV(공유가치창출)와 사회적기업 비교
CSV(Creating Shared Value 공유가치 창출) 국내기업 5개 해외기업5개
공유가치창출 CSV(CSV Creating Shared Value)경제/사회적 조건을 개선 & 비즈니스 핵심...
다국적기업 네슬레의 윤리성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경영학특강(공통)(사회가치경영,공유가치창출경...
경영학개론 )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CSV(공유가치창줄)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CSV를 실시...
우수기업의 공유가치가 인간존중, 혁신추구 고객만족 등 이해관계자중심이 되어야 하는 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