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유전학 ) DNA 변형을 통해 형질전환된 농작물 가운데 한 품종을 선정한 후 발현된 형질의 특성과 성과를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업유전학 ) DNA 변형을 통해 형질전환된 농작물 가운데 한 품종을 선정한 후 발현된 형질의 특성과 성과를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전자 변형 옥수수의 육성 배경과 특징
1) 육성 배경
2) 슈퍼 옥수수의 특징
(1) 장점
(2) 단점
2. 아그로박테리움 기법
1) 아그로박테리움 기법이란
2) 아그로박테리움 기법의 활용
3. 생산현황 및 성과
1) 생산현황
2) 슈퍼 옥수수의 활용
3) 국내 수입 실태
4. 시사점
1) 슈퍼 옥수수의 안전성
2) 선진국 독점
3) 슈퍼 옥수수를 이용한 빈곤 문제 해결 가능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성이 아직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슈퍼 옥수수가 함유된 제품에 그 사실이 표시되어야 한다고 시민사회단체는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동의해 관련 논의가 현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슈퍼 옥수수를 포함한 유전자 변형 작물과 관련된 성분 표시가 법제화된다면 소비자의 알 권리가 지켜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4. 시사점
1) 슈퍼 옥수수의 안전성
이러한 슈퍼 옥수수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가장 먼저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는 슈퍼 옥수수의 안전성이다. 안전성에 대해 전 세계의 다양한 국가들이 실험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는 대부분 좋지 않았다.
1989년 일본에서 제작한 유전자 재조합 박테리아를 이용한 트립토판을 섭취한 사람 중 호산구 근육통 증후군에 걸려 37명이 사망하고 1,500명이 잠재적 위험에 처한 사건이 있었다. 또, 998년 스코틀랜드에서 3년간 동물 실험을 했는데, 유전자 변형 작물을 섭취한 쥐의 두뇌가 더 느리게 발달하고 간과 고환이 작아졌으며 암 발생률이 더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에서도 동물 실험을 진행했는데 유전자 변형 작물을 섭취한 쥐가 그렇지 않은 쥐보다 유선종양과 간, 신장의 손상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도 유전자 변형 작물이 인체에 해로운 성분을 가지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다만 아직 직접적으로 작물을 섭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류의 사례가 드물게 나타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우리는 매일 조금씩 유전자 변형 작물을 섭취하고 있다. 이러한 미량의 섭취가 쌓여 미래에 어떤 악영향을 끼칠지 우리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미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연구를 끊임없이 진행해 그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2) 선진국 독점
다음으로는 유전자 변형 작물의 선진국 독점 문제이다. 슈퍼 옥수수의 경우만 봐도 대부분의 생산이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말로 유전자 변형 식품이 미래 우리 사회의 주된 식료품으로 자리하게 된다면 일부 선진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지금과 같이 계속해서 수입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현재 미국과 브라질 등에서 재배하고 있는 슈퍼 옥수수 종자를 자국으로 가져온다고 해도 재배 조건이 맞지 않아 동등한 생산량을 내지 못한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나라의 재배 환경에 맞는 슈퍼 옥수수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러한 슈퍼 옥수수 재배가 상용화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슈퍼 옥수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특수 농약을 사용해야 하는 등 초기 비용이 부담되기 때문이다. 결국 미래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된 슈퍼 옥수수 역시 일부 기득권층에 의해 독점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3) 슈퍼 옥수수를 이용한 빈곤 문제 해결 가능성
마지막으로, 슈퍼 옥수수가 과연 현재 우리 사회의 빈곤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해결책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미국과 브라질, 아르헨티나에서 지금까지 재배된 슈퍼 옥수수의 양은 전 세계 사람들이 먹고도 남을 양이라는 지적이다. 즉, 이미 세계 빈곤을 해결할 만큼의 식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 식량이 없기 때문에 빈곤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닌, 전 세계적인 구조의 문제인 것이다. 우리가 슈퍼 옥수수를 섭취하지 않아도 아프리카의 기근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관점은 슈퍼 옥수수의 유전자 문제이다. 슈퍼 옥수수와 같은 유전자 변형 작물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곧 모두 동일한 기후변화, 자연재해, 전염병에 취약하리라는 것을 말한다. 그 때문에 슈퍼 옥수수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이 모든 준비된 식량이 한순간에 사라질 수 있다.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경우 전체 재배지의 80% 이상이 슈퍼 옥수수 재배지일 만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옥수수가 굉장히 넓은 면적에 퍼져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 세계적인 식품 재난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슈퍼 옥수수가 미래 식량으로써, 빈곤 문제를 해결할 열쇠로써 만능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새롭게 개발된 품종인 슈퍼 옥수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확실히 새롭게 변형된 유전자로 만들어진 작물인 만큼 기존의 작물의 단점을 보완해 다양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런데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이 아직 남아있으며,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새롭게 등장하는 문제들도 해결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인류에게 큰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슈퍼 옥수수를 비롯한 모든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받아들이고 그러한 주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정말로 세계적인 빈곤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될 수 있고, 미래의 우리를 살아가게 할 식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우리는 계속 유전자 변형 작물을 섭취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의 삶에는 이러한 유전자 변형 작물이 더 증가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총동원해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 및 전염병에 취약해 발생할 수 있는 대기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논의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정태영, 「식물생명공학회지(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유전자 전환작물 개발 연구 현황과 과제』, Vol.28 No.5 [2001], 2001, https://url.kr/tvcxbl
2. GMO, 식량난에 시달리는 인류에게 구원을 줄 것인가, 부작용을 초래할 것인가, 나지영기자, 바이오타임즈, 2020.06.16
http://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53
3. GMO는 식량문제 해결에 득일까? 실일까?, 박희정기자, 퓨처에코, 2020.06.10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73
  • 가격3,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