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2-
2. 본 론……………………………-2-
● 개념 및 정의……………………………-2-
● 형질전환 동물……………………………-3-
◆ 기술 및 응용
1) 형질전환 동물의 기술 및 농업적 응용……………………………-3-
2) 형질전환 동물 이용 바이오 신약 생산……………………………-4-
3) 형질전환 동물의 이종장기 이식……………………………-5-
● 형질전환 식물……………………………-6-
◆ 기술 및 응용
1) 형질전환 식물체 이용 생물의약품 생산……………………………-6-
3. 결 론……………………………-8-
4. 참고문헌(Reference)……………………………-8-
2. 본 론……………………………-2-
● 개념 및 정의……………………………-2-
● 형질전환 동물……………………………-3-
◆ 기술 및 응용
1) 형질전환 동물의 기술 및 농업적 응용……………………………-3-
2) 형질전환 동물 이용 바이오 신약 생산……………………………-4-
3) 형질전환 동물의 이종장기 이식……………………………-5-
● 형질전환 식물……………………………-6-
◆ 기술 및 응용
1) 형질전환 식물체 이용 생물의약품 생산……………………………-6-
3. 결 론……………………………-8-
4. 참고문헌(Reference)……………………………-8-
본문내용
지만, 잠정적 유전자 발현은 그 규모에 제한이 있어, 일반적으로 형질전환이 수행되기 전에 단백질 발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조합 벡터의 효용성을 시험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먼저, 안정적으로 형질전환 된 식물체에서 발현하는 방법은 전이 유전자의 genome 삽입으로 규정된다. nucleus와 plastid genome은 다양한 형질전환 방법으로서 형질전환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주요 형질전환 기술은 담배와 완두와 같은 쌍자엽 식물에 사용하는 Agrobacterium을 이용한 방법, 밀과 벼, 옥수수 같은 단자엽 식물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gene gu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발현된 단백질의 기능과 특성을 검사하고 사용되는 안정적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는데 식물체 종에 따라 3~9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잠정적 발현 시스템은 대개의 경우 안정적 형질전환 계통에서 대규모 생산으로 진행하기 전에 발현 재조합 벡터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 하나, 단백질 생산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이용되는 유용한 방법으로 Agroinfiltration이 있는데, 이 방법으로 재조합 Agrobacterium tumefaciens는 식물 조직으로 침투하게 된다. 많은 수의 식물 세포에서 핵으로 T-DNA가 운반되어서, 수일 내에 mg 단위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한다. 바이러스 이용 벡터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는데, 이는 바이러스 감염은 신속하고 전신적이며, 감염 세포는 많은 양의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 생산물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물 바이러스는 genome 내로 삽입되지 않아서 안정한 형질전환이 되지 않으므로, 전이 유전자는 생식 계통을 통하여 전달되지 않는다. 하지만, 식물 바이러스는 넓은 숙주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기계적인 접종에 의하여 쉽게 전이 되어서 식물체에서 식물체로 퍼질 수 있어서 많은 수의 식물체들을 신속하게 감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식물체 바이러스 이용 벡터(viral vector)는 PEDV, scFvs 그리고 항체를 발현하는데 사용한다. 항체 생산에 있어, 두 개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벡터(tobacco mosaic virus vector)는 항체의 heavy chain과 light chain을 도입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형질전환 식물에 의한 생산되는 의약품의 종류에는 크게 antibody, vaccine, hormone, enzyme, interleukin, interferon, HSA 등이 있다.
3. 결 론
현재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구 고령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장기질환의 증가와 퇴행성 난치병의 증가와 전 세계적 문제인 식량문제로 인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이 바로 형질전환이다. 형질전환 기술로 만들어진 형질전환 동·식물에서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한 농업적으로 우수한 품종의 가축과 농작물과 바이오 신약, 이종장기 이식 등이 있고 형질전환 식물을 이용한 생물 의약품의 생산이 있다. 이 기술로 위에서 말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형질전환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생명공학 기술도 함께 응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Reference)
위키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강태진, 『형질전환 식물체 이용 생물의약품 생산』, 200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형질전환 동물 및 이종장기』, 2005
최경태, 『형질전환 가축의 농업적 응용』, 2007
박응우, 『형질전환 동물이용 바이오신약 생산』, 1998
양덕조, 『형질전환』, 충북대학교, 2004
먼저, 안정적으로 형질전환 된 식물체에서 발현하는 방법은 전이 유전자의 genome 삽입으로 규정된다. nucleus와 plastid genome은 다양한 형질전환 방법으로서 형질전환 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주요 형질전환 기술은 담배와 완두와 같은 쌍자엽 식물에 사용하는 Agrobacterium을 이용한 방법, 밀과 벼, 옥수수 같은 단자엽 식물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gene gu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발현된 단백질의 기능과 특성을 검사하고 사용되는 안정적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는데 식물체 종에 따라 3~9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잠정적 발현 시스템은 대개의 경우 안정적 형질전환 계통에서 대규모 생산으로 진행하기 전에 발현 재조합 벡터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 하나, 단백질 생산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이용되는 유용한 방법으로 Agroinfiltration이 있는데, 이 방법으로 재조합 Agrobacterium tumefaciens는 식물 조직으로 침투하게 된다. 많은 수의 식물 세포에서 핵으로 T-DNA가 운반되어서, 수일 내에 mg 단위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한다. 바이러스 이용 벡터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는데, 이는 바이러스 감염은 신속하고 전신적이며, 감염 세포는 많은 양의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 생산물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물 바이러스는 genome 내로 삽입되지 않아서 안정한 형질전환이 되지 않으므로, 전이 유전자는 생식 계통을 통하여 전달되지 않는다. 하지만, 식물 바이러스는 넓은 숙주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기계적인 접종에 의하여 쉽게 전이 되어서 식물체에서 식물체로 퍼질 수 있어서 많은 수의 식물체들을 신속하게 감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식물체 바이러스 이용 벡터(viral vector)는 PEDV, scFvs 그리고 항체를 발현하는데 사용한다. 항체 생산에 있어, 두 개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벡터(tobacco mosaic virus vector)는 항체의 heavy chain과 light chain을 도입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형질전환 식물에 의한 생산되는 의약품의 종류에는 크게 antibody, vaccine, hormone, enzyme, interleukin, interferon, HSA 등이 있다.
3. 결 론
현재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구 고령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장기질환의 증가와 퇴행성 난치병의 증가와 전 세계적 문제인 식량문제로 인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이 바로 형질전환이다. 형질전환 기술로 만들어진 형질전환 동·식물에서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한 농업적으로 우수한 품종의 가축과 농작물과 바이오 신약, 이종장기 이식 등이 있고 형질전환 식물을 이용한 생물 의약품의 생산이 있다. 이 기술로 위에서 말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형질전환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생명공학 기술도 함께 응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Reference)
위키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강태진, 『형질전환 식물체 이용 생물의약품 생산』, 200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형질전환 동물 및 이종장기』, 2005
최경태, 『형질전환 가축의 농업적 응용』, 2007
박응우, 『형질전환 동물이용 바이오신약 생산』, 1998
양덕조, 『형질전환』, 충북대학교,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