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재 직면하고 있는 사회변화, 공통된 사회문제 분석
(1)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변화
(2) 공통된 사회문제 분석
2. 사회혁신 디자인 사례조사 및 분석
(1) 사회혁신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2) 사회혁신 디자인 사례
(2)-1 캐나다의 노인 돌봄 프로그램 ‘타이즈(Tyze)’
(2)-2 넛지 디자인
(2)-3 아름다운 가게
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 기획(사회문제에 대한 디자인적 해결 방법)
(1) 우리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디자인 프로젝트 기획
(3) 프로젝트 현실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4. 출처 및 참고문헌
(1)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변화
(2) 공통된 사회문제 분석
2. 사회혁신 디자인 사례조사 및 분석
(1) 사회혁신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2) 사회혁신 디자인 사례
(2)-1 캐나다의 노인 돌봄 프로그램 ‘타이즈(Tyze)’
(2)-2 넛지 디자인
(2)-3 아름다운 가게
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 기획(사회문제에 대한 디자인적 해결 방법)
(1) 우리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디자인 프로젝트 기획
(3) 프로젝트 현실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을 가져 줄 수 있는 사람들의 단체를 만들어 소외당하는 사람들을 찾아가 이들이 정상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타이즈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시민들의 꾸준한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기획한다면 시민들의 참여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낼 방법의 도출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이를 위해 넛지 디자인을 기획에 추가할 수 있다. 소외계층에게 인간적인 관심을 가지게 만드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일 수 있다. 바쁘고 정신없는 현대의 생활에 더하여 자기 일을 처리하는 것에도 벅찬 일반 사람들이 소외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과 같이 경제적으로 도움도 안 되는 일에 참여하게끔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넛지 디자인을 추가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프로젝트에 끌어모으고 지속해서 프로젝트를 유지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3) 프로젝트 현실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이를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우선 헌혈의 집과 같은 기존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다. 헌혈을 하는 것은 일반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헌혈의 집은 사람들이 헌혈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금전적인 이득을 제공하는 대신, 기업과 연계하여 영화 상품권과 같은 대용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사회적으로 공헌한다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위하는 헌혈이라는 행위의 숭고함에 경제적 가치를 끼얹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인간소외 문제 해결을 위한 단체에도 적용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체에 참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금전적인 대가를 지불하기보다는 이러한 단체에 참가하는 것 자체를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러한 단체의 이미지를 기업들이 지원하게끔 해야 한다.
한편, 오히려 발전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금과 같이 직접적으로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것은 위험할 때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한다는 이유로 직접적 접촉을 시도하는 것은 미련하고 어리석은 짓일 수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화상채팅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소외된 계층에게 인간적인 애정과 관심을 보여준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권혜진, \"디자인으로 삶을 더 낫게 만드는 것이 사회혁신 디자인\", 연합뉴스, 2016
https://www.yna.co.kr/view/AKR20160601006500005
오혜윤(Oh Hyeyoon),and 윤주현(Eune Juhyun). \"사회혁신을 위한 행동 디자인 및 디자인 요소 분석과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11 (2017): 16-17.
http://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ee54ff974c48b1d4c85d2949c297615a
박희진, 구유리. (2016). 사회혁신 사례에 나타나는 디자인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68-69.
http://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cb78a2522792f7bb36097776a77e665
장태창, 지하철계단이 피아노 건반처럼 소리를 낸다!?, 레일뉴스, 2013
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8602
타이즈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시민들의 꾸준한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기획한다면 시민들의 참여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낼 방법의 도출이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이를 위해 넛지 디자인을 기획에 추가할 수 있다. 소외계층에게 인간적인 관심을 가지게 만드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일 수 있다. 바쁘고 정신없는 현대의 생활에 더하여 자기 일을 처리하는 것에도 벅찬 일반 사람들이 소외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과 같이 경제적으로 도움도 안 되는 일에 참여하게끔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넛지 디자인을 추가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프로젝트에 끌어모으고 지속해서 프로젝트를 유지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3) 프로젝트 현실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이를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우선 헌혈의 집과 같은 기존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다. 헌혈을 하는 것은 일반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헌혈의 집은 사람들이 헌혈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금전적인 이득을 제공하는 대신, 기업과 연계하여 영화 상품권과 같은 대용품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사회적으로 공헌한다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위하는 헌혈이라는 행위의 숭고함에 경제적 가치를 끼얹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인간소외 문제 해결을 위한 단체에도 적용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체에 참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금전적인 대가를 지불하기보다는 이러한 단체에 참가하는 것 자체를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러한 단체의 이미지를 기업들이 지원하게끔 해야 한다.
한편, 오히려 발전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금과 같이 직접적으로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것은 위험할 때 인간소외 문제를 해결한다는 이유로 직접적 접촉을 시도하는 것은 미련하고 어리석은 짓일 수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화상채팅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소외된 계층에게 인간적인 애정과 관심을 보여준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권혜진, \"디자인으로 삶을 더 낫게 만드는 것이 사회혁신 디자인\", 연합뉴스, 2016
https://www.yna.co.kr/view/AKR20160601006500005
오혜윤(Oh Hyeyoon),and 윤주현(Eune Juhyun). \"사회혁신을 위한 행동 디자인 및 디자인 요소 분석과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11 (2017): 16-17.
http://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ee54ff974c48b1d4c85d2949c297615a
박희진, 구유리. (2016). 사회혁신 사례에 나타나는 디자인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68-69.
http://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cb78a2522792f7bb36097776a77e665
장태창, 지하철계단이 피아노 건반처럼 소리를 낸다!?, 레일뉴스, 2013
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8602
소개글